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31 0

사립대학에서 팀장의 변혁적 리더십과 구성원의 조직몰입과의 관계

Title
사립대학에서 팀장의 변혁적 리더십과 구성원의 조직몰입과의 관계
Other Titles
The Relationship between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f the Team Leader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the Team Members in a Private University
Author
이재은
Alternative Author(s)
Lee, Jae-Eun
Advisor(s)
노종희
Issue Date
2007-0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이 연구의 주요 목적은 리더십 연구 중에서 주목받고 있는 Bass의 변혁적 리더십과 그 하위요인들이 한국 내 사립대학 행정직원의 조직몰입과의 관련성을 검증하는 것에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구체적으로 제시하기 위하여 관련된 문헌과 선행연구들을 검토하여 변혁적 리더십과 조직몰입에 관한 연구 모형을 제시하였고, 이를 토대로 한국의 4년제 대학에 근무하는 교직원 330명을 표본으로 하여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대학행정직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라 조직몰입 정도에 차이가 있는지와 변혁적 리더십에 대한 인식수준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수집된 설문자료는 통계 패키지 프로그램인 SPSS/PC+를 사용하였으며, 빈도분석, 교차분석, 일원분산분석, Duncan 검증, t-검증, 중다회귀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또 상위집단, 하위집단에 따른 조직몰입도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평균점(M)보다 높게 지각한 대학행정직원들을 상위집단, 평균점보다 낮게 지각한 대학행정직원들을 하위집단으로 정하여 팀장에 대한 변혁적 리더십 인식수준의 상·하에 따른 조직원의 조직몰입도 차이를 비교 검증 하였다. 연구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성별에서 남성이 여성보다 조직몰입도가 높게 나타난 것은 주의할 만한 결과로서 조직특성이라는 변수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여 진다. 대학조직이나 공익조직에서와 같이 관리 또는 서비스 중심으로 운영되는 조직에서는 남성이 여성보다 조직몰입도가 높게 나타나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둘째, 대학행정에서는 연령, 근속년수, 직위가 높을수록 조직몰입의 정도가 높게 나타나고 있으나 일정기간이 지나면 조직몰입 정도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일정한 기간까지는 직무몰입이 높아진 후 정년이 가까워지면 조직으로부터의 소외로 인해 열의가 낮아진 것으로 볼 수 있다. 셋째, 조직몰입 정도는 직책과는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소속대학 출신 대학행정직원들의 조직몰입이 높을 것으로 가정하였으나 유의한 결과를 얻는데 실패하였다. 동문이라는 애교심과 소속감이 조직몰입에까지 영향을 주지는 못하는 것으로 보여 진다. 다섯째, 이 연구의 가장 핵심인 변혁적 리더십에 대한 인식수준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대학행정직원들의 변혁적 리더십에 대한 인식이 높을수록 조직몰입도가 높게 나타났다. 변혁적 리더십의 하위변인들 중에서는 ‘카리스마’가 조직몰입을 높여주는 핵심요인으로 밝혀졌다. 또한, ‘지적자극’은 정서적 몰입에서 조직몰입을 높여주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었다. 선행연구에서도 보았듯이 공공조직이나 학교조직, 전문가집단에서 많이 나타나는 경향이 있어 보인다. 이것은 관료화조직에서 나타나는 일반적 현상으로 볼 수 있겠다. 이는 변혁적 리더십에서 내포하고 있는 요인들이 환경의 변화에 적응할 수 있도록 조직 구성원들을 자극하고 비전, 사명감을 전달하고, 긍지를 심어주며, 존경과 신뢰를 확보해 자신이 제시한 목표를 달성하도록 부하들의 동기와 자신감, 충성심, 목적의식이 유발되도록 하여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ies that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f the team leader tends for increasing the degree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the team members in private university. The influence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n affective commitment has been shown in several empirical studies. On this purpose, this study is paralleled by documentary studies and investigation studies related to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rganizational commitment. After, it's conducted study model which is related in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f the team leader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the team members. Survey was distributed to 330 staffs of private university in korea and among this 285 survey paper was actually used for collecting database. Statistic processing SPSS/PC+, and frequency analysis, one-way ANOVA and duncan-test, t-test, multi-regressive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were used for this study. Through this, we analyzed the possibility that those demographic variables is related to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the team members in private university, and the possibility that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f the team leader can make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the team members in private university. Conclusion of above substantial analysis can be summarized as following: First, according to findings classified by characteristic of a individual, organizational commitment degree of the male is higher than female's. Probably, it is appear to be having the effect of the organizational variables which is operated from the general public organization. Secondly the older, higher in position are the staffs, the higher organizational commitment degree was shown through this study. But, organizational commitment degree comes to be low around retirement period, when it comes to be low the enthusiasm. Third, position of role with organizational commitment degree is not relationship. Fourth, we failed to verify that organizational commitment degree of the university staffs who work for their mother university are higher than that's the staffs who doesn't work for mother university. Fifth, we could make a conclusion that a meaningful positive influence on the entire organizational commitment was increased, when it comes to the effects of the sub-factors of th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So, we could show that the correlation betwee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ransformational leadership is much stronger, if recognition level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f the team leader between leader and follower is high. However, it's found that 'charisma' leadership has mostly direct effects on the staffs commitment in private university. This case is tend to appears the general public system, school system and specialist group in these studies. Conclusively, form the above study, it has turned out that the commitment of staffs in private university is affected by the leadership types and demographic variables. It gives us some significant point that 'charisma' is prominent among the leadership types for the follower. we can say that leader must focus on the human management that should consider the way to achieve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their lower staffs rather than higher staffs and their shorter years workers rather than longer years workers from now on.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9224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07293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S](교육대학원) > EDUCATION(교육학계열)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