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35 0

<햄릿>의 한국적 수용 연구

Title
<햄릿>의 한국적 수용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Productions of in Korea
Author
박선희
Alternative Author(s)
Park, Sun-Hee
Advisor(s)
신일수
Issue Date
2007-0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셰익스피어의 작품은 근대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지속적으로 다양한 형식적 실험의 텍스트가 되어 왔다. 셰익스피어의 ≪햄릿≫을 실험적으로 재구성한 세 작품을 통해서 서구극의 수용 양상을 고찰해보았다. 첫 번째 작품은 한국적 전통의 토대 위에 번안한 ‘동랑 레퍼터리’의 ≪하멸태자≫(1976)이다. 이 작품은 ‘한국성’에 대한 논란은 있었지만, 70년대 중반에 최초로 한국적 번안과 전통의 재창조를 통해 서구극이 한국적으로 수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두 번째 작품은 언어보다는 비언어적인 표현수단을 통해 세계가 공감할 수 있는 보편성을 찾으려 했던 극단 ‘노뜰’의 ≪동방의 햄릿≫(2001)이다. 언어를 배제함으로써 더 넓은 소통의 영역을 무대 위에 확장시켰고, 비록 양식에서는 한국적인 전통을 차용하지 않았지만, 한국적인 정서로 셰익스피어를 재해석했다. 세 번째 작품은 관객에게 쉽게 다가갈 수 있는 대중성을 획득하는 것에 중점을 두었던 극단 ‘뛰다’의 ≪노래하듯이 햄릿≫(2005)이다. 인형과 가면을 사용하여 고전이 갖는 무게를 감소시킴으로써 대중에게 쉽게 다가갈 수 있는 음악극으로 ≪햄릿≫을 재탄생시켰다. 세 공연을 통해서 다음과 같은 유사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세 작품 모두 생략과 압축을 통해 텍스트를 최소화시켰고, 말의 시적인 운율을 살리고자 했으며, 시·청각적 이미지의 구현을 중요시했다. 끝으로, 배우들의 신체언어를 강조했다. 결과적으로 ≪햄릿≫을 재해석하는 방식은 각각 달랐으나 새로운 연극언어를 찾고자 하는 형식적인 실험을 시도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시도를 담아내기에 셰익스피어의 작품은 여전히 유용한‘열린 텍스트’이며, 고전의 해체와 재창조는 무대화에 있어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한다.; The works of Shakespeare have become the texts of various experiments on format from the modern age to the contemporary.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examine the receptive aspects of Western drama through three experimentally reconstructed Shakespeare’s ≪Hamlet≫. The first of three works is Dong-Rang Repertory’s ≪Prince Hamyul≫ which adapted on the basis of Korean tradition. Though the ‘Korean traits’ of this work was debatable, this work showed the possibility of Korean reception of Western drama through adaptation and the reconstruction of tradition. The second is the theatre company Nottle’s ≪Hamlet from the East≫ which tried to find the global universality by non-verbal expressive means. As this work excluded verbal language, the realm of communication expanded widely on the stage. Though this work did not follow the format of Korean tradition, it re-analyzed Shakespeare with Korean sentiment. The third is the performance group Tuida’s ≪Hamlet Cantabile≫ which focused on attaining the popularity to approach the audience easily. By making serious Classic drama humorous with puppet and mask, this work reconstructed ≪Hamlet≫ as musical drama to make an close approach to the public. All of these works are found to have some similarities. They abridged lines using the technique of omission and compression, intended to make poetic rhythm vivid, asserted visible and audible image and the body language of actors. Though each work took the different way of reconstruction, they tried experiments on format to find new theatrical languages through ≪Hamlet≫. It is found that Shakespeare’s works are still useful ‘open text’ to try these kinds of diverse experiments. And the experiments show us that the very deconstruction and reconstruction is useful tool for modernization of Classic dramas.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8992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07762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THEATER & FILM(연극영화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