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40 0

'소음'의 정치학 : 1960년대 미국 화이트팬더당과 "문화혁명"

Title
'소음'의 정치학 : 1960년대 미국 화이트팬더당과 "문화혁명"
Other Titles
Politics of 'Noise' : White Panther Party and "Cultural Revolution" in 1960s in America
Author
심재겸
Alternative Author(s)
Shim, Jae-Kyom
Advisor(s)
김현식
Issue Date
2007-0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1960년대 미국은 경제적 풍요와 사회적 안정의 시기이자 냉전의 순응주의와 소비자본주의가 만들어낸 정신적 빈곤의 명암이 교차하던 시기였다. “60년대”라는 거대한 운동의 물결 속에서 존 싱클레어와 화이트팬더당을 비롯한 대항문화 청년들은 바로 이 물질적 풍요와 정신적 빈곤이라는 미국 사회의 모순적인 현실에 저항하고자 하였다. 대항문화의 상상력 넘치는 문화적 실험들은 신좌파 운동, 흑인 민권운동과 더불어 1960년대를 수놓는 하나의 저항의 에너지로 분출되었다. 이들은 신좌파나 흑인 민권운동과는 달리 ‘문화’를 문제삼으며, 기성 정치와는 전혀 다른 방식으로 사회를 변혁하고자 하였다. 초기의 대항문화는 전통적인 정치적 절차와 참여의 방식이 아니라 기성 사회를 거부하는 “이탈”의 힘으로써 ‘부정’을 통한 지향을 이루는 것이었다. 그 지향점은 바로 문화의 변형을 통한 “삶의 해방”이라고 할 수 있다. 그 과정에서 행해진 “대항공동체” 실험은 바로 억압적인 미국 사회 내에서 스스로가 자신에 대한 결정권을 가질 수 있는 자기 조직화의 장을 마련하는 것이었다. 하지만 대항문화가 기성사회의 문화의 경계를 건드릴 때마다 그들의 문화는 지역주민들에 의해, 경찰에 의해, 언론에 의해 제지되고 억압되었다. 결국 ‘자신들만의 낙원’이 존재할 수 없다는 사실에 대한 좌절과 분노는 “이탈”에서 “쟁취”로, “야수의 배 속에서” 일으키는 혁명이라는 방식으로 분출되게 된다. 독립적인 대항공동체에서 급진화된 혁명조직으로의 전환은 경찰과 같은 기성사회로부터의 압력 뿐 아니라 “68”이라는 전세계적 저항의 움직임에 영향을 받았다. 이 과정에서 만들어진 디트로이트 화이트팬더당은 로큰롤을 그 문화적 무기로 삼아 “아이들”을 정치화시킴으로써 기성사회의 견고한 성벽을 무너뜨리고자 하였다. MC5와 같은 로큰롤은 포드주의가 “아메리칸 드림”의 낙관주의에서 그 실패를 상징하는 국면으로 전환하던 역사적 순간의 파생물이었다. MC5의 주된 청중인 젊은 백인들에게 포드주의적 삶은 풍요로운 사회의 유산이자 희망 없는 미래를 의미하였고, MC5의 음악은 백인 노동계급의 감성에서 나온 것이지만 동시에 그것에 대한 거부를 표명하고 있었다. 화이트팬더당은 이 “백인성”과 “흑인성”의 모순적인 조합인 로큰롤이라는 ‘소음’의 정치학을 통해 “삶의 해방”을 이루고자 하였다. 테크놀로지의 힘에 의해 확장된 최고 출력의 전자 소음 속에서 모든 갈등과 분리, 고립은 사라지고 외부 세계와의 선을 긋는 ‘평화’와 ‘공존’만이 존재하고 있었다. 하지만 “음악이 끝나고 난 뒤,” 그들은 다시 현실로 돌아와야 했다. 1968년부터 1969년은 미국 사회의 모든 운동이 급진화되는 시기였다. 노선의 차이를 두고 분열하던 SDS는 지하 무장혁명을 원칙으로 삼는 일기예보자(Weatherman)를 낳았고, 민권운동은 경찰의 압력에 대항하여 스스로 무장할 것을 주장하는 블랙팬더당이 그 주도권을 잡게 되었다. SDS 출신이었던 제리 루빈과 애비 호프만이 샌프란시스코 대항문화를 정치운동에 끌어들여 이른바 “정치적 히피”가 되기를 원하였던 것처럼, 존 싱클레어와 화이트팬더당은 이러한 급진화의 경향 속에서 자신들 역시 외부적 압력에 대응하기 위한 “정치”를 끌어들여 “히피 혁명가”가 되고자 하였다. 하지만 “이탈”에서 “쟁취”로의 변화는 이들의 문화가 다양한 문화적 자원을 받아들였던 것과 마찬가지로 마오주의와 맑스-레닌주의를 차용한 또 하나의 절충주의였다는 것은 부정할 수 없다. 이 절충주의 끝에는 모순과 균열만이 기다리고 있었다. 급진적 군사조직이라는 꼬리표가 달리게 된 화이트팬더당은 FBI와 경찰의 조직적인 공격에 끊임없이 시달렸고, MC5는 이에 염증을 느끼며 화이트팬더당을 떠나 버렸다. 결국 화이트팬더당은 외부적 압력과 내부적 균열 속에서 점차 몰락의 길을 걸어갔다. 대항문화가 가진 의미와 중요성은 기존과는 전혀 다른 방식으로 정치를 ‘재정의’하려 하였다는 것이다. 신좌파가 문화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문화와 정치를 결합시키려 시도하였던 것과는 달리, 화이트팬더당의 ‘소음’의 정치학에서 문화라는 것은 곧 정치적인 것이었다. 이들이 던져준 것은 단지 문화와 정치의 결합이 아니라, 문화와 정치의 이분법을 넘어, 문화를 보다 정치적으로 사고하고 행동할 수 있는 단초의 제공이었다. 로큰롤은 절제와 억제의 정당성에 의문을 던지고, 은폐되고 억압되었던 것들을 드러내고 노출시킴으로써 문화가 얼마나 정치적 관계에 의해서 만들어지는지를 보여주었다. 대항문화가 SDS같은 학생운동과 흑인민권운동보다 기성세대에게 오히려 더 위험한 것으로 여겨졌던 것은 바로 이러한 차원의 반란이었기 때문이다. 화이트팬더당과 MC5의 ‘소음’의 정치학은 단순히 보고 듣는 행위의 음악을 전복시켰고 그 과정에서 문화적인 것과 정치적인 것은 하나가 되었다. 바로 이러한 점이 화이트팬더당과 ‘소음’의 정치학이 디트로이트와 대항문화 전반에 미친 막대한 영향이었다. 1960년대 미국 사회의 무감각하고 파편화된 삶으로부터 대안적 삶을 모색했던 청년들은 ‘소음’의 정치학 속에서 자신과 기성사회를 구분 짓는 하나의 “문화적 연대(affective alliance)”의 구심점을 발견하였고, 일시적으로나마 “삶의 해방”의 가능성을 경험할 수 있었다. 비록 대안적 삶의 구상과 실천이 실패로 돌아갔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항문화와 로큰롤은, 탐 헤이든의 말처럼, “삶이 달라질 수 있다는 생생한 증거”로서 남아 있다.; This article examines the White Panther Party(WPP) in Detroit in 1960s and their idea of “Cultural Revolution.” America in 1960s is the period of material prosperity and spiritual poverty. In wild waves of “Sixties" movement, Counterculture, including John Sinclair and WPP, protested this contradiction of modern America society. John Sinclair and WPP tried to reform society thorough cultural strategy which is profoundly different from the established politics. In early years, Counterculture's cultural revolution is not the participation in traditional political procedure, but the “Drop Out” politics refusing established society. The purpose is the “Liberation of Life,” which is synonym to social revolution, through the reform of culture. In this point, “Counter-Commuinty” experiment is construction of the realm of self-determinant. But, when they had given offense to the cultural edge of established society, their politics was restrained and oppressed by local authority. Conversion from independent artistic community to radicalized revolutionary organization was under the influence not only of oppression from established society, but of the trend of the worldwide movement, so called “68.” In this process, Detroit WPP tried to break down the solid rampart of society with politicizing “teenagers” by the Rock‘n’Roll as the cultural arms. Rock‘n’Roll, including MC5, can be judged as an outgrowth of that moment in history when the significance of Fordism shifted from representing the American Dream to standing for the failure of that dream. For white youth, life under the Fordism meant not only the legacy of affluent society, but the hopeless future of that at once. Rock‘n’Roll of MC5 did not simply reproduce the sensibility of white labor class, but rather stood as an attempt to turn that logic against itself. In politics of ‘Noise,’ WPP tried to liberate the life itself by Rock‘n’Roll which is conflicting mixture of “Whiteness” and “Blackness.” In high-decibel sound expanded by technology, there was only peaceful coexistence without separation and isolation. However, the change from “drop out” to “take over” can be judged as another eclecticism borrowing Marx-Leninist and Maoism revolutionary politics alike they adopted sources from diverse cultural style. In the end of the eclecticism, there were only contradiction and rupture. WPP was attacked by FBI and police for their “radical militancy,” so MC5 felt disgust for that and dropped out from WPP. Finally, WPP was disorganized due to not only external oppression, but internal rupture. The meaning and significance of counterculture is ‘redefining’ politics which is profoundly different from pre-existing idea. They offered thought that culture can be understood as politics, beyond the dichotomy between culture and politics. Rock‘n’Roll showed that the culture is constructed in the political relation, by questioning legitimacy of self-moderation and self-restraint and by exposing suppressed and oppressed. Because of this cultural dimension, counterculture was regarded as more dangerous revolt than New Left and Black Civil Right movement. For this reason, therefore WPP and politics of ‘Noise’ had vast influence in Detroit and counterculture.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8921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07334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HISTORY(사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