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31 0

箜篌의 起源과 東北亞 傳播 過程에 對한 硏究

Title
箜篌의 起源과 東北亞 傳播 過程에 對한 硏究
Other Titles
A Study of the Origin of the Gonghu and Its Spread into Northeast Asia
Author
조석연
Alternative Author(s)
Cho, Seog-Yeon
Advisor(s)
권오성, 김영운
Issue Date
2007-0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Doctor
Abstract
본고는 공후의 역사와 동북아 전파 과정을 고찰한 논문이다. 특히 한국에서 사용된 공후의 역사와 의의를 조명함으로써 서역과의 음악 교류사를 악기학적인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첫째, 공후의 유형은 다음과 같이 분류된다. ◁표 삽입▷(원문을 참조하세요) 둘째, 하프류 공후는 고대 문명에서 그 기원을 찾을 수 있다. 기원전 3000년경부터 메소포타미아·페르시아에서 C자형 공후가 연주되기 시작하였다. 이집트에서도 기원전 2500년경 C자형 공후가 사용되었다. 메소포타미아와 페르시아는 기원전 2000년경에 이르러 보다 발전된 형태의 L자형 공후를 연주하기 시작하였고, L자형 공후의 출현과 함께 C자형 공후는 점차 자취를 감추게 되었다. 이집트 역시 기원전 1000년경에 L자형 공후를 받아들였다. 그러나 인도는 기원전 2-3세기부터 굽타왕조에 이르기까지 오랜 세월동안 C자형 공후가 전승되었고, 현재 미얀마는 인도의 C자형 공후를 전승·연주하고 있는 유일한 나라이다. 셋째, 중국에 전파된 공후는 실크로드 선상에 따라 C자형 공후와 L자형 공후가 각각 수용되어 각 지역별 특징을 보이고 있다. 문헌에 의하면 수공후는 서역에서, 봉수공후는 인도에서 비롯되었다고 기록하고 있다. 실제 인도의 영향권 안에 있었던 신강 지역은 봉수공후의 일종인 C자형 공후가 주로 출현하고 있다.특히 신강 키질석굴의 C자형 공후는 인도와 페르시아의 문화적 융합으로 인하여 봉황이 장식된 C자형 공후와 키질 C자형 공후라는 새로운 C자형 공후 형태가 출현한다. 감숙 지역을 비롯한 대부분의 중국 지역은 페르시아권인 서역의 L자형 공후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L자형 공후는 북위(北魏) 시대부터 나타나기 시작하여 북주(北周) 시대에 점점 늘어나 수·당대에 이르러 절정을 이루다가 점차 쇠퇴하여 사라졌다. L자형 공후와 더불어 자주 출현하는 악기는 약간의 시대적 변화는 있지만, 비파류를 비롯하여 피리, 생황, 횡취, 배소, 박판 등이다. 또한 시대별 공후 연주 형태를 분석한 결과 공후 연주 형태는 북위 시대부터 수대까지 양손 혹은 오른손 연주법이 혼용되다가 공후가 가장 활발하게 연주되던 당대에 이르러서는 양손 연주법으로 정립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일본에 전파된 공후는 문헌에 의해 백제로부터 전승됐음을 확인할 수 있다. 809년 백제의 악사로부터 일본에 전해져 적어도 12세기까지 사용된 것으로 보인다. 일본 쇼소인에 L자형 공후의 실물이 남아 있어 동북아에서 전파된 공후의 특징을 알 수 있다. 공후는 동북아 전반에 걸쳐 C자형은 한국까지, L자형은 한국을 경유하여 일본까지 전해졌다. 넷째, 한반도에서 공후는 고구려악과 백제악에 사용되었으며 고려까지 사용된 기록이 남아 있다. 중국 문헌 『수서』·『당서』<구부기>·<십부기>의 고구려악에 수공후와 봉수공후가 기록되어 있다. 또한 『통전』·『삼국사기』 등 백제 악기에 대해 기록하고 있는 중국·한국 사료 대부분에도 공후가 나타난다. 『고려도경』에는 향악에 공후가 포함되어 있으며, 『고려사』악지에는 공후가 다른 악기들과 더불어 신(新)악기로 수입되었다고 하였다. 즉 공후는 삼국시대부터 고려에 이르기까지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한반도 공후에 관련된 도상 자료는 고구려 문화를 그대로 계승하고 있는 발해의 정효공주묘 공후 악인상을 들 수 있다. 또한 725년에 조성된 상원사 범종의 공후는 봉수(鳳首)가 장식된 L자형 공후로, 고구려 문헌에 기록된 L자형 공후와 봉수공후를 결합시킨 독특한 형태라 할 수 있다. 9세기 중엽의 석탑에 보이는 건달바(乾□婆)상은 한반도 공후 도상의 특징을 반영하고 있는 귀중한 유물이라 할 수 있다. L자형 공후를 연주하고 있는 건달바상은 한반도에서만 찾아 볼 수 있는 특징이기 때문이다. 한민족에 의한 공후 수용의 일차적인 의미는 동서양의 단순한 음악 교류라는 차원을 넘어 이질적인 문화를 흡수하는 가운데 빚어진 새로운 음악 문화의 창출이라는 점에서 찾을 수 있다. 따라서 한반도 공후 수용은 실크로드의 연장선 이상의 의미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This essay concerns the history of the gonghu and its spread into Northeast Asia. I paid special attention to the history of the Korean variations and their meanings in the process of musical exchange between Korea and Central Asia. These procedures are explained below. 1. The shapes of the gonghu are classified as follows: ◁표 삽입▷(원문을 참조하세요) 2. The harp-like variation goes back to ancient civilizations. A C-shaped gonghu began to be performed in Mesopotamia and Persia circa 3000 BC, and in Egypt ca 2500 BC. In Mesopotamia and Persia ca 2000 BC, a more advanced L-shaped variation came into use, and with its emergence, the C-shaped type gradually disappeared. The C-type was introduced into Egypt ca 1000 BC, and in India it survived until the Gupta Dynasty, and also in Myanmar which is the only country today that has preserved and performs the Indian C-shaped gonghu. 3. When introduced into China both variations were carried along the Silk Road, and they came to take on regional characteristics. Records state that the shugonghu (vertical gonghu in Chinese) came from Central Asia while the phoenix-head gonghu was brought from India. As a matter of fact, the C-shaped variation is most often seen in the Xingang region which is under the Indian influence. In the Kizil (or Qizil) Caves in particular, there are two variations of this type: one with a phoenix, manifesting the fusion of the Indian and Persian cultures, and a new form called the Qizilian C-shape. The L-shaped variation that had originated in Persia is prevalent in most regions of China, including Gansu Province. This version emerged in the Northern Wei (北魏) Dynasty and became widespread during the Northern Zhou (北周) era, reaching its heyday during the Sui and Tang Dynasties, but then gradually died out. Frequently used along with this form of the gonghu, though not simultaneously, were such instruments as the bipa family, the piri, saenghwang, hoengchui, baeso, and the bakpan. Various types of the gonghu (Chinese for gonghu) were performed either with both hands or with the left hand alone from the Northern Wei era until the kingdom of Sui, but during the Tang era when they were most actively performed, they became fully ambidextrous. Written materials reveal that the gonghu was introduced into Japan by a musician from the Korean kingdom of Baekje around 809, and was adopted before the twelfth century at the latest. There is an L-shaped variation in the Shosoin (正倉院) in Japan, which affirms the instrument’s Northeast Asian features. In this part of the world, the C-shaped variation reached Korea, but the L-shaped type made it into Japan. 4. In the Korean Peninsula, the gonghu was employed in the music of Goguryeo and Baekje and its influence lasted well into Goryeo. The sections dealing with Goguryeo music in The Book of Sui and The Book of Tang attest to the shugonghu(vertical) and the bongsugonghu(phoenix-head). In addition, most of the Korean and Chinese books that contain information on the music of Baekje, such as Tongjeon and Samguksagi, also refer to the instrument. Goryeodogyeong regards it as part of indigenous music while Goryeosaakji treats it as one of the “new” imported instruments. These records testify that it was in use from the three kingdoms until the dynasty of Goryeo. A figure of musician in the Sepulcher of Princess Jeonghyo of Balhae which directly inherited Goguryeo’s culture is clear visual evidence of the instrument’s status in the Korean Peninsula. The gonghu portrayed on the bell of Sangweon Temple (established in 725) is in the shape of L and decorated with a phoenix-head, which is a unique form that combines the L-type as illustrated in Goguryeo’s records with the bongsugonghu. Geondalbasang on a stone pagoda which dates back to the mid-ninth century is an important piece of evidence for the Korean gonghu the image of Geondalba performing an L-shaped variation is an entirely Korean phenomenon. The introduction of the gonghu and its subsequent acceptance mean more than mere musical exchange between East and West, but rather the birth of a new musical culture given by the absorption of an entirely different culture. In this context, the meaning of the adoption of the gonghu in the Korean Peninsula transcends far beyond the Silk Road.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9016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07054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MUSIC(음악학과) > Theses (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