219 0

시각적 사고력 신장을 위한 회화지도 방안

Title
시각적 사고력 신장을 위한 회화지도 방안
Other Titles
A Development of Painting Courses to Improve Visual Perception. : Focusing on the First Gradein Middle School
Author
정유석
Alternative Author(s)
Chung, Yoo-Suk
Advisor(s)
이부연
Issue Date
2007-0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시각적 회화 지도를 통한 시각적 사고력 향상에 있다. 관념적이고 도식적인 표현을 탈피하여 보다 독창적이고 재미있는 회화활동을 하며 시각적 사고력을 신장시키는 방안을 연구해야 할 것이다. 특히 의사실기에 접어든 중학교 7학년 학생들은 어린이 초기의 자유분방한 표현과 주관적인 시각이 급격히 위축되고 사물의 공간적 특성과 같은 조형적 형식으로만 모든 대상을 지각하려 한다. 특히 회화는 외부의 세계를 그대로 담아야 한다는 잘못된 관념이 강하게 내재되어 있다. 그러나 학생들의 사실적인 표현능력이 충분히 따라가지 못하므로 표현에 자신감을 잃게 되고 그로 인한 심리적인 압박은 매우 크다. 또한 회화는 중학교 1학년 교과서에서 매우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그 접근성이 용이하고 대중성이 뛰어나다. 그리고 교육심리학적 관점에서 시각적 사고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계발된 프로그램을 살펴보면 미술교과와 가장 많이 일치를 하고 그 중 회화영역을 다수 포함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에 회화영역에 관한 여러 가지 고찰을 통한 시각적 사고력 신장 방안의 모색이 강하게 요구된다. 연구 방법으로는 첫째, 시각적 사고력에 관하여 고찰하여 보고 그 의미 및 특성 훈련 방법을 알아 보고 미술교육에 있어 시각적 사고력의 중요성을 연구해 본다. 둘째, 회화 영역에 관하여 알아보고 왜 회화영역이 시각적 사고력과 관계를 가지는지를 고찰하여 본다. 셋째, 구 교육과정을 살펴본 후 이를 바탕으로 7차 교육과정을 알아본다. 그리고 그 특징 아래에서 7차교육과정 하의 7학년 미술교과서 중 회화영역을 분석하여 본다. 넷째, 앞의 연구를 토대로 하여 7학년 학습자의 특징에 바탕을 둔 시각적 사고력 신장을 위한 회화 지도 방안을 제시한다. 우리나라의 현재 미술교육은 외래사조의 영향으로 창의성 중심교육과 기능위주의 교육이 병행하며 많은 시행착오를 겪어왔다. 현대 미술의 추세를 반영하며 다양한 양식을 수용하고 있지만 교육과정의 운영면이나 재료면 등에서 많은 문제점들이 지적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미술교육에 방향제시가 필요하고 구체적인 방법 제시 즉, 시각적 사고력 신장을 위한 회화지도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더구나 시각적 사고력의 중요성이 언급되면서 시각적 사고력에 대한 이론이나 방법이 구체적으로 제시되지 않아 대부분이 학생들이 혼란을 겪고 있다. 그림 그리기를 배운다는 것은 사물을 정확히 보는 방법을 배운다는 것이다. 단지 눈으로 보는 것 이상의 의미를 가지고 자신의 주관적인 경험이나 기억, 직관 등에 의해 해석된 형태로 받아들이는 것을 말한다. 이런 관점에서 볼 때 회화 지도는 본다는 것이 무엇이고 그것을 잘 한다는 것이 그림에 어떤 영향을 줄 수 있고, 인지 활동을 방해하는 요인과 그것을 해결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서 살펴보고 회화지도를 통하여 시각적 사고력 향상을 기하고자 한다. 시각적 사고력에 대한 이론적 접근과 형태 심리학적 입장에서 ‘시각적 사고력 향상을 위한 활동 방안’에 대한 프로그램을 구안하여 제시해 봄으로써 학생들의 회화에 대한 태도와 흥미도에 있어서 긍정적인 변화를 기대해 본다. 더불어 앞으로의 미술교육이 진정한 창의성과 인간교육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동시대의 미술과 학습자의 요구를 고려한 연구와 시지각적 학습을 통한 구체적인 실천 지도 방안에 대한 연구와 노력이 절실히 요구된다.; This study is aimed at improving visual cerebration ability by teaching through visual pictorial art. We should explore ways which can improve a person’s visual cerebration ability using pictorial art activities that are more originative and amusing, and this will help students shed their skins and preconceptions, allowing them to better express abstractions. Especially, seventh grade students in middle school who are in the pseudo-naturalistic stage trying to perceive everything as a molding formality as if spatial specificity were daunted by footloose expression and subjective visual sensation. Painting strongly implies an erroneous abstract, for instance the idea that theexterior world should be shown in painting exactly as it is. Due to the lack of student’s realistic expression ability, they lose their confidence and have severepsychological pressure. Additionally, painting is given much weight in the middle school textbook, and it is accessible and popular. Exploring the program which was developed to improve visual cerebration ability from the view of educational psychology, it is very consistent with art textbooks and we can find that painting is prevalent in these textbooks. Hereupon, we strongly need to find a device for improving visual cerebration ability. The following are the study methods. First, carefully explore visual cerebration ability and discover the meanings and specificity training, and study the importance of visual cerebration ability in art education. Second, investigate the painting field and uncover the reason of the relationship to visual cerebration ability. Third, assess the seventh curriculum based on exploring past education procedure. Considering the distinctiveness of this past education, analyze painting field in seventh grade art textbook in the seventh curriculum. Fourth, suggest a method of painting to improve a student’s visual cerebration ability whose groundwork was laid for seventh grade learner under previous research. Present art education in this country is effected by external drifts of public opinion, learning by trial and error in parallel with creativity and functional education. Various methods have accepted reflecting the present art tendency but many problems are found because of the operation of education procedure and materials. To solve these problems, it is necessary to suggest new direction for art education and in nothing but concrete ways which can instruct us on how to improve visual cerebration ability. Furthermore, most students are confused due to a lack of understanding of the theory and devices of visual cerebration ability specifically. Learning painting is to learn how to see objects exactly as they are.. Furthermore it is more than just seeing and one must learn to accept interpretation by one’s own subjective experience, memory and intuition. From this view, art guidance shows how to see an object and figure the effect from it, searching for the solution to avoid disturbances and contributing to improved visual cerebration ability by painting guidance. I hope to suggest the drawing up a new program which can provide the activity guidance to improve visual cerebration ability according to the opinion of Gestalt psychology and theoretical approach of visual cerebration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study concrete activity guidance considering the contemporary art style and the learner’s demand through visual and sensory learning to actualize complete originality and human education through art.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9300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07354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S](교육대학원) > ARTS AND PHYSICAL EDUCATION(예체능학계열)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