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8 0

애니메이션 텍스트 읽기 지도 방법 연구

Title
애니메이션 텍스트 읽기 지도 방법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Teaching Method for Reading Animation Texts : Focusing on The Analysis of
Author
박재림
Alternative Author(s)
Park, Jae-Rim
Advisor(s)
이삼형
Issue Date
2007-0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언어 사용 환경과 의사소통 양상이 급속히 변하고 있음에 따라, 국어과 교육에서 ‘매체언어’를 고등학교 국어교과의 심화 선택 과목으로 채택했다는 것에 큰 의의를 부여하면서 출발한다. 이는 언어와 문학을 중심으로 한 소통 능력의 교육을 담당해온 국어교육이 사회문화적 변화의 시대적 흐름에 주목하고, 최근 몇 년간 새로운 실천 방안을 모색하는 가운데 이루어진 결과라고 할 수 있다. 새로 등장하는 언어문화에서는 점점 필자와 독자 간의 명확한 구분이 사라지고, 다양한 기호 작용이 한데 어우러져 텍스트를 생산하는 등 새로운 의사소통 방식을 만들어내고 있으며 국어교육의 중심에 놓인 텍스트와 읽기 능력의 개념 변화를 요구하고 있다. 본고는 무엇보다도 텍스트에 대한 창조적이고 주체적인 독해를 위한 방법론을 모색하고자 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 책 읽기와 문화 읽기 사이에 방법적인 차이가 있을 수는 없다. 그러나 우리가 책 읽기와 문화 읽기를 너무나 다른 ‘읽기’라고 생각하는 것은 문화라는 코드가 상당히 낯설고 이질적인 것으로 다가왔기 때문일 것이다. 책을 비롯해 문화에 포함되는 모든 종류의 텍스트들은 전부 우리가 살고 있는 사회의 의사소통 체계와 상징체계를 통해 표현된 매체의 일환이라는 점에서 큰 차이는 없다. 인쇄 매체가 아닌 다른 종류의 매체에 엄청난 거리감을 느끼는 것은 우리가 문자 언어에는 익숙하지만, 다른 종류의 매체들을 표현하고 있는 언어에 대해서는 잘 알지 못하는 ‘문맹’이라는 현실에서 비롯되는 것이다. 영상매체에는 애니메이션을 포함하여 영화, 광고, 다큐멘터리 등 다양한 종류가 있다. 이 중에서 애니메이션은 대부분의 경우 인쇄만화를 그 바탕으로 한다는 점에서 문화유산의 전달 측면에서 그 기능이 매우 중요하며, 상상력을 자극한다는 점에서 창의력과 사고력 증대에 큰 영향을 끼친다. 최근 몇 년 사이 인터넷의 일상화와 함께 애니메이션의 전망은 오락적인 측면에서 학습, 홍보 등의 매체로 더 확산되고 있다. 또한 최근 영화와 문학을 비롯한 문화산업계 전반에서 떠오르고 있는 컨셉인 환상성을 표현하기에 가장 탁월한 장르 중 하나가 바로 애니메이션인데 이는 학습자들에게 오락적인 즐거움과 일탈의 카타르시스를 준다. 이러한 판단 하에 영상매체의 다양한 종류 중에서 애니메이션 텍스트를 대상으로 하기로 결정했고, 여러 문제의식을 던져줄 수 있으면서도 상상력과 환상성의 탁월한 표현을 보여주는 <바람계곡의 나우시카>를 통해 연구를 진행하기로 했다. 그전 세대들이 경험하지 못했던 다양한 매체 텍스트를 접하는 학생들은 매체언어에 대한 문맹과 정보 과잉 상태라는 이중적인 딜레마에 빠져있다. 따라서 교육현장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학생들에게 매체 텍스트의 독해 필요성을 인식시키는 것이고 그것은 우리가 그동안 문학 작품을 읽을 때 단순히 행간이나 글의 줄거리 읽기에 주목하기 보다는, 작가의 의도는 무엇이며 그것을 통해 어떤 것을 말하고자 했는지 생각하라고 배웠던 것과 같은 것이다. 올바른 매체언어 읽기란 그 매체언어를 사용하고 있는 주체가 표현하고 있는 것에는 의도가 숨어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이와 같이 학생들의 자발성을 이끌어내면서 교사 스스로 창의적인 매체언어를 읽어내기 위한 방법을 모색하는 것이 국어를 가르치는 교사들에게 부여된 새로운 과제라고 생각된다. 그에 따라 본고에서는 애니메이션 텍스트를 연구 대상으로 삼아서 매체를 ‘활용’하는 것이 아닌, ‘매체언어 활동’을 위한 지도 방안을 구안해보는 것을 목적으로 했다. 이를 위해 읽기와 쓰기의 통합교육, 학습자 중심의 창작과 수용 교육을 추구하는 방향에서 분석적 읽기와 비평적 글쓰기라는 전략 통해 <바람계곡의 나우시카>를 지도하는 방법을 모색하였다. 이는 학습자들의 매체언어에 대한 이해를 높이도록 도울 수 있을 뿐 아니라 천편일률적인 글쓰기 방식과 수동적 읽기 활동에서 벗어나 주체적인 반응과 개성을 담아 다양한 매체 문화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문화 소비자와 생산자를 창출할 수 있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고 본다.; This thesis proceeds with mentioning it is meaningful for 'media language' to have been adopted as a further selective subject in Korean education as the environment of language use and the communication phase are rapidly changing. It can result from Korean education, which educated the communication competence centering around language and literature, has kept an eye on the current of the changing social and cultural age and has recently thought over the new practical method for a few years. A new language culture is making the definite distinction between writers and readers disappear more and more, is creating new communication methods such as the text produced by putting together diverse symbols, and is demanding to change the concept of text and reading competence located in the center of Korean education. Above all, this thesis is focusing on the pursuit of the method for creative and subjective reading comprehension of texts. It is thought that there is no difference between book reading and culture reading. However, it is typically considered that they are different 'reading', since the cord called culture seems quite foreign and different. In addition to books, all kinds of texts included in culture are not of difference in that they are forms of media expressed through communication system and symbol system of the society where we live. Feeling unfamiliar with other media other than print media can be caused by the reality of media 'illiteracy' of other kinds despite being accustomed to text language. There are a variety of image media such as movie, advertisement, documentary, and the likes including animation. Among these, animation has an important function of circulating cultural inheritance with reference to its being mostly made on the basis of printed comics, and has a great effect on the development of creativity and thinking skill with related to its stimulating imagination. Recently in a few years, the perspective of animation along with the routine use of Internet is expanding itself from a medium of entertainment to that of learning, publicity, and so on, It is animation that is one of the most excellent genres to be able to depict a concept or fantasy, which is emerging over overall cultural industries nowadays, and thus it gives learners amusements and catharsis of deviation. Given these aspects, this thesis intends to deal with animation among a variety of image media, and to develop the argument through , which seems to get us to become critical-minded and to show the excellent representation of imagination and fantasy. Students who have easy access to various media texts that the previous generation could not experience are caught in dual dilemma, that is, illiteracy of media language and excess of information. Therefore, the most important thing in school education is to make students recognize the necessity of comprehension of media text. That is the same as we have learned to read a literary work, thinking over what the intention of the writer is and what he is saying by it rather than just concentrating on reading between the lines or its story. Right reading of media language is to show the hidden connotation which is said by the subject using the media language. Like this, it is thought as a new assignment given to teachers who teaches Korean that teachers make students self-motivated and at the same they themselves think up creative teaching methods to read media language. Thus, the objective of this thesis is to construct a teaching method for 'the activities of media language', not just to 'utilize' media, by having animation text as its research object. To do this, in this writing, a teaching method is sought for an animation text, through the strategy of analytic reading and critical writing toward the search for the integrated education of reading and writing, creative writing, and receptive education. This has the significance of its own in that it helps learners not merely to have a good understanding of media language but also to free themselves from stereotyped ways of writing and passive reading activities, enabling them to portray their own reactions and personalities and thus to become cultural consumers and producers to actively participate in a variety of media culture.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9271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07389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S](교육대학원) > LINGUISTICS AND LITERATURE SCIENCE(어문학계열)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