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0 0

FMEA를 활용한 공동주택 공기지연 영향요인 평가에 관한 연구

Title
FMEA를 활용한 공동주택 공기지연 영향요인 평가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Evaluation of Influence Factors about the Construction Delay Applying FMEA in Apartment Housing
Author
고성상
Alternative Author(s)
Ko, Sung-Sang
Advisor(s)
김재준
Issue Date
2007-0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2000년 이후 국내 5개 대형 건설업체가 건설한 평균 22층짜리 고층아파트의 공사기간은 평균 30개월 미국의 경우 30층짜리 아파트가 11개월만에 완공돼 공기가 우리나라의 1/3에 지나지 않는다. 또한 「건설 기술 어디까지 왔나」라는 설문조사에서 국내의 건설 산업 설계.엔지니어링 기술은 선진국의 77.2%, 시공 기술은 83.0% 수준이며, 전체적으로 70∼80% 수준으로 선진국보다 20% 이상 기술격차를 갖고 있다. 따라서 공기단축 기술과 관련된 자동화, 기계화, 표준화, 공업화.프리패브화 등의 요소기술은 선진국의 60% 정도의 공기단축을 위한 이들의 연구가 시급하다고 판단된다.(출전 : 건설저널, 2002년 4월) 공기단축에 관한 국내의 연구 개발은 주로 시공 관리측면에서 이루어지고 있으며, 구법/공법 개발 등의 시공 기술 개발 및 공기단축을 위한 구조 시스템의 개발 등 Hardware적인 기술개발은 매우 부족한 실정이며, 공기단축에 초점을 맞춘 행정 시스템, 기준, 시방서가 작성되어 있지 않아서 이러한 것 들이 오히려 공기단축에 장애요소로 작용하는 경우가 많다. 본 연구에서는 공기단축을 위해서는 시공측면에서 공기지연의 영향요인을 분석하여 잠재적인 위험요인을 집중관리 할 수 있는 프로세스를 제안하여 공기초과를 사전에 방지 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본 논문은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제 1장은 서론으로 연구의 배경과 목적, 그리고 연구의 범위 및 방법에 대하여 서술하였다. 제2장은 관련문헌과 이론적 고찰을 통하여 FMEA 기법 정의와 FMEA를 건설업에 적용 할 때의 의의 및 기대효과에 대하여 서술하였다. 제3장에서는 공동주택 공기지연 영향요인 도출 방안을 서술하였다 공동주택 건축공기의 특징을 서술하고, 공기지연 영향요인을 분석하여 도출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제4장에서는 FMEA 기법을 이용한 공동주택 공기지연 영향요인 평가방법을 서술하였다. 공동주택 기준층 공기지연 영향요인 평가 모델을 제안하고 활용프로세스를 제시하였으며, FMEA 평가방법과 평가척도를 서술하였다. 제5장은 사례연구를 적용하여 계획단계에서 작성된 FMEA Sheet와 사례현장에서 설문조사로 작성된 Sheet를 비교.분석하여 사례 결론을 서술하였다. 제6장은 결론으로 FMEA 기법을 활용한 분석 결과와 향후 연구 진행 방향에 대하여 서술하였다.; Recently, rapid changes of construction environment drive construction companies, main participants of construction industry, to adapt moreover lead the new paradigm. The main changes of construction industry can be summarized as advent of construction open market, large scale of project, specialty of project, the development of construction technology and method, customer's diverse demands. The construction duration in apartment construction is an important factor which affects project cost. Therefore this study is to examine closely the affecting factors on the duration of framework which forms about 40∼50 percent of total time in apartment construction by analyzing the schedule mechanism of typical floor and to show the reasonable the shortening of the construction time methods by case stud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method for the evaluation of influence factors about the shortening of the construction time in apartment housing. This method is based on FMEA(Failure Mode and Effect Analysis) method and devised to be applied at construction planning stage. The usefulness of this method is reviewed through a case study.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9094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06904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ENGINEERING[S](공학대학원) > DEPARKMENT OF CONSTRUCTION MANAGEMENT(건설관리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