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22 0

현대 남성 패션에 나타난 젠더 특성

Title
현대 남성 패션에 나타난 젠더 특성
Other Titles
A Gender Characteristic in Comtemporary Men's Fahion
Author
김정연
Alternative Author(s)
Kim, Chong-Yon
Advisor(s)
이연희
Issue Date
2007-0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한 개인의 정체성이 성립되기 위해서는 가족, 사회적 환경, 생물학적 요소 등 수 많은 요인이 작용한다. 그 가운에서도 신체적인 성(性), 즉 성별은 개인의 정체성 형성에 무엇보다도 큰 영향을 미치며, 인간은 태어나는 순간부터 성별을 바탕으로 사회화 된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사회적, 심리적인 성인 젠더의 개념이 대두되면서 성과 성역할은 더 이상 신체적인 성에 얽매이지 않으며, 변화 가능한 것으로 인지되고 있다. ‘남성성’이라는 개념 또한 젠더에 기반을 둔 개념으로 의복 행동 또한 변화하는 남성성과 함께 변하고 있다. 현대는 양성성을 지닌 사람들이 선호되는 시대로서 변화하는 남성성에 따른 남성 패션에 대한 연구는 의미 있는 것이라 여겨진다. 본 연구는 성 역할 변화에 따른 남성들의 젠더 정체성이 변화와 그들의 패션에 대한 인식의 변화를 고찰하고 다원화된 시대에 요구되어지는 남성들의 패션에 대한 변화 현상 및 특성을 정리 분석하고, 앞으로의 남성 패션 디자인을 위한 시사점 모색해 보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구체적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젠더정체성 변화에 따른 현대 남성의 패션 양상에 대해 알아보고 유형별로 구분한다. 둘째, 남성 패션의 큰 변화가 나타난 2000년대를 전후로 현대 남성 패션의 변화 양상을 컬렉션을 통해 조사· 분석한다. 셋째, 브랜드(디자이너) 별 남성 패션의 특성을 비교· 분석한다. 넷째, 남성 패션에 표현된 젠더 양상에 따른 미적 특성을 살펴본다. 다섯째, 현대 남성 패션에 표현된 젠더 양상 간의 미적 특성의 차이를 알아본다. 본 연구를 위한 이론적 배경에서는 기존의 서적, 논문, 학회지의 문헌자료를 바탕으로 젠더의 정의와 시대적 변화에 따른 남성의 젠더 정체성 변화에 알아보았으며, 이에 따른 남성 패션의 변화를 시대적으로 고찰하였다. 또한 남성의 젠더 양상의 변화와 그에 따른 남성복의 미적 특성과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남성복 디자인 분야에 영향력 있는 브랜드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패션 관련 각종 매체와 문헌 자료 조사를 통하여 런던, 밀라노, 파리의 남성복 컬렉션에서 꾸준히 작품을 선보이고 있는 8개의 대표적인 브랜드(디자이너)를 선별하였다. 런던 컬렉션에서는 비비안 웨스트우드(Vivienne Westwood)와 폴 스미스(Paul Smith), 밀라노 컬렉션에서는 돌체 앤 가바나(Dolce & Gabbana), 조르지오 아르마니(Giorgio Armani), 프라다(Prada), 파리 컬렉션에서는 디올 옴므(Dior Homme), 구찌(Gucci), 장 폴 고티에(Jean Paul Gaultier)가 선별되었으며, 설문과 분석을 위해 사용되었다. 사진 자료 수집은 메트로섹슈얼이라는 용어가 처음 등장한 1994년 이후 자료검색이 가능한 1997F/W 시즌부터 2007 F/W에 해당하는 총 19개의 시즌에 속한 자료들로 인터넷과 문헌에서 검색이 통해 수집되었다. 연구의 결과를 통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이론적 고찰을 통해 변화하는 젠더 정체성과 함께 등장한 남성 패션 유형으로 호모섹슈얼과 드랙 퀸, 크로스섹슈얼, 메트로섹슈얼, 위버섹슈얼, 이모 보이의 여섯 개의 개념이 도출, 구분되었다. 그 중 여성성을 겸비한 남성의 개념인 메트로섹슈얼 패션과 과거 남성성의 개념을 바탕으로 변화하는 위버섹슈얼 패션이 현대 남성복 컬렉션에서 나타나는 대표적인 젠더 특성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둘째, 1990년대에 비해 2000년대의 디자인에서 남성복의 여성화, 양성화 경향이 강하게 나타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실루엣에서 나타난 가장 큰 변화의 경향으로는 슬림화와 관능적인 노출이 있었다. 핑크계열 색상의 사용이 두드러졌으며, 다양한 프린트, 특히 플로럴 프린트와 컬러풀한 스트라이프, 애니멀 프린트 등 다양한 패턴의 프린트들이 과거 남성 패션과는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디테일과 소재 또한 기존의 남성복에서 보기 힘든 소프트한 느낌의 여성스러운 소재 사용이 많아졌으며, 이러한 현상은 어느 특정 브랜드에 국한 된 것이 아니라 컬렉션 전반에 걸쳐 나타나는 현상이었다. 또한 화려한 디자인의 큰 가방과 스카프, 머플러, 목걸이 등의 액세서리의 사용이 최근 남성복 컬렉션에서 나타나는 특성으로, 그에 따른 디자인 또한 사용자 성별에 대한 구분이 불가능한 것이 많았다. 셋째, 메트로섹슈얼 패션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 디자이너로는 디올 옴므, 구찌, 프라다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위버섹슈얼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 디자이너로는 조르지오 아르마니, 돌체 앤 가바나, 폴 스미스 순으로 나타났다. 장 폴 고띠에와 비비안 웨스트우드의 경우 메트로섹슈얼로 지나치게 양성적이거나, 퍼포먼스적인 요소가 많아 특정 젠더 정체성과 상관관계를 규정하기가 용이치 않으며, 메트로섹슈얼이 기존의 남성성에 비해 여성성을 많이 내포하고 있는 개념이라 해도 직접적으로 여성의 전유물이라고 여겨지는 스커트를 입거나, 여성복을 그대로 차용한 모습까지 메트로섹슈얼로 평가하지는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 넷째, 2000년대 이후 컬렉션에 나타난 메트로섹슈얼 패션의 미적 특성은 남성복의 양성화, 여성화 경향과 중첩되는 경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실루엣에서 보여지는 특성으로 허리 라인의 강조, 관능적인 노출, 슬림한 팬츠 라인이 있었으며, 핑크, 퍼플, 오렌지와 같은 화려하고 비비드한 난색계열의 색상과 소프트, 밝은 톤의 사용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프린트 또한 화려하고 여성복에서 많이 사용되던 색채의 사용이 특징으로 분석되었다. 자수, 아일렛, 러플, 프릴, 비즈, 시퀸 등의 디테일 사용과 모피, 니트, 레이스, 벨벳과 같은 페미닌한 소재가 메트로섹슈얼적인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여성스러운 디자인의 커다란 가방, 스카프, 머플러, 목걸이 등의 액세서리의 사용은 최근 남성복 컬렉션에서 나타나는 메트로섹슈얼적인 특성으로 볼 수 있다. 다섯째, 위버섹슈얼의 미적 특성으로는 어깨를 강조한 단정하고 포멀한 수트, 헐렁하고 직선적인 실루엣의 캐주얼한 디자인이 있었으며, 색채와 프린트는 전형적인 남성복 색채로 인지되는 어둡고 무거운 색상과 톤의 색채 사용이 많았다. 난색 계열의 따뜻한 컬러나 핑크와 같은 색상은 위버섹슈얼적이지 않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프린트의 사용도 다양하지 않아 체크나 단조로운 스트라이프 정도가 프린트로 사용되고 있었다. 메트로섹슈얼에 비해 위버섹슈얼 패션에서 특징적으로 사용되는 디테일은 찾기 힘들었으며, 액세서리 역시 남성다움을 강조하기 위해 사용되고 있는 것이 주를 이루고 있어 블랙에 가까운 색상의 렌즈 사이즈가 큰 선글라스, 군화 같은 부츠, 두꺼운 장갑 등이 그에 따른 특징으로, 모두 밀리터리하고 터프한 이미지를 표현함으로써 전형적인 강인한 남성성을 표방하고자 하는 아이템이었다. 메트로섹슈얼과 위버섹슈얼 패션의 미적 특성을 정리하여 비교하면 다음과 같다. 메트로섹슈얼 패션이 피트하고 슬림한 라인으로 여성복과 같이 잘록한 허리 라인을 강조하고 있는 반면 위버섹슈얼은 헐렁하고 어깨를 강조한 실루엣이 특징으로 나타났다. 다채로운 색상과 핑크 에 대한 높은 사용 빈도, 비비드하고 소프트한 톤의 사용 빈도가 높게 나타난 메트로섹슈얼 패션과 달리 위버섹슈얼 패션에 나타난 컬러는 블랙, 그레이, 브라운, 네이비 등의 색상과 어둡고 무거운 톤의 색채가 주를 이루고 있다. 프린트의 경우 화려한 플로럴 프린트, 관능적인 애니멀 프린트가 사용되는 메트로섹슈얼 패션과 대조적으로 위버섹슈얼 패션에는 화려한 프린트에 사용이 거의 없었으며 다만, 체크와 스트라이프 같이 전형적으로 남성복에서 사용되고 있는 프린트 정도가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그에 대한 빈도는 높지 않았다. 메트로섹슈얼은 여성복에 사용되는 다양한 디테일을 사용하며 소재와 액세서리의 사용에 있어서도 남성복으로써 갖는 제한이 없었으나, 위버섹슈얼의 경우에는 사용되는 디테일이 거의 없었으며, 소재 또한 가죽, 데님, 두꺼운 모직물 등 근대 이후 남성복의 소재로써 인식되어 오던 두껍고 딱딱한 소재의 사용이 많았다. 메트로섹슈얼 패션에 사용되는 액세서리들이 남성패션의 포인트를 주는 포인트를 주는 요소로써 패션에 섬세함을 부가시킨다면 위버섹슈얼의 경우는 액세서리 또한 강하고 터프한 남성성을 표출하기 위해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현대 남성 패션의 다양한 양상 가운데 본 연구에서는 크게 메트로섹슈얼과 위버섹슈얼의 패션을 살펴보았다. 그러나 설문을 통해 나타난 것과 같이 자극물 가운데 27% 이상은 메트로섹슈얼와 위버섹슈얼 어느 쪽에도 속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남성들의 패션이 다양하게 표현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과거 남성 패션에서의 유행이나 변화가 수트의 색채과 버튼 수, 칼라와 라펠, 넥타이 색채의 변화 정도였다는 점을 감안하면, 위와 같은 변화는 남성 패션에 있어 많은 변화가 있었다는 것을 반증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현대 남성 패션에 나타나고 있는 여성화 현상과 다원화 현상은 의복에 있어 성의 구분이 점차 모호해지고 있으며, 남성 또한 여성과 같이 패션을 통해 자신의 미를 표출하고자 하는 욕망이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한 개인에게 다양한 역할을 기대하는 현대의 사회적 요구 속에서 남성들의 자기표현 양상 역시 신체적 성(性)에 얽매이지 않은 자유로운 형태로써 표현될 것으로 기대된다.; Establishment of an individual identity is involved with various factors such as family, social environment, biological factors, and so on. Among them, the distinction of sex, namely sex gives the most critical impact on identity building of an individual. A human is socialized based on the sex from the birth. Even several years ago, people regarded that the sex cannot be changed artificially and a sexual role accordingly is unchangeable. However, as a concept of gender, the social and mental sex is developed, the sex and a sexual role are free from the sex in a physical sense and regarded as changeable. ‘Masculinity’ also is a concept based on gender and a clothing style is changing accordingly. In the modern society, people with androgyny are preferred. Thus, it is meaningful to study men's fashion by changing masculinity. The study thereby intends to review changes of gender identity of men as a sexual role changes and their cognition on fashion and to analyze changes and features of their fashion required in the diversified era and suggests implications for future men's fashion design. The study includes the followings: first, it reviews types of modern men's fashion styles by a change of gender identity and classifies them into several categories. Second, it analyzes modern men's fashion styles around 2000, where men's fashion had a significant change, through collections. Third, it compares features of men's fashion by brand (designer). Fourth, it looks into aesthetic features by gender type expressed in men's fashion. For theoretical backgrounds, the study adopts previous books, thesis and articles of academic journals to understand a definition of gender and a change of men's gender identity by changes of the times and to review changes of men's fashion by period. The men's gender identity and features are changed by time. There are changes and various types of men's fashion. The study divided men's fashion styles into six based on literature review: 'Homosexual','Drag Queen', 'Crosssexual', 'Metrosexual', 'Uebersexual' and 'Emo Boy'. Among them, the study adopts Metrosexual that includes femininity and uebersexual that includes masculinity as representative gender styles. Based on them, the study analyzes changes of men's gender styles and aesthetic features and differences by the changes. To understand a correlation between a change of men's gender styles and fashion and aesthetic features and differences by gender style, the study analyzes significant brands of the men's design market. To do so, the study adopts 8 representative brands(designers) of the world collections, who have been worked in the men's clothing business from the early 1990's or before where there were significant changes in men's clothes and who give continuous effects on men's clothes market by bringing a lot of changes in modern men's fashion. The brands selected based on the criteria includes Vivienne Westwood and Paul Smith of London Collection, Dolce & Gabbana, Giorgio Armani and Prada of Milan Collection, and Dior Homme, Gucci and Jean Paul Gaultier of Paris Collection. They were used for survey and analysis. Photos for the study were collected through the internet site and literatures for 19 seasons, when data search is available, from the 1997 F/W season to the 2007 F/W season since the term, metrosexual appeared for the first time in 1994. A preliminary research on professional groups was conducted prior to the survey in order to analyze a change in men's clothes in the 1990's and the 2000's. As a result it was assessed that the silhouette of the modern men's clothes became quite slim in the 2000's compared to the later 1990's with emphasizing a body line like women's clothes. In terms of colors, common colors in women's clothes like pink were often used in men's clothes. Also, colors and prints were diversified like in women's clothes and a limit as men's clothes became neutralized. Many literatures pointed out thin and transparent fabrics to show a body line and laces in men's clothes. Furthermore, it is observed that men's clothes tended to be feminine as shown at many pictures that details like ruffle or eyelet are used in men's clothes and that a male model holds a big feminine bag or wears scarf or a long muffler. The survey was conducted to understand fashion features by brand(designer) and aesthetic properties of the two genders, metrosexual and uebersexual. Total 10 professional groups including 3 masters and 7 doctors majored in fashion design participated in the survey. The followings provide results and conclusion of the analysis based on the survey. First, metrosexual and uebersexual were mixed in the 1990's and the 2000's. In particular uebersexual composed about 58% in the 1990's, which was higher as three times as metrosexual of 17%. Meanwhile, in the 2000's the ratio of metrosexual is higher than uebersexual by about 3.5%. It implicates that there were significant changes in design of men's clothes between the 1990's and the 2000's. Also, the men's clothes in the 2000's tended to be much feminine. Second, brands that mainly compose metrosexual design include Dior Homme, Gucci and Prada in the order, while Giorgio Armani, Dolce&Gabbana and Paul Smith support uebersexual design. In Vivienne Westwood and Jean Paul Gaultier, the ratio against the variable 3 was 50.74% and 44.00% for each, which implies that it is ambiguous to determine masculinity and femininity in design. In general, as uebersexual (39.15%) showed little bit higher ratio than metrosexual (33.27%) and the ratio of the rest including the variable 3 was 27.49%, it was observed that men's clothes have been diversified in design. Third, aesthetic properties and differences of metrosexual and uebersexual obtained from the survey are like followings. Metrosexual fashion emphasizes a slender waist line like women's clothes with a fit and slim line. Comparably, uebersexual focuses on shoulders in a loose silhouette. Unlike metrosexual that has no limit in using colors, uebersexual fashion uses achromatic colors like black and grey and dark and heavy tones like brown and navy in large. Even prints are colorful such as floral and sexual animal prints for metrosexual design. Meanwhile, prints for uebersexual are traditional prints in previous men's clothes such as checks or stripes. Metrosexual fashion uses almost all details that are used in women's clothes and has no limit in using materials and accessories as men's clothes. However, uebersexual fashion rarely has details. Also, thick and hard materials that have been recognized as materials for men's clothes since the modern era were used; including leather, denim and thick woolen clothes. While accessories in metrosexual fashion add delicacy in the men's fashion as points, uebersexual fashion uses accessories to express strong and tough masculinity. The study showed that fashion as a part of culture changes along with social and cultural phenomena. Furthermore, the relationship between male and fashion, which have been recognized that there is a low correlation, is being newly established as a sexual role changes by gender. A social demand on an individual for various roles seems to be continued. Accordingly, men's fashion also will be diverse. It is expected that research and analysis on various gender aspects in modern men's fashion can contribute to predicting future changes of men's clothes. The self-expression of males through fashion will be free from the sex in a physical meaning.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9033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07766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CLOTHING & TEXTILES(의류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