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09 0

자기개념명확성과 자의식이 주관적 안녕감 및 평가반응에 미치는 영향

Title
자기개념명확성과 자의식이 주관적 안녕감 및 평가반응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 of Self-Concept Clarity and Self-Consciousness on Subjective Well-being and an Affective Response in an Evaluating Situation
Author
문경하
Alternative Author(s)
Moon, Kyung-Ha
Advisor(s)
장성수
Issue Date
2007-0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자기개념의 인지적 구성요소인 자기개념명확성과 자의식이 주관적 안녕감과 타인의 평가에 따른 정서 반응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기존의 자기에 대한 연구가 평가적 측면에 치우쳐 있어 자기개념의 구조적 측면에 대한 연구는 충분히 다루어 지지 않고 있다. 또한 자의식의 하위 변인 중 사적 자의식은 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상반된 연구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 238명을 대상으로 자기개념명확성척도와 자의식척도, 주관적 안녕감 및 타인의 평가에 따른 정서 반응 척도를 사용하여 응답도록 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자기개념명확성은 주관적 안녕감과는 유의한 상관을 보이지 않았고, 타인의 평가에서 긍정평가 상황에서 긍정정서와 부정 평가 상황에서 부정정서와 모두 유의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으로 자기개념이 명확한 사람일수록 긍정적인 피드백을 받는 것을 선호하고 부정적 피드백을 거부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주관적 안녕감과 자의식과의 상관을 알아본 결과 사적 자의식이 주관적 안녕감의 하위변인 중 긍정감과 부정감에 유의한 상관을 보인 반면 공적 자의식은 유의한 상관을 보이지 않았다. 타인의 평가에 따른 정서반응에는 사적 자의식과 공적 자의식 모두 유의한 상관을 보이지 않았다. 이 결과는 자의식에서 사회적 불안의 효과를 배제했을 때 나타나는 것으로 사적 자의식은 사회적 불안과 관계없이 적응에 영향을 줌을 알 수 있었고 타인의 평가 상황에서 중요한 것은 개인이 초점을 어디에 두는가 보다는 사회적 불안이 크게 작용함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자기개념명확성의 수준에 따라서 자의식이 주관적 안녕감 및 타인의 평가에 따른 정서 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자기개념명확성 수준이 높을 때에 사적 자의식과 공적 자의식은 주관적 안녕감의 부정감과 유의한 상관을 보였다. 또한 자기개념명확성이 높은 집단에서는 사적 자의식과 공적 자의식이 부정 평가 상황에서의 부정 정서에서 유의한 상관이 나타났다. 반면에 자기개념 명확성 수준이 낮을 때에는 긍정감과 사적 자의식만이 유의한 상관을 보였다. 즉, 자기개념명확성 수준이 높을 때에 사적 자의식은 부정적 정서를 더 느끼게 하고 자기개념명확성 수준이 낮을 때에 사적 자의식은 긍정적 정서를 더 느끼게 함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 자기개념명확성은 개인이 일상에서 느끼는 정서나 만족감 보다는 타인의 평가 상황에서 더 안녕감을 느낄 수 있도록 작용함을 알 수 있다. 또한 사적 자의식이 높은 사람, 즉 자신에게 몰두하는 사람은 정서의 내용과 상관없이 자신이 느끼는 정서 그 자체에 민감함을 알 수 있다. 마지막으로 자기개념명확성 수준에 따라서 사적 자의식의 효과를 조절해주는 기능을 함을 확인하였다.;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how self-concept clarity and self-consciousness affect on subjective well-being and an affective response in an evaluating situation of the other people Previous self-concept studies incline to evaluation part of self-concept like a self-esteem. Therefore, we need studies self-concept clarity which is constructive part of self-concept Also, personal self-consciousness, one of the self-consciousness variables shows conflicting result to the study. The study questions were as follows: Study Question 1. What would self-concept clarity and self consciousness affect on subjective well-being and an affective response in an the evaluation of the other people? Study Question 2. What would self-concept clarity affect on self consciousness? For the study 238 students ( 128 males, 110 females) were given question. In the result of study, First, it didn't exit correlation between self-concept clarity and subjective well-being, but it exited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elf-concept clarity and positive affective in positive evaluating situation of the other people and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self-concept clarity and negative affective in negative evaluating situation of the other people. Second, Personal self consciousness showed positive correlation with positive affection and negative affection which are a lower variable of the subjective well-being, the other side, Public self consciousness didn't show any correlation with subjective well-being. Also, it didn't exited correlation between personal self consciousness and public self consciousness and affective response in an evaluating situation of the other people. Third, We inquired result that Self consciousness affect on subjective well-being and an affective response in an evaluating situation of the other people by the level of self-concept clarity. Personal self consciousness and public self consciousness showed positive correlation with negative affection of the subjective well-being and negative affective in negative evaluating situation of the other people in the high level of self-concept clarity while it exited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personal self consciousness and positive affection of the subjective well-being by the low level of self-concept clarity. Based on above result, this study investigates that the self-concept clarity operates that we feel more good health in an evaluating situation of the other people than in the daily affection. Also. this study investigates that the person that has high self consciousness level sensitives an affection to feel himself regardless of affection contents.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8818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07505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EDUCATION(교육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