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7 0

障碍人을 위한 住居의 適應性에 관한 建築計劃的 硏究

Title
障碍人을 위한 住居의 適應性에 관한 建築計劃的 硏究
Other Titles
An Architectural Study for the Improvement of Adaptability for the Disabled
Author
차지언
Alternative Author(s)
Cha, Ji-On
Advisor(s)
朴勇煥
Issue Date
2007-0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주거환경은 현재 거주하는 장애인의 요구를 반영할 수 있음은 물론이며, 장래에 장애가 발생하더라도 자신이 거주하는 주거에서 지속적으로 생활할 수 있는 요건을 갖추어야 한다. 그러한 주거의 성격을 적응성(adaptability)이라고 하며, 장래에 발생할 수 있는 장애로 인한 불편함을 최소한으로 감소시키고 최소한의 비용으로 쉽게 주거를 개조할 수 있도록 신축시부터 계획하는 것을 말한다. 본 연구는 각국의 건축기준에서 적용되고 있는 적응성과 관련된 항목을 살펴보고, 장애인의 주생활에 관한 실태조사를 통해 우리나라의 실정이나 문화적 특성에 맞는 적응성의 개념을 반영한 디자인 지침서 항목을 제시하도록 한다. 미국, 영국, 스웨덴, 일본, 한국의 건축기준 및 주거 관련 디자인 지침을 접근성, 이용성 및 적응성에 관해 비교한 결과, 각국의 건축기준 및 주거 관련 디자인 지침의 성격에 따른 특성과 국가별 전형적인 주거평면이 가지는 특성에 따른 항목을 제외하고, 국내 건축기준에 요구되는 접근성, 이용성 및 적응성은 다음과 같다. 주거출입구까지의 접근경로는 가능한 한 각종 부대시설 및 근린시설에서부터 연속적으로 확보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주거 내에서는 최소한 현관-침실-화장실간의 접근성을 확보해야 한다. 장애가 발생하여 화장실 및 욕실 이용에 불편함을 초래하게 될 것을 상정하여 화장실 및 욕실벽에 손잡이설치를 위한 보강재를 신축시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심한 장애가 발생하거나 노화로 인해 이동이 곤란해질 때를 대비하여 침실-화장실간 천정주행식리프트를 설치할 가능성을 고려하여 적절한 이동경로를 확보해야 한다. 수직이동에서는 경사로, 계단, 핸드레일, 엘리베이터에 관한 항목을 모두 다룰 수 있도록 하여야 하며, 장래 발생할 수 있는 장애에 대비하여 층간이동수단을 고려하여 계획을 하지 않으면 안 된다. 국내 장애인의 적응성에 관한 요구를 파악하기 위한 주생활 실태조사의 결과 좌식생활을 하는 장애인이 조사 대상의 반수를 차지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국내 건축기준에서 좌식생활을 하는 장애인을 위한 적응성이 확보되어야 한다. 좌식생활자를 위해서 철저하게 바닥의 단차를 제거하며, 스위치 및 콘센트의 높이를 차후 손쉽게 조정이 가능하도록 해야 한다. 또한 화장실에서 대변기나 세면대를 사용하지 못하기 때문에 높이조절이 가능한 대변기 또는 세면대의 확보가 필요하다. 그리고 좌식생활자는 대개 현관에 전동휠체어를 수납하고 바닥으로 이승하였으며, 따라서 현관에 전동휠체어를 수납할 공간이 필요하며, 이승을 위한 공간 역시 필요하였다. 전동휠체어와 이승보조도구로 인해 다른 가족이나 보조자가 현관을 통과하는 데 지장을 받지 않도록 하는 디자인적 대응이 필요하다. 또한 장애정도에 따른 주생활 특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신체가동부위가 한쪽 상지 이하가 되면 거의 대부분의 일상생활 행위에서 보조자의 도움이 필요하며, 일상생활의 대부분을 보조자와 함께 영위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보조자의 보조동작에 필요한 공간이 주거 공간 내에 미리 상정되어야 한다. 또한 신체가동부위가 목 위에서 한쪽 상지의 경우 각종 이승보조도구를 침대로 이승시, 또는 바닥으로 이승시에 사용하였다. 따라서 침실공간에 장래 리프트를 사용할 것을 상정하여 리프트의 사용 및 수납과 보조자의 보조동작에 필요한 공간을 확보해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천정주행식 리프트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침실과 화장실간의 최단경로가 확보되어야 한다. 따라서 침실과 화장실간의 접근성을 높일 수 있는 경로계획을 필요로 한다. 그리고 다양한 보조도구를 사용하게 되면서 수납문제가 발생하므로 효율적인 수납을 위한 계획이 필요하다. 따라서 국내 장애인 주생활에 관한 실태조사를 통하여 국내에서 요구되는 적응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주거 내 순환에서 접근성이 요구되었으며, 특히 침실-화장실간의 장래 설치할 천정주행식 리프트를 위한 경로를 고려해야 한다. 둘째, 화장실에 장래 설치할 손잡이를 위한 보강벽을 설치해야 한다. 셋째, 좌식생활자를 고려한 높낮이 조절 세면대와 대변기를 고려해야 한다. 넷째, 침실, 화장실에서 보조동작, 보조도구의 사용을 고려한 공간계획을 해야 한다. 다섯째, 각종 보조도구의 수납 및 사용을 위한 공간을 계획해야 한다. 여섯째, 좌식생활자를 위해 스위치 및 콘센트의 높이조절이 가능한 구조로 계획해야 한다.; The residential environment needs to meet the requirement of disabled live in, furthermore sustainability in the future. Adaptability reduce inconvenience and cost to a minimum in the future. Therefore first, analyze the most recent architectural guidelines of several countries as United States, England, Japan, Sweden and Korea, comparing them through three categories of accessibility, usability, adaptability. Second, research the actual condition of the disabled residence and finally understand adaptability reflect domestic life style of disabled. This study has purpose to suggest design guideline which are needed to develop architectural guidelines of domestic dwelling facilities for the disabled. The result of analysis of the most recent architectural guidelines of several countries as United States, England, Japan, Sweden and Korea, comparing them through three categories of accessibility, usability, adaptability are like below; First of all, there's no article about accessible circulation in architectural guidelines of Korea. And there's no article about kitchen, storage, switch and concent, because target was limited of public residence. The result of comparing for adaptability, it needs adaptability in horizontal and vertical movement. In horizontal movement, it needs to plan the resonable routes for hoisters from bedroom to toilet. In vertical movement, it needs to plan a stair lift or through-the-floor lift for the future. In the architectural guidelines of United States and England, it is suggested to build reinforced walls for handrails beside a toilet and bathtub. And it is suggested to make height of washing bowl changeable in Korea. Moreover, in England, the drainage provision for a future shower should be provided in all dwellings. In the architectural guidelines of Sweden, it is suggested clear floor for the helper and transfer devices, lifts, hoists, and so on, in the w.c and bathroom for variable user, from independent user to wheelchair user. The results of analysis are like below; It needs ① to have accessible routes from neighborhood facilities to the residence. ② to have accessible routes from entrance to toilet by way of bedrooms, and plan the resonable routes for hoisters from bedroom to toilet. ③ to build reinforced walls for handrails. ④ to plan a stair lift or through-the-floor lift for the future. The result of the research about the actual condition of the disabled residence is like below; Because there are half of cases live in seated on the floor, it should be considerated adaptability for the disabled seating on the floor. It should be no steps in dwelling for the disabled seating on the floor. And it needs to plan height of switch and sockets changeable. And they need height changeable washing bowl and toilet. Most of them store the electronic wheelchair in entrance hall and transfer to floor, therefore it needs space for the storage the electronic wheelchair and transfer. If less than one arms are usable, they need help almost day life act. Therefore it needs space for the helper in dwelling. And also, they need transfer devices in bedroom and bathroom. So it needs spaces for transfer , helper, and storage of devices. And it needs to plan the resonable routes for hoisters from bedroom to toilet. Therefore these are the design guidelines reflect adaptability of domestic requirements. First, it needs accessibility in circulation, especially, accessible routes from entrance to toilet by way of bedrooms, and plan the resonable routes for hoisters from bedroom to toilet. Second, it needs to build reinforced walls for handrails. Third, it needs to change height of washing bowl and toilet low for disabled seating on the floor. Fourth, it needs to plan spaces for helper and transfer devices, lifts, hoists and so on, in the bedroom or bathroom. Fifth, it needs to plan spaces for storage of wheelchair or transfer devices. Finally, it needs to plan height of switch and sockets changeable.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8771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07519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SUSTAINABLE ARCHITECTURAL ENGINEERING(건축환경공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