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98 0

인지활동형 어린이 놀이터 계획 연구

Title
인지활동형 어린이 놀이터 계획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Cognition-based Children's Playground : A Case Study of Puleunae Children Playground in Yongin
Author
최봉길
Alternative Author(s)
Choi, Bong-Kil
Advisor(s)
조세환
Issue Date
2007-0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어린이들의 성장과정에서 놀이라는 개념은 생활의 전부라 할 수 있으며 그 과정은 그 어떤 투자보다 중요하다. 그렇다면 과연 어린이의 미래는 어디서부터 시작되는 것일까? 어린이의 미래는 바로 놀이공간에서부터 시작된다. 놀이공간은 자라나는 어린이들의 신체발달이나 정서함양, 창의성 개발 등 여러 가지 측면에서 너무나 중요한 시설물이기 때문이다. 특히 질적으로 우수한 놀이시설이 제공되는 어린이 놀이터는 어린이들을 놀이에 집중할 수 있도록 하여 발달학상의 신체적, 정서적, 인지적 발달을 촉진시켜 어린이의 요구를 충족시켜준다. 예전 어린이들의 놀이는 다양 했다. 집 밖에서 하는 놀이로 딱지치기. 말 타기. 구슬치기. 고무줄놀이. 땅따먹기. 자치기. 공차기. 썰매타기. 멱 감기 등 주로 사회 인지활동을 할 수 있었으며 또 집안에서의 놀이도 단추 돌리기. 공기놀이. 윷놀이. 눈싸움. 고누. 꼬리잡기. 등 친구들과 어울리는 놀이였다. 시대의 흐름 속에 어린이 놀이문화도 자연스럽게 변하고 있는 것은 당연한 일이지만 어딘가 미흡하고 뭔가의 부족함이 있는 것 또한 사실이다. 이렇듯 어린이들의 놀이의 행태는 변화되고 있으나 정작 주어진 놀이공간인 어린이놀이터는 사회의 요구와 시간에 상관없이 신체적 발달에 중점을 둔 천편일률적인 모습을 유지해 오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은 아래와 같이 많은 선행연구에서도 지적되었다. 첫째, 어린이 놀이터의 공간 계획 시 그 사용대상인 어린이들의 행태 특성을 고려하 지 않고 있으며 놀이공간을 만들 때 어느 곳이나 똑같은 형태를 갖고 있다. 둘째, 신체발달 중심의 놀이터가 주로 설치되고 있으며 인지발달과 사회성 발달에 도움을 주는 놀이공간이 부족하다. 셋째, 놀이터의 내부시설은 대부분 휴게와 신체발달을 위한 것으로 어린이의 발달상 의 특성을 고려한 종합적인 검토가 미흡할 뿐 아니라 놀이기구는 천편일률적 이며 배치 방식도 일렬배치로 매우 단순하다. 이와 같은 맥락에서 본 연구는 경기도 용인시 동백지구의 푸른내 어린이 놀이터를 사례지로 선정하여 어린이의 인지적 활동에 중점을 둔 어린이 놀이터의 모델을 제시함으로써 신개념의 놀이터 설계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시함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본 연구의 방법으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린이 놀이터와 관련된 선행연구와 문헌연구를 통해 기초 관련 이론을 고찰 하였다. 둘째, 설문조사를 통해 어린이놀이터의 문제점과 개선요구를 파악하였다. 셋째, 푸른내 어린이놀이터를 대상지로 선정하여 설계모델로 계획하였다. 푸른내 어린이놀이터를 대상지로 선정한 사유는 다음과 같다. 첫째, 놀이터의 면적에 비해 다양하지 않은 시설물들이 설치되어 있어 변화가능성이 많았다. 둘째, 대상지 주변이 다양한 주거시설 또는 상업지구등이 접해있어 다양한 지역구성 원들의 이용이 기대되었다. 셋째, 어린이 공원이 접해 있어 다양하고 많은 이용의 빈도수가 높이 나타났다. 이와 같은 목적과 방법으로 연구를 수행한 결과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인지활동형 어린이 놀이시설의 필요성을 분석해보면 어린이와 성인 모두 각 시설물에 대하여 80%가 넘는 대부분의 응답자들이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었다. 특히 성인들이 원하는 어린이 놀이터 시설물 유형을 보면 ‘인지발달을 위한 시설물’이 51.1%, ‘신체발달을 위한 시설물’이 27.7%, ‘친구들을 사귈 수 있는 사회성 시설물’이 21.3%로 인지발달형 놀이시설물을 원하고 있어 인지활동형 어린이 놀이터의 필요성은 충분히 입증되었다. 푸른내 어린이 놀이터에 대한 만족도 분석결과를 보면 ‘부정적인 응답’이 55.8%로 나타났으며 이에 반해 ‘만족’ 혹은 ‘매우 만족’ 등은 17.9%에 그쳐 대상지 어린이 놀이터는 이용자의 과반수이상이 불만족스럽다는 인식을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반응은 성인과 어린이의 의견이 서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 두 집단 모두 대상지 놀이터에 대한 보완이 이루어지길 바라는 것으로 판단된다. 그이유로는 불만족한 이유를 분석해 보면 놀이기구가 너무 적다와 놀 수 있는 시설이 너무 단조롭다가 37%로 나타나 이용자들이 다양하고 많은 놀이시설의 설치를 희망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특이한 점은 어린이들은 놀이기구의 종류가 적다에 43.2%로 많은 응답을 나타낸 반면 성인들은 시설이 단조롭다 에 65.4%가 응답하여 어린이와 성인간의 특성에 따른 약간의 의견 차이를 보이고 있으나, 시설이 부족하다는 면에서는 두 집단이 모두 동의인식을 가진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적으로 고려 할 때 현재 설치된 어린이 놀이터 공간을 인지활동형 놀이시설을 도입함으로써 어린이들에게는 자유로운 탐색활동과 인지활동을 충분히 누릴 수 있고 창의적인 활동을 가능케 하여 자유로운 상상의 놀이 공간을 제공하여야 하는 당위성이 충분히 입증되었다. 따라서 다양한 인지활동형 놀이시설의 디자인과 개발을 시도하고 설치하여 주거지 주변의 어린이 놀이터 환경이 어린이의 오감을 자극하여 균형적 발달을 이루는 새로운 환경으로 조성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판단된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과학, 자연, 음악, 미적인지활동을 고려한 새로운 시설개선안을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어린이의 인지활동이 보다 더 적극적으로 고양될 것으로 기대한다. 또한 앞으로 본 연구에 이어 좀 더 많은 대상지를 선정하여 놀이시설에 대한 보완과 함께 아동 발달학상의 범주에서 지속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서 보다 다양한 인지활동에 필요한 놀이시설의 개발을 기대한다. 키워드 : 어린이 놀이터, 인지활동, 놀이시설, 도구놀이; he concept of playing during a growth process of children is the whole part of children's life, and the its process is the most important than any other investment. If so, where is the future of children started? The future of children starts from playground since it is a very important facility in various aspects such as physical growth, emotional development, creativity development, etc. Especially, high quality play ground enables children to concentrate on playing, and satisfies children's requirement with promoting physical, emotional and cognitive development. There were various type of plays in the past such as slap-match, horse riding, marbles, property seizing, thread game, stick-tossing, soccer, taking a bathe, etc, which are related to social cognitive activities in outdoor, and button rotation, jackstone game, playing yut, snowball fight, 고누, tail catching, etc, which are playing with friends in indoor. It is true that something is lack in children's playing culture although its culture is naturally changed along the flow of time. Although the behavior of children's playing has been changed, allowed playground for children is still keeping the same shape focused on physical growth regardless of social requirement and time. This problem has been pointed out in a large number of former studies as below, Firstly, the space plan of children's playground does not consider the characteristic of children's behavior, the target consumer, and the type of playground is all identical regardless of the location. Secondly, playground focused on physical growth is mainly built, which causes the lack of cognitive and social development. Thirdly, since internal facilities in playground are basically designed for the rest and physical growth, general examination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children's growth, and the arrangement of playing equipments is very simple in a row. From the aspect above, the study herein aims to suggest fundamental data for the design of new concept playground with selecting Purunnae children's playground located in Dongbaek-region, Yongin-city, Kyunggi-province, and suggesting the model of children's playground focused on cognitive activity of children. The method of the study herein is as follows, Firstly, basic related theory is reviewed through former research and reference related to children's playground. Secondly, the problems of children's playground and reformation requirement was examined through survey. Thirdly, Purunnae children's playground was selected to a target and planned as a design model. The reason why purunnae children's playground was selected is as follows, Firstly, it has more possibility of change since relatively not many types of facilities are installed comparing to the size of playground. Secondly, the use of various local residences were expected since various residential facilities and commercial complex are located near the target. Thirdly, a number of children's parks are contacted with a high frequency of use. From the result of this research based on the purpose and method, following result was achieved. From the analysis of necessity for cognitive activity type children's playground facility, more than 80% of children and adults was understanding the need of the facilities. Especially, for the type of children's playground facilities in adults' aspect, cognitive development type playground facilities by 51.1% for cognitive development, 27.7% for physical growth and 21.3% for social facilities to make friends were demanded which fully proves the necessity of cognitive activity type children's playground. From the analysis result of satisfaction for Purunnae children's playground, 55.8% of 'negative answer' was appeared while 'satisfied' or 'greatly satisfied' were appeared by 17.9%, which indicates more than 50% of users are not satisfied for the target children's playground.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children and adult on this response, which is determined that both parties are expecting modification. For the reason of unsatisfaction, 37% remarked too simple playing facilities and too less facilities, which indicates the desire of more various and number of playing equipments. There was a slight difference between children and adults which 65.4% of adults remarked monotonous facilities, while 43.2% of children remarked less type of playing equipments, however, it seems that both parties have the same recognition that the facility is not sufficient. From the general consideration of the result above, the reasonable necessity of providing playground which allows free searching activity, sufficient cognitive activity, creative activity with imaginary playground is fully demostrated in accordance with employing cognitive activity type playing facility to currently installed children's playground space. Therefore, it is estimated to try and establish the design and development of various types of cognitive activity type playing facilities to allow balanced development of children's senses. Based on the result above, new facilities reforming measure is suggested considering science, nature, music and artistic cognitive activities in this study. More active enhancement in children's cognitive activity is expected. Moreover, development of playing facility needed for more various cognitive activities is expected through supplementation of playing facilities and continuous research in the range of children development theory with selecting a more number of target places in the furture. Key words : Children's playground, Cognitive activities, Playing facility, Tool play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9152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07485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ENGINEERING[S](공학대학원) > ECOLOGICAL LANDSCAPE ARCHITECTURE(생태조경학과) > Theses(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