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20 0

모의 양육태도 및 죄책감 경향성과 자아존중감의 관계

Title
모의 양육태도 및 죄책감 경향성과 자아존중감의 관계
Other Titles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Rearing Attitude, Guilt-Proneness, and self-esteem
Author
윤선희
Alternative Author(s)
Yoon, Sun-Hee
Advisor(s)
이정숙
Issue Date
2007-0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자신에 대한 개념을 형성하게 하는 자아존중감은 한 인간의 발달적 변화에서 핵심적 역할을 하는 주요한 변인 중의 하나로 연구자들의 많은 관심을 받아왔고 더불어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관한 연구들도 꾸준히 진행되어왔는데 그 중에서도 부모양육태도를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중요한 요인으로 연구되어져 왔다. 이 연구에서도 아동이 지각한 모의 양육태도가 아동의 자아존중감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알아보았다. 그리고 그 과정에서 기존에 수치심과 혼용되어 사용된 죄책감의 개념을 수치심과 구분하여 비교하고, 새로운 관점으로 본 죄책감이 긍정적 영향력으로 매개하는 것을 규명해보았다. 이를 위하여 서울· 경기지역 3개 초등학교 24학급 646명을 대상으로 오성심· 이종승(1982)이 제작한 부모양육태도 질문지, 수치심 및 죄책감 척도는 류설영이 재구성하고 김유희가 수정한 TOSCA(Test of Self-Conscious Affect), 자아존중감은 강종구가 번역한 SEI(Self-Esteem Inventory)를 사용하여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아동이 지각한 모의 양육태도, 죄책감 경향성, 수치심 경향성과 자아존중감의 상관관계는 어떠한가? 2-1) 아동이 지각한 모의 양육태도가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2-2) 아동이 지각한 모의 양육태도가 죄책감 경향성과 수치심 경향성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2-3) 아동의 죄책감 경향성과 수치심 경향성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3) 아동이 지각한 모의 양육태도가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죄책감 경향성, 수치심 경향성의 매개효과는 어떠한가? 연구에 대한 결과를 정리해 보면 첫째, 모의 양육태도가 애정적이고 합리적으로 지각될수록 자아존중감의 하위변인 중 자기존중, 타인과의 관계, 자기주장과 안정 수준이 긍정적이고, 애정적일수록 자아존중감의 하위변인 중 지도력과 인기 정도가 높음으로 나타났다. 둘째, 양육태도가 애정적일수록 아동의 죄책감 경향성과 수치심 경향성이 높고, 합리적일수록 수치심 경향성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죄책감 경향성이 높을수록 아동의 자아존중감이 높고 수치심 경향성이 높을수록 자아존중감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양육태도가 애정적, 자율적, 성취적, 합리적일수록 자아존중감의 하위변인 중 자기존중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죄책감 경향성의 부분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율적, 성취적, 합리적일수록 자아존중감의 하위변인 중 타인과의 관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죄책감 경향성의 부분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모의 양육태도가 자아존중감의 하위변인 중 지도력과 인기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죄책감 경향성의 매개효과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고, 양육태도가 자율적, 성취적, 합리적일수록 자아존중감의 하위변인 중 자기주장과 안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죄책감 경향성의 부분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수치심 경향성의 매개효과는 없었다. 이와 같이 이 연구에서는 아동이 지각한 모의 양육태도가 아동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죄책감 경향성과 수치심 경향성의 매개효과를 밝혔고 죄책감 경향성이 아동의 자아존중감에 긍정적 매개를 하는 요인으로 규명하였다. 이로 인해 긍정적 개념의 죄책감은 사회 적응적이며, 자아존중감이 손상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형성되도록 도울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연구자마다 죄책감에 대한 관점의 차이가 있고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주는 요인이 많기에, 실험연구와 다른 척도를 함께 사용하여 죄책감에 좀 더 정확성을 기하고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다양한 요인을 규명하는 후속연구가 더 필요할 것이다.; Self esteem which form concept about themselves had received much interests of investigators as one of important factors which acts central role in human's development change. And many researches about factors that influence in self esteem had been gone steadily, among those, Parent’s Rearing Attitude are studied as a important factor. In this Research, studied how mother's rearing attitude effect to a child's self esteem. And in process of this research, divided and compared shame with guilt which are mostly used together with, and examined that guilt by new point of view is mediated as positive effect. For these, questions about parents' bringing up attitude, a measure of shame and guilt, and self esteem were made up to Seoul, Kyonggi area 3 primary school 24 class 646 peopl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 Firstly, The own respect, social relationship, self-assertion and stability are affirmative When mother's Rearing Attitude is recognized as affective and rational. And the leadership and popularity are affirmative when mother's Rearing Attitude is affective. Secondly, The Guilt proneness and shame proneness are higher when mother's Rearing Attitude is affective. And the shame proneness is higher when mother's Rearing Attitude is rational. Thirdly, The self-esteem is higher when the guilt proneness is high. The other side that is lower when the shame proneness is high. Fourthly, guilt proneness which has influence on self esteem has mediation effect partly, when mother's rearing attitude is affective, autonomous, accomplish and rational. And also, guilt proneness which has influence on social relationship has mediation effect partly, when mother's rearing attitude is autonomous, accomplish and rational. The other side, guilt proneness which has influence on leadership and popularity has no mediation effect with mother's rearing attitude. and guilt proneness which has influence on self-assertion and stability has mediation effect partly, when mother's rearing attitude is autonomous, accomplish and rational. but shame proneness has no mediation effect. Thus, this study shows that mother's rearing attitude recognized by a child has mediation effect with guilt proneness and shame proneness which has influence on self-esteem and guilt proneness is a affirmative mediation factor of a child's self-esteem. However, is going to need more study about other many factors that influence a affirmative view of guilt proneness and self esteem.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8979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07221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CHILD PSYCHOTHERAPY(아동심리치료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