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55 0

남한지역 유구석부의 형식변화와 실험고고학적 방법에 의한 기능변화 추론

Title
남한지역 유구석부의 형식변화와 실험고고학적 방법에 의한 기능변화 추론
Other Titles
Experimental Archaeological Approach to South Korean Grooved-Adzes : Changes in Type and Function
Author
박지희
Alternative Author(s)
Park, Jee-Hee
Advisor(s)
배기동
Issue Date
2007-0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남한지역 유구석부의 세부속성 비교를 통하여 형식변화 과정을 살펴보고, 실험고고학적 방법에 의하여 유구석부의 기능변화를 추론해보고자 한다. 유구석부가 사용된 시간적 범위를 선송국리단계에서 점토대토기단계에 이르는 것으로 보았으며, 남한지역에서 유구석부가 출토된 유적을 대상으로 하여 유적의 성격, 입지유형, 공반유물 등을 검토해보았다. 형식분류에 사용된 속성은 刃腹의 각도와 형태, 전체길이에 대한 溝길이의 比, 단면형태 등으로, 그 중에서도 刃腹角에 따른 시기적 변화양상이 가장 뚜렷하게 나타나는 것으로 보았다. 따라서 刃腹角의 변화에 따라 Ⅰ~Ⅵ식까지 6개의 형식으로 분류하였는데, 刃腹角이 클수록 상대적으로 이른 시기인 송국리단계 유적에서 발견되고, 점토대토기단계에 이르면 刃腹의 각도가 0°에 가까워지면서 刃腹과 斧背가 거의 평행을 이루게 된다. 溝의 길이 또한 시기변화를 나타내는 주요한 요소로, 전체길이에 대해 溝가 차지하는 범위가 크고 斧頭에 가까이 위치할수록 이른 시기에 해당된다. 점토대토기단계에 이르면 상대적으로 溝의 길이가 짧아지게 되며 溝가 형태적으로 퇴화한 것처럼 보인다. 단면형태는 크게 제형, 터널형, 삼각형, 방형 등으로 나눌 수 있으며, 제형과 터널형의 경우 全시기에 걸쳐 확인되지만, 삼각형과 방형은 점토대토기단계의 유적에서만 확인된다. 또한 형식분류 결과를 토대로 유구석부의 형식별 지역분포를 살펴보았는데, 남한지역에서 유구석부가 출토되는 75개의 유적을 강 또는 해안을 중심으로 9개의 분포권을 설정하였다. 유구석부의 가장 이른 형식에 해당하는 Ⅰ식은 경기남부 및 충청내륙, 영남해안지역에서 확인되며, Ⅱ식은 충청 서해안지역에 집중적으로 분포하는 것을 알 수 있다. Ⅲ식부터 송국리단계에 해당하는 북한강유역 유적의 수가 증가하게 되며, 점토대토기단계의 유구석부가 발견된다. Ⅳ식부터는 점토대토기단계 유구석부의 수가 눈에 띄게 증가하게 되며, 강원 해안지역에까지 퍼져나가 널리 사용된 것으로 추정된다. Ⅴ식과 Ⅵ식은 점토대토기단계에만 발견되는 형태로 남부지방에 집중적으로 분포하는데, 삼각형과 방형의 단면을 갖는 것이 특징이다. 이와 같이 유구석부는 비교적 단순한 형태적 특징을 지닌 유물이지만, 시기별 · 지역별로 매우 다양한 양상으로 변화해 온 것을 알 수 있다. 유구석부의 기능을 추론해보기 위해서 실험고고학적 방법을 채택하였으며, 유구석부를 직접 제작하여 기능실험 연구를 진행하였다. 또한 형식변화에 따라 기능상의 변화가 있을 것으로 보고, 송국리단계와 점토대토기단계를 대표하는 각각의 형식을 선정하여 비교실험을 진행하였다. 유구석부가 목공구, 굴지구, 벌채도구 등의 용도로 사용되었을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구체적인 사용행위를 재연해 보았다. 굴지구 실험결과 刃腹角이 0°에 가까운 直刃형태의 점토대토기단계 유구석부가 송국리단계 유구석부보다 땅을 깊이 팔 때 효율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점토대토기단계의 유구석부가 송국리단계의 유구석부보다 기능적으로 발전된 형태로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유구석부가 세밀한 목재가공이나 땅을 파는 용도로 사용했을 때 효율성이 높다고 볼 수 없었는데, 실제 기능실험 중에서 가장 수월하게 진행되었던 것은 나뭇가지를 치는 작업이었다. 이는 나뭇가지의 뻗어나온 각도와 유구석부로 나뭇가지를 가격할 때의 각도가 일치한다는 점에서 쉽게 이해될 수 있다. 즉 유구석부는 벌채작업시 직접 벌목을 하는 용도는 아니지만, 벌목 전에 가지를 제거하거나 혹은 벌목을 한 후에 목재가공에 필요한 나무를 가공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이렇게 본다면 직접적인 벌목행위는 합인석부를 이용하였을 것이며, 유구석부는 벌채보조도구로써의 기능을 하였던 것으로 추정된다. 다수의 유적에서 합인석부, 유구석부, 석착 혹은 편평편인석부가 세트를 이루어 출토된다는 점에서 목재가공은 단순히 하나의 도구를 이용하여 이루어지는 공정이 아니라 각각의 기능을 갖춘 일종의 공구세트를 이용하여 진행된 일련의 연속된 공정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tudy the physical change of Grooved-adzes by comparing the detailed characteristics, and infer the functional change by experimental archaeology method. It is inferred that the Grooved-adzes were used from the Pre-Songukri Period to the Earthenware-with-Round-Clay-Bands Period. The paper also studi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archeological sites in South korea where the grooved-adzes were found. The location of the sites and other artifacts found from the sites are analyzed. Three attributes are mainly used to classify Grooved-adzes: the angle of the blade, the ratio of the groove length to the total length of the grooved-adze, the cross-section of the grooved-adze. Amongst them, the angle of the blade shows the most obvious changes over time. According to the angle of the blade, Grooved-adzes are classified into six different types: TypeⅠ~Ⅵ. Grooved-adzes with a large angle are found in Songukri Period sites, which are the early archeological sites, Grooved-adzes with almost zero degree blade are found in Earthenware- with-Round-Clay-Bands Period sites. Another important attribute to infer the age of Grooved-adzes is the length of the groove compared to the total length of the adze. Those with the higher ratio of groove to the total length, so the groove is close to the head of adze, are found in early archeological sites. Those found in Earthenware-with-Round-Clay- Bands Period have relatively shorter grooves, and the grooves seem degenerate. The various types of Grooved-adzes were differentiated according to the cross-section of the grooved-adze: trapezoid, tunnelshape, triangular and rectangular cross-section. Grooved-adze with trapezoid and tunnel shape cross-section are found in all sites but Grooved-adze with triangular and rectangular cross-section of the adzes are only found in Earthenware-with-Round-Clay-Bands Period sites. After identifying different types with this classification scheme, we study the regional distribution of different types of Grooved-adzes. Type I is the type from the earliest period that were found in southern Gyeonggi and Choongchung inland, Yeongnam coast area. Type II are mostly found in Choongchung west coast area. Type III are found in sites around northern Han River which is the Songukri Period sites, also found in Earthenware-with-Round-Clay-Bands Period sites. Many of type Ⅳ are from Earthenware-with-Round-Clay-Bands Period, and it can be inferred that those were used a lot in Gangwon coast area. Type Ⅴ and type Ⅵ are mostly found in the southern area. Even though Grooved- adzes were very simple and rudimentary tools, it is evident that they evolved with distinctive features in different regions over times. The experimental archeology method is used to infer the functional change of Grooved-adzes. The hypothesis was that there would be a functional change according to the physical change. The hypothesis tested was that Grooved-adzes were used to woodworking, dig, and lumber. The result of the experiment shows that Grooved-adzes with the almost zero degree blade were efficient to dig. Therefore, we can infer that Grooved- adzes in Earthenware-with-Round-Clay-Bands Period are more advanced than the ones in Songukri Period. On the other hand, it can be inferred that Grooved-adzes were not efficient to woodworking or dig. They were only useful to cut the branch. The clear evidence of this is that the angle of the branch is the same as the angle of the blade of Grooved-adze. It is likely that lumbering was done with Ax and Grooved-adze were supplementary tools. In most sites, Ax, Grooved-adze, Stone-chisel or Stone-plane found together in the same site, which shows there was a highly sophisticated procedure to lumber and manufacture wood products that different tools with different functions were used.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8887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07109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CULTURAL ANTHROPOLOGY(문화인류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