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80 0

낙인수준이 낙인수준 및 금연행동의도에 미치는영향에 관한 연구

Title
낙인수준이 낙인수준 및 금연행동의도에 미치는영향에 관한 연구
Author
이선영
Advisor(s)
이병관
Issue Date
2007-0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최근 사람들은 건강에 대한 투자를 아끼지 않고 있으며, 음주나 흡연과 같은 건강을 해치는 행위를 줄이려고 한다. 그 중 흡연율은 점차 줄어드는 경향을 보이고 있지만 아직까지 우리나라의 흡연율은 선진국에 비해 매우 높다. 따라서 흡연율 감소를 위해 어떤 금연캠페인 메시지를 전달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지에 대해서 낙인 인식 수준에 따른 자기감시와 성별의 상호작용 효과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서울·경기 지역, 경북지역의 대학생과 20-30대 일반인을 중심으로 편의표집방법을 통하여 설문을 배포하여 총 513부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중 흡연자, 금연자, 비흡연자로 구분하여 분석을 실시하였고, ±.25와 표준편차 값을 곱한 후 각 집단의 평균값을 더해 값을 구한 후 그 중간치를 제거하여 낙인과 자기감시 수준을 고·저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그리고 흡연태도는 흡연의 부정적 영향(adverse effects of smoking), 흡연의 심리적 이점(psychoactive benefits of smoking), 흡연의 즐거움(pleasure of smoking)으로 나누어 측정하였다. 통계분석은 일원배치분산분석(one-way ANOVA)과 공분산분석(ANCOVA) 그리고 위계적 회귀분석(Hierarchical Regression)을 사용하였다. 첫 번째, 연구가설 1의 결과를 살펴보면 금연변화단계에 따라 낙인 인식의 차이는 낙인수준의 평균이 낮게 나타났기 때문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아 집단간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평균의 차이를 살펴보면 계획 전 단계에서 준비단계로 갈수록 낙인수준이 높아졌고, 행동단계에서 유지단계로 갈수록 낙인수준이 낮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두 번째, 연구가설 2의 결과를 살펴보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나지 않았지만 각 집단의 평균 차이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흡연의 부정적인 영향에 대한 태도에서 모든 집단에서 낙인수준이 높을수록 흡연태도가 부정적으로 나타났고, 흡연에 대한 심리적 이점에 대한 태도에서는 흡연자와 비흡연자의 낙인이 높을수록 비교적 긍정적인 흡연태도를 보였다. 또한 흡연의 즐거움에 대한 태도의 평균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흡연자, 금연자, 비흡연자 모두 낙인수준이 높을수록 긍정적인 흡연태도가 나타났다. 세 번째, 연구가설 3의 결과를 살펴보면 낙인과 성별의 상호작용 효과를 살펴본 결과 모든 집단에서 유의미하지 않게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평균의 차이를 살펴보면 흡연자의 경우 모든 흡연태도에서 낙인 수준이 높을 때 여성흡연자가 남성흡연자보다 더 부정적인 흡연태도를 보였다. 그리고 금연자의 경우, 흡연의 부정적 영향과 흡연의 심리적 이점에서 높은 낙인수준에서 여성이 남성보다 부정적인 흡연태도를 보였지만 흡연의 즐거움에서는 높은 낙인수준에서 남성이 여성보다 부정적인 흡연태도를 보였다. 비흡연자의 경우 흡연의 심리적 이점에서 낙인 수준이 높을 때 남성보다 여성이 부정적인 흡연태도를 보였으며, 흡연의 즐거움에서는 남성이 여성보다 부정적인 흡연태도를 보였다. 네 번째, 연구가설 4-1의 결과를 살펴보면 낙인과 자기감시의 상호작용 효과가 유의미하지 않게 나타났지 않았지만 평균의 차이를 비교한 결과 흡연자의 경우 흡연의 부정적 영향과 흡연의 즐거움에서는 낙인수준이 높고 자기감시가 높을 때 흡연에 대해 더 부정적인 태도를 보였다. 금연자의 경우 흡연의 즐거움을 제외한 나머지 태도에서 자기감시수준이 낮고 낙인수준이 높을 때 부정적인 흡연태도를 보였다. 비흡연자는 흡연의 부정적 영향에서만 자기감시 수준이 낮을 때 높은 낙인수준에서 부정적인 흡연태도를 보였다. 다섯 번째, 연구가설 4-2의 결과를 살펴보면 흡연의 부정적 영향과 흡연의 즐거움은 금연행동의도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성별과 연령은 금연행동의도에 부적인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여성이고 연령이 어릴수록 긍정적인 금연행동의도를 나타낸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흡연특성인 흡연기간, 흡연양도 금연행동의도를 설명하는데 유의미한 변인이었으며, 그 중 흡연기간은 정적인 영향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고, 흡연양은 부적인 영향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흡연자의 경우 흡연기간이 길수록 금연을 행동하려는 의도가 증가한다고 할 수 있고, 흡연양이 많아질수록 금연행동의도가 감소된다고 할 수 있다. 연구 가설 이외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난 결과를 살펴보면 흡연의 즐거움에서 낙인 × 자기감시 × 성별의 상호작용효과가 나타났다. 즉, 흡연 여성은 낙인수준이 높고 자기감시 수준이 높을 때 가장 부정적인 흡연태도를 보였고, 흡연 남성은 낙인수준이 낮고 자기감시 수준이 높을 때 가장 부정적인 흡연태도를 보였다. 또한 비흡연자의 경우에서 흡연의 심리적 이점에서 낙인 × 자기감시 × 성별의 상호작용효과가 나타났는데 비흡연 여성은 낙인수준과 자기감시수준이 낮을 때 흡연태도가 가장 부정적으로 나타난 반면, 비흡연 남성은 흡연자에 대한 낙인수준이 낮고 자기감시수준이 높을 때 부정적인 흡연태도를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성별과 연령, 흡연양, 흡연기간, 자기감시 수준과 낙인수준을 고려하여 다양한 타깃을 대상으로 특성에 맞는 금연 캠페인 메시지를 개발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즉, 남성흡연자 뿐만 아니라 여성흡연자에게 적극적인 홍보와 국가적 지원이 필요하며, 흡연자뿐만 아니라 금연자도 다양한 변인을 고려하여 실질적인 도움을 제공할 수 있는 메시지 전략이 필요하다는 것을 강조하고 싶다.; These days many people put money into their health care and try to reduce drinking and smoking for their health. Though the smoking rate is getting lower in Korea, it is still very high comparing with an advanced country. So this study analyzes self-monitoring and interaction effect of sex distinction by recognition level what kind of smoking messages are the most effective for reducing smoking rate. I conducted total 513 questionaires survey of college and university students in Seoul, Gyeonggi, and Gyeongbuk area, and general public in their twenties to thirties. They were classified into a smoker, nonsmoker experienced in smoking and nonsmoker. After multiplied ±.25 by standard deviation, I added to each group' mean values and then removed medium values and classified high and low level of the stigma and self-monitoring. And smoking attitudes are measured by dividing negative effects of smoking, psychological benefits of smoking and pleasure of smoking. Statistical analysis is formed by one-way ANOVA, ANCOVA and Hierarchical Regresson. First, hypothesis 1 result didn't show statistically significant intergroup difference. That's why an average of stigma level generally is low, but when examining average difference, the more from previous plan step to preparation step is close, the more stigma level gets high. Second, although hypothesis 2 result didn't show statistically significant intergroup difference, I studied average difference of each group. The higher stigma is, all groups show negative smoking attitude about effect of smoking. Smoker and nonsmoker about benefits of smoking show somewhat positive attitude. Also average difference of smoking's pleasure doesn't show but all groups have positive smoking attitude. Third, examining hypothesis 3 result, interactions effects between stigma and sex didn't show statistically significant intergroup difference. But I studied average difference of each group, female smoker showed more negative smoking attitude than male smoker when showing high level of the stigma. And female nonsmoking experienced in smoking showed more negative smoking attitude than male when showing high level of the stigma in case of negative effects of smoking and psychological benefits of smoking. When the high level of stigma, male is more negative about the pleasure of smoking than female. Female nonsmoker showed more negative smoking attitude than male when showing high level of the stigma in case of psychological benefits of smoking. In case of pleasure of smoking, male showed more negative smoking attitude than female. Fourth, examining hypothesis 4-1 result, interactions effect between stigma and self-monitoring didn't show statistically significant intergroup difference. But I studied average difference of each group. Smoker showed more negative smoking attitude in case of negative effects of smoking and pleasure of smoking when showing high level of the self-monitoring and stigma. And nonsmoker experienced in smoking showed more negative smoking attitude when showing low level of the self-monitoring and high level of the stigma in case the other except for pleasure of smoking. Nonsmoker showed more negative smoking attitude when showing low level of the self-monitoring and high level of the stigma in case of negative effects of smoking. Fifth, examining hypothesis 4-2 result, negative effects of smoking and pleasure of smoking influenced on negative effect about smoking behavioral intention. Also sex and age did. In other words female and the young showed more positive behavioral intention of nonsmoking. And a smoking period and amount of smoking were significant variables to explain behavioral intention of nonsmoking. Above all, a smoking period affected the positive influence and amount of smoking affected the negative influence. In other words smoker who continue to smoke for a long time can increase behavioral intention of nonsmoking and smoker can decrease behavioral intention of nonsmoking if he or she has much amount of smoking. It was investigated that result significantly showed beyond hypothesis. In case of pleasure of smoking smoker showed interaction effects among stigma, self-monitoring and sex. In other words, female nonsmoker showed the most negative smoking attitude when showing high level of the self-monitoring and stigma and male nonsmoker showed the most negative smoking attitude when showing high level of the self-monitoring and low level of the stigma. Also in case of psychological benefits of smoking nonsmoker showed interaction effects among stigma, self-monitoring and sex. Female nonsmoker showed more negative smoking attitude when showing low level of the self-monitoring and stigma the other side male nonsmoker showed more negative smoking attitude when showing high level of the self-monitoring and low level of the stigma. Based on results of this study, they will help to make nonsmoking campaign massage which considers sex, age, an amount of smoking, a smoking period, level of self-monitoring and stigma. Not only male smokers but also female smokers need positive public relations and national support. Finally it is important to give a message strategy to smoker and nonsmoker as concerning diverse variables.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8808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07107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ADVERTISING & PUBLIC RELATIONS(광고홍보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