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91 0

'민족'과 '진리'를 추구한 이기백의 역사관

Title
'민족'과 '진리'를 추구한 이기백의 역사관
Other Titles
Lee ki-baik’s Historical view : seeking ‘nation’ and ‘truth’
Author
조원경
Alternative Author(s)
Jo, Won-Kyoung
Advisor(s)
박찬승
Issue Date
2007-0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해방이 이루어 졌지만, 50년대를 마칠 때까지 전반적으로 일제의 식민주의사관이 여전히 강하였다. 이러한 경향은 식민주의사관에 대하여 체계적인 비판이 이루어지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 그러므로 해방 후, 한국사학자들에게 가장 시급했던 것은 식민주의사관의 극복이었다. 이러한 식민주의사관에 최초로 논리적인 비판을 한 역사학자는 이기백이다. 그의 이러한 역할을 기반으로 오늘 날까지 한국의 역사연구가 계속해서 정립되고 있는 것이다. 이 논문은 이기백이 식민주의사관의 허구성을 어떻게 논리적으로 비판했고, 한국사의 시대구분을 왕조중심에서 벗어나 어떻게 체계화했는지 살펴보았다. 그리고 식민통치시기와 해방 후 등장했던 여러 사관들에 대해 이기백은 어떠한 견해를 가졌는지 들여다보았다. 또한 그가 묘비명에 까지도 지니고 간 ‘민족’과 ‘진리’에 대해 고민해 보면서 이기백의 전체적인 역사관을 정리하는데 목표를 두고 있다. 식민주의 사관의 극복을 정면에서 최초로 제기한 이기백은 일제 어용학자들의 주장을 하나하나 비판하였다. 반도적 성격, 사대주의, 당파성, 문화적 모방성, 정체성 등으로 표현된 식민주의사관의 기본은 지리적 결정론으로 보았다. 이에 대해 그는 역사를 끌어가는 것은 인간이지 지리적 요인이 아니라면서 비판하였다. 역사의 주체가 인간이어야 한다는 이기백의 생각은 한국사 시대구분에도 영향을 미쳤다. 일정한 시기에 정치·경제·사회·문화의 주도권을 쥐고 역사를 움직인 주도세력을 중심으로 시대를 구분하였다. 그는 주도세력이 귀족→양반→민중으로 변화되었음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주도세력의 확대는 한국의 역사가 정체가 아닌 발전적인 모습을 보인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이기백은 식민통치시기와 해방 후에 등장한 여러 사관들에 대해 어떻게 바라보았는지 고민해 보아야 한다. 이는 그가 역사를 연구하고 서술하는 데 있어서 어떠한 영향을 받았는가 알 수 있기 때문이다. 식민주의 사관을 논리적으로 비판하기 위해 이기백이 열정을 쏟은 것은 고통 받는 민족을 위한 것이라고 생각한다. 이때 그는 민족의 이상을 절대적으로 삼지 않고 정확한 사실에 의한 진리 추구를 최선으로 삼았다. 즉, 역사연구는 민족에 대한 사랑도 중요하지만 진리를 통해 결실을 맺은 것이 참된 것이라는 것이다. 즉, 이기백은 식민주의사관을 비판함으로써 한국사학의 새로운 출발을 위한 기본과제를 해결했다는 점에 의의를 둘 수 있다. 그리고 그는 이에 그치지 않고 그 동안 한국사 전 분야에 걸친 개별적 연구 성과를 성실히 정리하는 데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또한 왕조 중심의 시대구분에서 벗어나 주도세력을 중심으로 본 독창적인 역사관은 한국사를 타율적, 정체적으로 해석했던 식민주의사관에 대한 구체적 대안이었다. 그가 한국사 연구에 뜻을 두게 된 배경과 평생 연구를 통해 관심의 대상이 었던 것은 ‘민족’이다. 그리고 민족에 대한 각별한 관심을 가지고 있었던 동시에 ‘진리’ 탐구를 목표로 삼고 있었다. 결국 이기백의 한국사 연구는 민족에 대한 애정과 관심에서 진행되었지만, 이는 보편타당성을 지니는 역사적 진리를 틀로 삼아 성공할 수 있었다고 보겠다.; Although Korea liberate from Japan empire, generally colonialism of Japan imperial is still powerful until 1950’s. This tendency is about colonialism because not systemically criticism. Therefore after liberating, the most urgent thing was overcome of the colonialism in the korea historian. Lee ki-baik was at the beginning logical criticize about in like this colonialism. Based on like this his role history study of korea go on forming up to this day. This paper criticizes fictitious characteristic of colonialism how logically, time dividing of korea history removed from dynasty center and to be how schem. And inquire out about multi historical view colonial occupation time and after liberation have a what kind of opinion. also, agony about ‘nation’ and ‘truth’ that he kept in even until epitaph to aim whole arranges which historical view of Lee ki-baik. Lee ki-baik, who was initially submit to overcome colonialism, reproached for scholar kept by japan goverment’s opinion. The basic of colonialism that is expressed with insurgent character, flankyism, party dispute, culture imitation characteristic, standstill characteristic etc. saw with geographical determinism. hereupon he was criticized that pulled a history not geopraphical factor but human. The subject of history must human that his thought effect korean history time dividing. he classify a generation centering around leading influence, which move history take the leadership of politic, economy, society, culture of at the same season. He told the leading influence was changed the nobility → yangban → the populace. Magnification of like this leading influence knows that korea history is not congestion but developmental features. We must be in agony, Lee ki-baik how to be show colonial rule time and appeared about multi historial view. Because of knowing that any effected on history studying and descriving of him. I am of the opinion that Lee ki-baik concentrated his efforts on logically criticize about colonialism for what reason is pain nation. At this time he has not to do absolutely ideal of nation, to be a truth pursuit with the best which founded on accurate fact. Exactly, study of history is important love about nation but that it is real true thorough truth. It is meaningful that Lee ki-baik was solve basic subject for you starting korea historical science by criticizing colonialism. And he was not stop doing effort to sincerely arrange of particular study achievement from the whole korea history. Also creative historical view which deviate from periodization in history of a dynasty center was concrete proposal about colonialism which heteronomous, stagnatory interpreted korea history. A background of his intend to korea history study and concernment through a life long-study are ‘Nation’. And he has particular concern at once, he aim at truth explore. Finally, korea history study of him was advanced to affection and interest about nation. But, it regard as succeed that is framed historical truth involved with universal validity.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9244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07238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S](교육대학원) > SOCIAL SCIENCE(사회과학계열)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