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38 0

블렌디드 러닝(Blended Learning)에서 성찰일지의 작성이 학습동기와 학습결과에 미치는 영향

Title
블렌디드 러닝(Blended Learning)에서 성찰일지의 작성이 학습동기와 학습결과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s of Writing Reflection Journal on student's Motivation and learning result in Blended Learning
Author
장은호
Alternative Author(s)
Chang, Eun-Ho
Advisor(s)
權聖湖
Issue Date
2007-0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블렌디드 러닝에서 성찰일지 작성을 하게 하는 것이 학습동기와 학습결과를 높여 주는가를 알아보는 것이다. 본 연구는 블렌디드 러닝에서 성찰일지를 지원했을 경우에 학습동기와 학습결과가 더 나은 결과를 보여주는가라는 문제에서 출발하였다. 성찰일지에 대한 연구는 기존에 주로 웹기반학습에서 연구되어졌다. 웹기반 학습보다 블렌디드 러닝이 더 높은 효과를 나타내었다는 기존의 연구들은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여기에 웹기반 학습에서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성찰에 관한 이론을 성찰일지의 작성을 통하여 구현하였다. 그리고 성찰일지의 작성이 학습동기와 학습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절차와 연구 방법을 수행하였다. 온라인 학습은 J 대학 CTL에서 지원을 받았고, 여기에 오프라인 학습을 추가하여 블렌디드 러닝을 실시하였다. 연구 대상은 총 44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44명의 학생을 두 집단으로 나누고 학과목의 배경지식을 조사하고 동질집단인지의 여부를 확인하였다. 동질성 확인 후 실험집단 22명에게 성찰일지의 작성을 실시하였다. 4주간의 성찰일지 작성 후 최종적으로 학습동기와 학습결과를 측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블렌디드 러닝에서 성찰일지의 작성이 학습동기(주의력, 관련성, 자신감, 만족감)를 높여 주는가? 둘째, 블렌디드 러닝에서 성찰일지의 작성이 학습결과를 높여 주는가? 본 연구의 결과를 연구문제에 따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동기에서 주의력 항목의 사후 검사 결과, 두 집단의 평균은 5 만점에서 .597점의 차이가 있었다. 하지만 이 점수 차이는 유의수준 .05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다고 나타났으므로(, p=.001), 두 집단은 본 연구에서 다루는 성찰일지의 사용 후에 주의력 항목에서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높은 결과를 얻었다고 볼 수 있다. 관련성 항목의 사전 검사 결과, 두 집단의 평균은 5 만점에서 .182점의 차이가 있었다. 하지만 이 점수 차이는 유의수준 .05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다고 나타났으므로(, p=.064), 두 집단은 본 연구에서 다루는 성찰일지의 사용 후에도 두 집단 간 차이가 없었다고 볼 수 있다. 자신감 항목의 사전 검사 결과, 두 집단의 평균은 5 만점에서 .347점의 차이가 있었다. 하지만 이 점수 차이는 유의수준 .05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다고 나타났으므로(, p=.009), 두 집단은 본 연구에서 다루는 성찰일지의 사용 후에 자신감 항목에서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높은 결과를 얻었다고 볼 수 있다. 만족감 항목의 사전 검사 결과, 두 집단의 평균은 5 만점에서 .359점의 차이가 있었다. 따라서 이 점수 차이는 유의수준 .05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다고 나타났으므로(, p=.004), 두 집단은 본 연구에서 다루는 성찰일지의 사용 후에 만족감 항목에서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높은 결과를 얻었다고 볼 수 있다. 즉, 동기 요소 중 관련성을 제외한 주의력, 자신감, 만족감의 항목과 학습결과에서 두 집단 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그리고 실험집단이 주의력에서 0.597점, 관련성에서 0.182점, 자신감에서 0.347점, 만족감에서 0.359점 높았다. 실험집단에서 가장 높은 수치를 보인 동기의 요소는 큰 순으로 주의력, 자신감, 관련성, 만족감이고, 통제집단에서는 관련성, 자신감, 만족감, 주의력의 순이다. 두 집단 간 가장 많은 차이가 난 동기 요인으로는 주의력, 만족감, 자신감, 관련성의 순이다. 둘째, 최종 학습결과, 두 집단의 평균은 10점 만점에서 1.00점의 차이가 있었다. 이 점수 차이는 유의수준 .05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p=.018). 결과적으로 성찰일지의 작성을 실시하였던 실험집단의 최종 학습결과가 통제집단보다 높은 점수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비실시간 원격교육에서 성찰일지를 사용하여 학습자 성찰을 하도록 하는 것이 학습자의 동기에 영향을 미치게 되어, 학습동기를 높여줄 것이라는 이상수, 허희옥(2002)의 연구와 일치한다. 또한 학습에서 자기 성찰의 중요성을 확인시켜준 바 있는 Dewey(1997)과 Mezirow(1990)의 주장을 뒷받침해 주고 있다. 본 연구의 결과에 따른 제언은 다음과 같다. <가설 1-1>, <가설 1-3>, <가설 1-4>는 모두 두 집단 간 사후 검사 결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하지만 <가설 1-2>는 두 집단 간 사후 검사 결과 유의하지 않았다. 이러한 내용의 원인을 찾기 위해 학습자들이 작성한 성찰일지를 발췌해 본 결과 다음과 같았다. “내용은 이해가 가능하다.”, “갈등의 이상적 수준을 배웠다.”, “갈등관리에서의 point라고 하겠다.”, “강의는 충분했다.”, “두 가지가 나의 부족한 부분이며 고쳐 나갈 부분이다.”, “강의를 듣고 반성을 하고, 그런 상황에 잘 대처할 것이라는 자신감이 생겼다.”, “순기능과 역기능이 중요하다고 생각했다.”, “실제 기업의 사례나 자료에 대해 좀 더 알았으면 한다.”, “많이 놀랐다.”, “이해는 된다. 하지만 나는 실생활에 이론을 잘 응용하지 못할 것 같다.”. 성찰일지를 작성한 대부분의 학생들은 자신이 학습한 내용을 정리해 보고 자신의 학습에 대한 평가를 스스로 실시하였다. 또한 중요한 맥락을 스스로 잡아보았으며, 자신이 부족한 학습에 대한 계획을 세웠다. 이러한 내용을 성찰일지에 작성함으로써 학습자들은 학습동기에 높은 점수를 보여준 것으로 결론지을 수 있다. 또한, 대부분이 긍정적으로 자기 자신의 학습을 평가하고 자신의 적용방안을 고민하는 모습을 엿볼 수 있다. 하지만 응용을 하는 것에 대한 내용은 대부분의 글에서 볼 수 있듯이, 미래의 계획이다. 즉 현재는 이론을 실제에 적용해 볼 수 있는 기회가 없었던 것이다. 이는 충분한 시간을 가지고 성찰일지의 작성을 실시하면서 학습동기를 살펴본다면 관련성 항목에서도 유의한 결과를 보일 수 있을 가능성을 시사해 주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whether the writing of reflection journal will increase learning motivation and learning result in blended learning or not. This study starts from the recognition of problem of whether the support of reflection journal can show better results in learning motives and learning consequences. The study on reflection journal was largely made on the web-based learning in the past. The existing studies have lively been made which blended learning showed better effects than web-based learning. The theory on reflection which had actively been made on web-based learning was being materialized by writing reflection journal. This study has tried to find how the writing of reflection journal has an effect on the learning motivation and learning result.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research procedures and methods were being conducted as follows. The active support about on-line learning from CTL at J university was given to me, with blended learning being conducted with off-line learning. Subjects totally consisted of 44 students. They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Furthermore the background knowledge of the class was investigated, with the certification of same groups or not. After the certification, experimental group of 22 students wrote reflection journal as scheduled by the study. After writing reflection journal during four weeks, learning motives and learning consequences were finally being measured. The following is the research project designed in this study. First, can the writing of reflection journal in blended learning increase learning motivation(attention, relevance, confidence, satisfaction)? Second, can the writing of reflection journal increase the learning result in bended learning? The results of the study can be shown as follows in accordance with the study. First, the study made an after test on attention factor in learning motivation. There were significantly difference of .597 in five points scale at the average of two groups. So, the difference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at .05(, p=.001). It can be said to show the fact that experimental groups got a higher result than control groups at the attention factor after using reflection journal designed by the study. At the result of test about the factor of relevance, the average of two groups showed the difference of 0.182 in five points scale. However, there was not a significant difference at the .05(, p=.064). The result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after using reflection journal designed in the study. The results of pre-test of the factor of confidence showed difference of .347 from five points scale in the average of two groups. So, the difference shows a significant one at the .05 of significance level(, p=.009). From the difference, it can be stated that experimental groups got a higher result than control group in confidence factor after using reflection journal designed in the study. The result of pre-test of the factor of satisfaction showed difference of .359 from five points scale in the average of two groups. So, the difference showed a significant result at the .05 of significance level(, p=.004). From the difference, it can be summarized that experimental groups got a higher result than control group in satisfaction factor after using reflection journal designed in the study. The factors of attention, confidence and satisfaction except for relevance factor among motive factors and learning result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At the same time, experimental group showed the higher points of 0.597 in attention factor , 0.182 in relevance factor, 0.347 in confidence factor and 0.359 respectively than control group. The motivation factors that show the highest points in experimental groups is as follows in ranking order. The ranking orders are attention, confidence, relevance and satisfaction respectively. Second, at the result of final learning, there was difference of 1.00 at 10 points scale between the average of two groups. The difference of these points may be said to be a significant result of .05 of significance degree(, p=.018). So the final learning result of experimental group who had written reflection journal showed the higher points than control group. Such results of the study were consistent with study conducted by Lee SangSu and Heo HeeOk's(2002) study that the using of reflection journal in cyber education may have an affect on the motive of learner, increasing the motive of learning. This study supports the theory of Deway(1997) and Mezirow(1990) who confirmed the importance of self-reflection journal in learning. The following is some proposals suggested by the result of the study. , ,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fter-test of two groups. However, didn't show a significant result at the after-test of two groups. To find the sources of this result, an attempt was made to analyse the reflection journal written by some subjects with the following results. "It is possible to understand the content of the text.", "I learned the proper level of conflict.", "It is main point of conflict management.", "It is enough to understand the lecture.", "I have lacks of two in myself. I need correct my shortcomings." "I reflect on myself after lecture, getting self-confidence of being able to face the situation well." "I thought that the function and dysfunction of conflict were important.", "I like to learn cases and materials at the real fields.", "I was much surprised.", "I understand. But I am not likely to apply theories into the real fields." Most of students writing reflection journal summarized the content learned by themselves, estimating the degree of their self-learning. Furthermore they tried to catch the key points by themselves, making a schedule about learning of their lacking parts. It may be summarized that learners showed higher points in learning motivation by writing the relative contents on the reflection journal. At the same time, most of learners showed that they estimated positively their learning degree with the recognition of their agony about the application method by themselves. In terms of the contents of application of theories, however, learners have no chance to apply their learning theory into real fields. It may be confirmed by their most reflection journal. The study has shown the fact that it is possible to have a significant result in the factor of relevance if learners carefully check their learning motivation with the writing of reflection journal under the enough time in future.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8814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07278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EDUCATIONAL TECHNOLOGY(교육공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