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41 0

자기생산(Autopoiesis)이론에 기반한 실천학습의 학습체화(Learning Embodiment) 메커니즘에 관한 질적 연구

Title
자기생산(Autopoiesis)이론에 기반한 실천학습의 학습체화(Learning Embodiment) 메커니즘에 관한 질적 연구
Other Titles
A Qualitative Study on the Mechanism for Learning Emboidment based on the Autopoiesis Theory in Action Learning
Author
김연희
Alternative Author(s)
Kim, Yeon-Hee
Advisor(s)
유영만
Issue Date
2007-0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교육공학을 태동시킨 학문적 배경인 경험주의적 인식론을 기반으로 한 지식의 습득과정을 Maturana와 Valera의 자기생산(autopoiesis)적 관점에서 새롭게 규명하고자 하였다. Maturana와 Valera에 따르면 인식의 과정이란 생명체의 특성인 행위와 경험의 순환성을 전제로 하기 때문에 생명체의 자기생산메커니즘으로써 이해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아래 지식이란 인간이 행동하고 관찰한 것을 바탕으로 지속적인 성찰을 함으로써 질적 변화를 겪는 과정에서 얻어지는 모든 경험의 총체이다. 또한 학습은 학습자가 자기경험의 역사를 바탕으로 자기세계를 끊임없이 구성해가는 학습체화(learning embodiment)과정에서 발생한다. 본 연구는 자기생산이론을 기반으로 하는 학습체화적 관점에서 실질적인 문제를 해결해 나가는 실천학습(action learning)을 통해 좀 더 구체적인 학습체화 메카니즘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실천학습에서 학습체화 메커니즘이 어떻게 나타나며, 이를 촉진 및 저해하는 요인이 무엇인지 살펴봄으로써 실천학습을 설계 하거나 운영, 혹은 실천학습에 참여하는 데 있어 어려움을 겪는 사람들에게 몇 가지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세 명의 실천학습 전문가로부터 추천 받은 다섯 개의 사이트에서 추천받은 열 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 하였고, 한 개의 사이트에서 참여관찰을 수행하였다. 수집한 데이터를 질적 연구 방법으로 분석 및 해석하였고,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 할 수 있었다. 첫째, 실천학습의 학습체화 과정을 ‘소통의 과정’으로 규명하였다. ‘이심전심’, ‘의사소통’, ‘사통팔달’으로 소통과정을 구분하였다. 소통의 과정은 느낌이 통한 후 언어가 통하는 식의 순차적인 과정이 아니라, 느낌과 언어, 경험이 통하는 과정들로 혼재되어 나타난다. 이러한 소통과정을 통해 각 개인은 비로소 타인에 대해 이해하게 된다. 타인에 대한 이해는 각 개인이 갖고 있는 생각의 틀인 자신의 고정관념을 차츰 유연하게 만들어준다. 그리고 그 과정 중에 어느 순간 경계가 열리면서 학습자는 타인의 경험을 통해 자신의 경험을 확장하게 된다. 자신이 고집하던 방식을 버림으로써, 새로운 가능성이 존재한다는 것을 깨닫는 순간이다. 그러나 이때, 어느 정도 이상으로 소통이 충분하게 일어나지 않으면 경계가 열리지 않고 개인의 구조는 더 단단하게 보존된다. 타인의 새로운 경험을 자신의 경험에 비추어 해석하는 과정이 이에 해당되며, 이러한 과정은 개인의 관점이 더 확고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부정적인 경우에는 타인과 구조의 차이로 인해 갈등이 발생할 수 있다. 둘째, 자연 생태계에서 생물종들이 형성하는 긍정적 상호작용 관계를 차용하여, 실천학습의 학습체화 유형을 ‘구조닿음’, ‘구조부대낌’, ‘구조얽힘’으로 규명하였다. 구조닿음은 타인과 아무런 영향도 주고받지 않는 관계이다. 구조부대낌은 상대방으로 인해 자신의 경험을 버릴 수 있을 정도로 큰 영향을 주고받는 관계이며, 구조얽힘은 이러한 구조부대낌이 반복적으로 일어남으로 인해 구조변화의 역사성이 내포되어있는 관계이다. 구조닿음, 구조부대낌, 구조얽힘은 학습자의 관계가 발전하는 단계로도 볼 수 있다. 구조닿음에서는 각 개인이 자신의 경험 구조를 보존하는 과정을 거친다. 학습자들 사이에 충분한 소통이 일어날 때, 구조닿음은 구조부대낌과 구조얽힘으로 발전 할 수 있다. 이러한 관계에서는 상대방으로 인해 자기의 구조를 버리고, 변화시키는 과정을 통해 ‘구조의 확장’이 일어난다. 셋째, 실천학습의 학습체화 메커니즘에 대한 촉진 및 저해 요인을 미시적 차원에서부터 거시적 차원으로 나누어 규명하였다. 퍼실리테이터, 교육담당자, 과제선정, 스폰서, 제도는 각기 차원을 달리하며 학습체화에 영향을 준다. 이러한 요인들은 그물망처럼 얽혀 있으면서 직접적 혹은 간접적으로 학습체화를 촉진하거나 저해한다. 이상의 연구결과는 크게 학문적 측면과 실용적 측면에서 시사점을 제시한다. 본 연구는 학문적으로 세 가지 의의를 갖는다. 첫째, 생물학적 관점을 통해, 학습에 대한 간학문적 연구를 시도하였다. 둘째, 지식과 경험의 선순환(善循環)적 상호작용은 개인차원 뿐 만 아니라 공동체 차원에서도 일어남을 규명하였다. 셋째, 실천학습에서 나타나는 관계맺음의 다양한 양상을 구명함으로써 실천학습을 전략적으로 설계할 수 있는 일종의 지침을 제시하였다. 또한 본 연구는 실용적 측면에서 두 가지 의의를 갖는다. 첫째, 학습체화 메커니즘은 조직에 지속가능한 학습 원리를 제시한다. 둘째, 자기생산과 구조접속, 학습체화라는 철학적이고 개념적인 논의를 실천학습 현장에서 벌어지는 구체적 장면으로 해석함으로써 그러한 논의들의 현장 적용 가능성을 탐색하였다.; First, the process of learning embodiment in action learning was identified as the process of communication. This process of communication was divided into 'feeling-connection', 'language-connection' and 'experience-connection'. The process of communication is not a sequential procedure, but is a mixed procedure with the connection process of feeling, language, and experience. Through the process of communication, each individual is able to understand others. This understanding makes the fixed idea flexible. As the boundary of the idea opens, learners share their own experience through other's experience. As destructing the way of an fixed idea learners recognize new possibilities. However the individual structure is conserved, if communication has not occurred above a certain specific level. This conserving phase includes processes of interpreting other's experience with self, which plays a role in convincing individual perspective. If the situation flows negatively, tension can happen due to the structural differences with others. Second, by using a positive interactive relationship, which is constructed among living beings in natural ecology, this study identifies types of learning embodiments in action learning as 'structural meeting', 'structural friction' and 'structural entangling'. Structural meeting means relationships where learners do not influence others. Structural friction means a relationship where learners give up their own experience by interacting others, and structural entangling means a relationship that includes the history of structural change with repetitive structural friction. Structural meeting, structural friction, and structural entangling can be recognized as a phase when the relationship among learners is developed. Each individual intends to 'build their own structure of experience. When communication has occurred enough between learners, this can develop into structural friction and structural entangling. In this relationship, the experience structure of learner can be extended by giving up and transforming their own structure. Third, this study identified the factors that facilitate and disturb the learning embodiment mechanism of action learning from micro level to macro level. Learning embodiment is influenced by facilitators, persons in charge of HRD, sponsors, and systems of different levels. These factors have complex relationships among them. And they facilitate or impede the learning embodiment directly or indirectly, existing like a complex net. The above results provide implications on an academic and practical level. This study has three considerations in the academic field. First, this study looked at the interdisciplinary method about learning through the perspective of biology. Second, this study identified that circular interaction of knowledge and experience occurs at not only an individual level, but community level as well. Third, this study provides guidelines designing action learning through identifying various aspects of relationship construction in learning. Also, this study has consideration in an academic field. First, the learning embodiment mechanism gives sustainable learning principles. Second, this study explored the possibility of practical application about the autopoiesis, structural coupling, and learning embodiment by interpreting these conceptual and philosophical discussions into specific phenomenon in action learning.; The process of perception needs to be taken as an autopoeitic mechanism, because this process is based on the circularity of action and experience. Under this perspective, the knowledge is an entity of experience that is gained through reflection. The experience is transformed by human beings reflecting continuously. This learning occurs during learning embodiment that constructs learner's own world based on their history of experience continuously. The learning embodiment mechanism based on the perspective of autopoiesis will suggest more understanding of learning through the action learning which solves critical problems. Following with the problem concenrs, his study intends to show how the learning embodiment mechanism operates and what factors facilitate or resist the learning embodiment mechanism. This gives some implications where people have difficulties with designing, operating and participating in the action learning. Thus,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ten interviewees from five sites, which is referenced by three professionals and was performed on one site. This collected data was analyzed and interpreted by qualitative study, so the results are as follows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8815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07507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EDUCATIONAL TECHNOLOGY(교육공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