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40 0

동물이동통로 조성 기본계획에 관한 연구

Title
동물이동통로 조성 기본계획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Eco-Bridge Plan : With Special Reference to Rock-in golf course in Namyangju city
Author
김주연
Alternative Author(s)
Kim, Ju-Youn
Advisor(s)
조세환
Issue Date
2007-0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도로 철도 등 각종 개발행위는 동물들의 서식처를 훼손하고 파편화시켜 결국 생물의 종다양성을 감소시킨다는 점에서 동물의 이동을 돕고 생물종다양성의 감소를 줄이기 위해다양한 유형의 동물이동통로가 조성되고 있으나 동물들의 분포와 현장 중심의 동물이동 특성을 고려한 연구는 미흡하다. 이와 같은 맥락에서 본 연구는 정확한 동물 서식지 파악, 동물이동행태 등의 현장 중심의 실증적 분석을 통해 실효성 높은 동물이동통로 모델을 개발, 제시함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본 연구의 방법으로는 골프장 건설의 개발행위로 야기되는 주변 지형의 변형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동물들의 서식환경 보전과 단절된 동물들의 이동통로를 연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또한 녹지축과 생태계의 연결에 중점을 둔 광범위한 의미의 통로가 아닌 동물의 이동과 서식을 위해서만 조성되어 실제로 동물이 이동할 수 있는 실효성 있는 동물이동통로의 조성에 목적으로 하였다. ‘동물이동통로’의 용어 정의를 위해 녹지축, 비오톱·서식처 네트워크, 그린네트워크, 생태통로 등 관련용어를 기존문헌을 토대로 연구하였으며, 동물이동통로의 기능과 구조에 대한 문헌연구와 국내·외 사례연구를 병행하였다. 기존문헌 연구와 사례연구를 통하여 본 연구의 동물이동통로 설계기준을 설정하였다.대상지 자연환경과 서식동물 및 이동통로 조사·분석은 문헌연구와 현장조사, 청문조사, GIS 분석을 이용하였다. 조사·분석된 내용을 바탕으로 록인골프장 동물이동통로 조성 기본계획을 수행하였다. 사례지 분석 결과 골프장 건설은 동물서식지의 단절이 초래되는 곳이므로 주변 자연환경과 서식 동물의 이동특성에 따라 동물이동통로의 계획이 이루어져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실효성 있는 동물이동통로의 조성을 위해 이동이 예상되는 동물들의 종류와 이동특성을 고려하여 이동통로의 기본계획을 수립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지역에 서식하는 동물은 고라니, 삵괭이, 오소리 등의 포유류, 쇠사물사, 아무르산장지뱀, 무당개구리, 청개구리. 등의 양서·파충류가 서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이동통로 설치위치는 계곡부의 물에 접근할 수 있는 지역, 급격한 경사의 변화없이 자연스럽게 동물들이 접근할 수 있는 지역, 가급적 단거리로 이동할 수 있는 지역 등의 조건을 만족하는 곳의 7~8부 능선 상으로 선정하였다. 셋째, 이동통로의 구조는 동물들의 자연스러운 이동성, 서식지간의 연결성, 경관성 등을 고려해서 BOX형으로 계획하였다. 다만 BOX형의 구조물은 양안의 지형적 큰 변형 없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개설된 도로의 레벨을 50㎝ 이상 낮추어 이동통로가 터널의 형식을 갖추도록 계획하였다. 넷째, 이동로의 폭은 동물들의 종류에 따른 이동행태와 효용성을 고려하여 20m가 되도록 계획하였다. 다섯째, 이동통로의 시설로서는 이동통로의 양안에서 동물들의 이동을 유도할 수 있도록 나팔형으로 진입구간을 설정하였고, 진입부분에 유도휀스를 설치하여 동물의 이동을 유도하고 로드킬(Rode Kill)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여섯째, 이동통로의 식재는 주변수림대와 자연식생구조와 유사한 구조로 하여 자연스러운 이동을 유도할 수 있도록 계획하였다. 또한 식재를 통한 울타리 조성을 통해 도로로의 진입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연구는 ‘동물이동통로’에 대한 개념 정립이 더욱 구체화 될 것으로 기대되며, 동물들의 이동과 서식을 위한 실효성 있는 동물이동통로의 계획수립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Since various development activities such as road and railway development reduces variety of biological species by damaging and fragmentation of habitats of animal, various forms of animal moving passages are made to help movement of animals and reduces the decrement of biological species, however, a study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animal movement based on the site and distribution of animal is still insufficient. The study herein aims to preserve habitats environment of animals which is possibly generated by the change of vicinity geography caused by golf resort development, and connect moving passage of animals. Moreover, it aims to create effective animal moving passage which does not indicate a wide scope of connection between greens and ecosystem but actual animal passage which is established for animals only allowing animals move and live in real. For the definition of terminology, 'animal moving passage', related terminologies such as greens, biotope, habitat network, green network, eco-passage, etc, were studies based on conventional references, and studies about the function and structure of animal moving passage, and researches of domestic and oversea examples were carried out at the same time. From the study about existing references and example research, design standard of animal moving passage was set. Reference research, site examination, audition examination and GIS analysis were used for target natural environment and habitats and moving passage examination/analysis. Basic plan of animal moving passage establishment for Rokin golf resort were carried out based on the contents of exmination and analysis. Since the location of golf resort is located in the place which causes disconnect of animal habitats from the result of example, the plan for animal moving passage should be conducted along the characteristics of animal movement and vicinity circumstance. Therefore, the study herein established basic plan of moving passage considering the type and moving characteristics of animals for effective establishment of animal moving passage, and its result is shown below, Firstly, it was found that mammals such as elk, wildcat, badger, etc, and amphibians and reptiles. such as mamushi, long-tailed lizard, Korean fire-bellied toad, etc, are living in the research area. Secondly, installation location of moving passage was selected to the 70-80 percent of ridge of the area which is able to access waters in valley region, the area which animals can naturally access without dramatic slope change, and the area which is able to shortly move, etc. Thirdly, box type was planned for the structure of moving passage considering to natural moving capability of animals, connection performance between habitats, scenery, etc. Additionally, box type structure was planned to have tunnel type for moving passage with lowering more than 50cm for the level of newly established road to form without significant geographical change of banks. Fourthly, the width of moving passage was planned to become 20m considering moving trends and efficiency along the type of animals. Fifthly, trumpet entry region was set to derive animal movement from both banks of moving passage, and induction fence was installed at entry part to induce the movement of animals, and prevent road kill. Lastly, planting at moving passage was planned to have similar structure to vicinity forest and natural planting structure to naturally induce the movement of animals. Moreover, fences were established by planting to protect the entry of animals into the road. It is expected to establish the concept for 'animal moving passage' from this study, and contribute to establish the plan of effective animal moving passage for the movement and habitation of animals.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9149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07181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ENGINEERING[S](공학대학원) > ECOLOGICAL LANDSCAPE ARCHITECTURE(생태조경학과) > Theses(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