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06 0

다(多)감각자극을 고려한 치매시설의 치유환경 조성에 관한 건축계획적 연구

Title
다(多)감각자극을 고려한 치매시설의 치유환경 조성에 관한 건축계획적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Architectural Planning for the Healing Environment of Dementia Facilities Considering Multi-sensory Stimulation
Author
최영미
Alternative Author(s)
Choi, Young-Mi
Advisor(s)
梁乃元
Issue Date
2007-0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Doctor
Abstract
국내 고령자의 수가 점점 증가함에 따라 그들의 신체적, 심리적, 정신적 요구를 배려한 건축, 도시 환경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고령자 중에서도 특히 치매노인들은 환경에 매우 민감한 반응을 보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이는 그들이 이성적으로 환경에 반응하는 것이 아니고 감각적으로 반응하기 때문으로, 이들을 위한 건축 환경을 어떻게 조성할 것인가는 국내 건축가의 새로운 과제로 부각되고 있다. 이와 같이 치매노인을 위한 건축 환경적인 모색이 필요한 상황에서, 치매로 인하여 손상된 신체 및 정신적인 능력을 보완해 주거나 대체해 줄 수 있는 환경 요소에 대하여 시급히 연구되어야 할 시점이다. 치매노인들은 이성이 점점 상실되어 가고 오감이라는 감각적인 능력으로 세상을 경험하는 특별한 계층이기 때문에, 이들이 어떤 환경 조건에 어떻게 감정적으로 반응하는가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즉 건축 환경이 주는 감각자극요인과 이에 대한 치매노인의 반응이라는 관점에서 기존 시설을 평가해 보고, 치매노인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치유환경요인에 대한 건축계획적인 방향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감각자극과 관련된 지금까지의 연구는 주로 치매시설 내에 감각치료실을 설치하고 이 실에서 치매노인의 감각자극 반응을 살펴보는 것이었다면, 본 연구는 치매노인의 환경과 관련된 감각반응 문제를 다루기 위해 치매시설 전체 환경으로 연구 범위를 확대하여 진행하였다. 이와 같은 배경에서 본 연구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치매노인의 특성과 감각자극과의 관계를 파악한다. 특히 치매로 인해 발생하는 문제들이 어떤 감각자극(시각, 청각, 후각, 촉각)과 관련이 되는 지를 분석한다. 둘째, 기존의 치매시설을 감각자극이라는 관점에서 평가하고 시설 내에서의 거주자 행태반응을 조사하여 치유환경요인을 규명한다. 셋째, 궁극적으로 치매노인의 감각자극을 고려한 치유환경 조성을 위한 건축계획적인 지침을 제안한다. 연구의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치매와 감각자극과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하여, 건축 환경에 있어서 치매 노인에게 중요한 감각자극의 요소가 무엇인지를 밝히고 감각자극의 중요 순위 및 중요한 정도를 조사하였으며 치매로 인하여 발생하는 주요 문제가 감각자극과 어떤 상관관계가 있는지를 고찰하였다. 기존 치매시설을 감각자극의 관점에서 평가하기 위해서, 치매시설에 근무하는 직원(간호사, 사회복지사)을 대상으로 하여 감각자극 사례에 대한 그림을 예시하고 이를 통해 기존 시설의 감각자극 평가점수를 도출하였다. 또한 치매노인의 공간이용행태를 직접 조사하여 각각의 공간에서 그들의 반응이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행태지도를 그려, 공간 유형별 치매노인의 점유방식, 감각자극요인과 행태와의 관계 및 치유환경요인을 조사하였다. 이와 같이 직원을 통해 평가한 시설의 감각자극 점수와 치매노인의 행태를 통해 작성한 행태지도를 비교하여 어느 공간 유형에서 치매노인의 긍정적 또는 부정적 행태가 나타나는지를 고찰해 봄으로써, 감각자극요인과 행태관계를 규명하고 이를 통해 향후 치유환경을 위한 건축계획적인 지침을 제시하였다. 본 논문의 구성은 총 6장으로, 제 1장은 연구 배경 및 목적, 범위 및 방법, 그리고 평가 및 분석의 틀로 구성되었다. 제 2장은 이론적인 배경으로 구성 되었다. 제 3장에서는 치매와 감각자극과의 관계를 분석하여 감각자극요인을 도출하였다. 제 4장에서는 기존 치매시설의 다(多)감각자극환경 정도를 평가 하고 그 결과를 평가도구를 이용하여 검증하였다. 제 5장에서는 제 3장과 제 4장에서 도출된 감각자극을 공간이용행태를 통해 치유환경요인으로 규명함으로써, 제 6장에서 감각자극을 고려한 치유환경의 건축적 지침을 결론으로 제시하였다. 기존에 이미 감각치료실을 통한 치매노인의 감각자극환경에 대한 논의가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치매시설의 전체적인 환경을 대상으로 감각자극의 관점에서 접근했다는 측면에서 연구의 의의를 갖는다고 볼 수 있다. 감각자극은 일반적으로 오감을 통해서 전달되지만 본 연구에서는 미각을 제외한 시각, 청각, 후각, 촉각의 범위 내에서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는 미각 요소가 건축 환경 조건과 큰 연관성이 없다고 판단되었기 때문이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론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환경에서 치매노인에게 영향을 미치는 감각 순위는 시각, 청각, 촉각, 후각 순으로 조사되었으나, 기존 시설을 감각자극의 관점에서 평가한 결과 청각적인 측면에 대한 평가가 가장 저조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향후 청각의 관점에서 어떻게 치매노인에게 긍정적인 감각자극을 줄 것인가에 대한 건축적인 배려가 모색되어야 한다고 판단된다. 2) 치매노인에게 긍정적으로 영향을 줄 수 있는 감각자극요인은 다음과 같다. - 시각자극 요인 : 빛, 자연 조망, 가정과 같은 특징(homelikeness), 공용공간과의 시각적인 접근성 등 - 청각자극 요인 : 소음에 대한 대비, 자연의 소리(물소리, 새소리 등), 음악 등 - 후각자극 요인 : 맛있는 음식냄새, 통기, 자연의 향기 등 - 촉각자극 요인 : 가족과의 접촉, 자연과의 접촉, 친숙한 질감 등 3) 조사 대상 시설의 감각자극 점수가 높을수록 노인들은 긍정적으로 행동하는 것이 조사되었다. 이는 감각자극이 치매노인의 치유와 상관관계가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고 판단된다. 4) 공용공간(복도, 거실 등)의 자연채광 비율이 높을수록 감각자극의 점수가 높고, 창호개방율이 높을수록 행태반응도 긍정적인 것으로 분석하였다. 이는 빛, 조망, 통기 요인이 특히 사회적 공간행위를 감각적으로 자극하여 치유적인 영향을 발휘하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그러나 빛, 조망 및 통기 조건이 유사한 사례의 비교에서, 그 외의 다른 자극이 행태에 작용하고 있음을 시사했는데, 비교 대상의 특징적인 차이가 거주단위의 규모라는 점을 확인함으로써, 창호개방의 조건과 함께 거주공간의 규모도 동시에 고려해야 할 치유환경요인이라고 판단된다. 5) 사회적 공간의 규모가 클수록, 감각자극의 평가가 높으며, 거주자들의 행태반응도 더 긍정적인 것으로 분석하였다. 그러나 공간의 밀도가 치유환경 요인이 되기 위해서는 적절한 자극 수준의 규모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또한 저밀도의 시설일수록 사회적 공간의 이용이 높고 행태반응이 긍정적이라고 분석됨에 따라, 시각적 혼잡과 청각적 소음 조절을 위한 저밀도의 거주단위계획(클러스터)이 중요하다고 판단된다. 6) 공용공간의 시각적 접근성과 물리적 접근성은 인지능력과 신체적 기능이 저하된 치매시설 거주자에게 시각과 청각자극을 통해 사회적 교류를 유발하는 것으로 분석됨에 따라, 매우 중요한 감각자극이며 치유환경요인이 될 수 있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이를 고려한 침실과 공용공간과의 접근성 계획이 중요하다고 사료된다. 7) 자연 접촉의 기회가 많을수록 긍정적인 행태반응이 더 많이 관찰되며, 거주자들의 활동범위도 외부 자연으로까지 확대되었다. 또한 정원과 인접한 공용공간의 이용이 높고 사회적 교류도 더 유발되는 것으로 분석하였다. 반면, 자연 접촉의 기회가 적은 사례에서는 공용공간보다 침실의 이용행태가 많으며, 행태의 긍정적인 측면도 다소 부족한 것으로 파악하였다. 자연 접촉은 전 감각자극에 관련하여 거주자들에게 치유적인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조사됨에 따라, 직접적으로 자연 접촉이 가능한 치유정원의 계획은 치유환경을 위한 중요한 고려사항이 될 수 있다고 사료된다. 이상과 같은 연구를 통해 치유환경요인을 규명한 결과, 치유환경의 영향이 바람직한 방향으로 설정되기 위해서는 환경 요소들의 개별 작용보다는 상호 작용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본 연구는 주로 기존 시설의 공용공간을 중심으로 감각자극요인을 분석하였으나 향후 공간을 구성하는 요소(천정, 벽, 바닥 등)나 조망 조건, 주변 환경 등 폭넓은 조건에 따라 거주자의 행태가 어떻게 나타는지를 연구할 필요가 있다고 사료된다. 치매노인은 이성적인 능력이 떨어지고 감성적으로 반응하는 특별한 계층이지만, 한편으로는 우리 인간의 감각이 어떻게 환경에 반응하는지를 조사하는데 매우 적절한 연구 대상이라고 사료된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치매시설 뿐 만 아니라 일반 건축물에서도 인간의 감각자극에 다른 치유환경 조성에 필요한 자료로서 사용되어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며, 이와 같은 관점에서 앞으로 다 학제적인 연구가 반드시 필요할 것으로 본다.; It is said that the recognition of people with dementia becomes gradually depending more on the level of senses than on the level of intelligence. It means that they unconsciously respond to environment. Therefore this study insists the healing environment for dementia should reflect the sensory stimulation. The healing value on residents with dementia in sensory stimulation environment was convinced through the review of literatures on nursing science and psychiatry, so this study could be possible. The prominent difference of this study from prior studies is the approach. While prior studies were performed in a limited sensory room, this study attempted to expand the range of the analysis of sensory stimulation to residents' daily living and the whole residential environment of facilities. Purpose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first is to grasp the relation between dementia and sensory stimulation factors, and to evaluate the degree of the multi-sensory stimulation environment of existing dementia facilities. The second is to analyze the relation between behavioral reaction and sensory stimulation, and to find out what healing environment factors are. The third is to suggest the guideline for an architectural planning regarding multi-sensory stimulation environment. To raise a question about the care environment and to suggest alternatives of the healing environment considering multi-sensory stimulation, this paper were conducted with following methods. First, existing theories on dementia and sensory stimulation and the methodology of the spatial assessment by the sensory stimulation were extensively reviewed. In the main subject, healing environmental factors were examined by assessing existing facilities according to the sensory stimulation, verifying the result, and analyzing the relation between sensory stimulations and spatial behaviors. In the conclusion, the guideline for an architectural planning considering sensory stimulation is suggested. The brief outline focusing on the conclusion is as follows. (1) Healing environmental factors; The order of priority of sensory reactions is answered ‘vision’, ‘hearing’, ‘touch’ and ‘smell’ in the dementia care environment. On the other hand, in the assessment of multi-sensory stimulation environments of existing facilities, the order of priority of sensory reactions is presented ‘vision’, ‘smell’, ‘touch’ and ‘hearing'. It disproves that ‘hearing’, the second important sense, has not been met in existing facilities.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e relation between the dementia and sensory stimulation factors, here are some suggestions of the sensory stimulation as healing environmental factors for caring dementia. ① To improve the orientation, good visual environments such as suitable light and view, a characteristic and pleasant corridor, visual access to the destination, and private sphere should be considered. Also calm environment, tasty smell or natural fragrance, and a wooden handrail for residents’ good touching are examined as healing environmental factors for the orientation. ② To reduce negative behaviors, view of nature, comfortable light, and homelikeness are presented as desirable factors. At the same time, auditory environment where residents could control noise, and listen to the music and natural sounds is analyzed to reduce negative behaviors. Ventilation, tasty smell and natural fragrance were significant as olfactory environment, and social contact and access to the nature were also important as a tactile environment for the healing environment. ③ To control ‘wandering’, the arrangement of characteristic factors and chairs on wandering path, contacts with nature, the space with proper rate of light and shadow, and visual access to the destination are important. Furthermore, a soundproof facility, tasty smell, well-ventilation, contact with family and nature are supposed as the healing environmental factors for caring wandering. ④ To socialize residents with dementia, comfort light, view of nature, homelikeness, and accessible garden are needed as a visual environment. Auditory environment that residents can control noise to talk each other quietly or listen to music, olfactory environment that they can access to the good smell of foods or nature without any intellectual efforts, and also tactile environment that they could be possible to contact with society or nature is analyzed sensory stimulations to socialize residents. (2) Architectural planning suggestions for the healing environment; According to the relation between sensory stimulation and behaviors, this study analyzed the higher the score of sensory stimulation is, the more positive behaviors are caused. This study shows that sensory stimulation factors have deep relation to the healing in the care environment. Here are some guidelines for healing environment factors identified by behaviors. ① As a result of analyzing relations between light and the residents’ behavior, the higher the rate of natural light is in a public space, the higher the sensory stimulation score is and the more positive residents’ behavior is. However comparative cases show even though all the conditions of light, view and ventilation are similar, the results can be different. It means the size of the residential space should also be reckoned among important factors. ② As a result of analyzing relations between the density of a space and residents’ behavior, the bigger the social space is, the higher the sensory stimulation score presented, and the more positive the behavioral reaction of residents is. The lower the density of facility is, the more often residents use a social space, and also the more positive the behavioral reaction is. This study stresses that planning the low density of resident units with noise control is needed. ③ As a result of analyzing relation between accessibility and residents’ behavior, the better visual access is, the more positive the sensory stimulation assessment and the residents’ behavioral reaction are. Residents’ using behavior in a public space shows that the better the accessibility is, the higher the occupancy rate is, and the worse the accessibility is, the lower the occupancy rate is. Therefore good accessibility is thought as a positive factor of the healing environment for resident with cognitive impairment. ④ As a result of analyzing relation between touch with nature and residents’ behavior, if residents have more chances to touch with nature, they react more positively, and expand their sphere of activity to outside. A public space near a garden has relatively high occupancy rate and produces active atmosphere for social interaction. To provide residents with the varieties of sensory experience, it is desirable that planning care environments reflect the importance of an accessible nature. As mentioned above, the results of healing environment identified by behaviors show that interactions among factors are needed, not an individual factor for desirable healing value. For example, one factor, such as light or density, doesn't decide the quality of the environmental stimulation, but the interaction of sensory stimulation factors including light, views, homelike and flexible space, accessibility, noise control, ventilation and therapeutic touch with nature is considered to affect much more on the quality of the environmental stimulation. Since there has been not enough discussion on whether the multi-sensory stimulation environment as a therapeutic intervention was therapeutic, and systematic studies have been insufficient, this study lays a cornerstone for further studies. Mean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first of all, this study expands the scopes of study on the healing environment from a limited sensory room where prior studies usually performed to the whole residential environment. The second, this study proves that behavioral reaction can be used to measure a healing environment. And the last, this study gives the most important meaning to the fact that it examines and suggests multi-sensory stimulation environment as an alternative to non-stimulating healing environment of the residents with dementia who are suffering from sensory deficits. Growing demands for the dementia care environment and studies throughout the world result in further studies on multi-sensory environment as a fundamental and active alternative. It is recognized that studies on the healing environment for older people with dementia should be developed continuously to provide them not with allopathic treatment but with the general and resonable effects.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8760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07142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ARCHITECTURAL ENGINEERING(건축공학과) > Theses (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