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17 0

노인일자리사업의 개선방안에 대한 연구

Title
노인일자리사업의 개선방안에 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a Senior Job Placement Project in Korea
Author
이성호
Alternative Author(s)
Lee, Sung-Ho
Advisor(s)
정우일
Issue Date
2007-0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2000년 우리나라는 65세 이상 고령인구가 전체인구의 7.2%를 넘어서 ‘고령화 사회(Aging Society)’로 진입하였고 2018년에는 14.3%로 ‘고령사회(Aged Society)’에 진입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또한 2026년에는 20.8%로 ‘초고령 사회(Ultra Aged Society)’에 도달할 전망이다. 이러한 인구고령화가 진전됨에 따라 개인적·사회적으로 노후생활에 필요한 비용이 늘어나고 있는 반면, 소득수준의 저하, 사회복지제도의 미비, 자녀들의 부양의식 부담 등으로 노후생활에 대한 불안요소는 갈수록 심각해지고 있는 실정이며, 사회적 변화에 따라 노인들의 욕구 또한 많아지고 다양해짐으로써 우리 사회의 장기화된 노년기를 보다 의미있게 보내려고 하는 경향도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노인층의 경제적 필요 및 사회참여 욕구의 증대가 점차 두드러지고 있다. 특히, 노후의 경제적 필요성 때문에 취업 내지 일자리를 희망하는 경향이 뚜렷해지고 있다. 2004년도 전국 노인생활실태 및 복지욕구 조사(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5)에 따르면 노후생활을 준비하지 못하는 노인의 비율이 67.2%에 해당되며, 현재 직업을 갖고 있는 경우는 30.8%에 불과했다. 비취업 노인의 17.5%가 '취업하기를 희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그 이유의 69.9%가 '돈이 필요해서'라고 응답하여 노후소득의 불안정 상태를 그대로 드러냈다. 2005 고령자 통계(통계청, 2005)에서는 고령층(55~79세)의 향후 취업 희망자 비율이 58.8%로, 주된 취업희망 이유는 '생활비에 보탬이 되어서‘가 31.7%로 가장 높은 비율을 보였다. 노인일자리 참여자 조사(보건복지부·국민연금관리공단 노인인력운영센터, 2005b)에서는 참여노인의 67.4%가 경제적 이유로 노인일자리사업에 참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우리 사회의 노인들은 경제적 필요성 때문에 취업 내지 일자리를 필요로 하고 있지만 이와 관련된 국가적 지원 시스템은 매우 미비한 실정이다. 즉 우리 사회 노인의 기대수명은 계속적으로 늘어나고 있지만 노인고용제도, 연금제도의 미성숙, 사회보장제도의 미비로 인하여 우리 사회의 많은 노인들은 경제적으로 어려운 상황에 직면하고 있다. 최근 사회경제적 여건이 악화됨에 따라 조기퇴직, 명예퇴직, 강제퇴직 등으로 인해 많은 예비노인 및 노인들은 생계를 위협받을 수밖에 없고 퇴직 이후의 재취업도 점점 어렵게 되고 있다. 이에 따라 노인의 경제적 능력이나 사회적 지위가 하락되고 노인들은 빈곤한 상황에 직면하게 될 가능성이 더욱 많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그동안 우리나라의 노인 인적 자원 활용에 대한 정책 및 제도는 매우 빈약한 상태에 머무르고 있다. 1981년 노인복지법을 제정할 때에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가 노인적합직종을 개발·보급하고 노인의 취업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는 규정을 도입한 바 있다. 그러나 이 규정은 선언적 성격에 머물렀고, 실제 보건복지부에서는 1982년부터 대한노인회 조직에 노인인력은행을 설치하여 고령자의 취업알선사업을 시작하였으나 그 성과는 미비하였다. 1992년부터 고령자고용촉진법을 제정하여 고령자의 고용을 증대시키려고 노력하고 있지만, 제도의 내용적인 면을 살펴보면 고용주의 고령자고용은 권고사항이지 의무사항이 아니어서 노인취업이 활성화되지 못해 왔다. 고령자고용촉진법과 고용보험법에 의거한 고령자 고용촉진 장려금 제도 역시 정착이 어려운 실정이다. 또한 노인들의 취업활성화를 위해서 설치된 고령자인재은행, 노인취업지원센터, 노인능력은행, 시니어클럽 등이 있으나 물적 자원 및 인적 자원의 부족으로 효과적인 역할을 담당하고 있지 못하고 있다. 오늘날 고령화 사회에서 노인부양을 위한 복지제도 및 서비스 등의 확충이 매우 시급한 사항이지만 노인들이 사회에서 일을 하거나 의미 있는 활동을 할 수 있도록 여건을 조성하는 것은 우리 사회의 안정된 노후소득 보장의 차원 뿐 아니라 노인복지 차원에서 매우 중요한 사항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노인일자리를 마련하여 노인 인적 자원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것이 우리 사회 노년기 발생하는 여러 문제들에 대한 가장 적극적인 해결책이라 할 수 있다. 노인일자리사업은 사회적 측면에서 노인 인적 자원의 효율적 활용 및 사회의 생산성 고양 등 경제적 효과를 가져 올 것으로 예상되며 개인적 측면에서 노년기의 빈곤, 무위의 문제를 해소하고 노인의 생활경제에 대한 도움은 물론 사회참여의 의미부여, 자신감 등 심리적으로도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 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따라서 우리 사회 전반의 노인 인적 자원을 보다 생산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활성화 방안이 시급히 모색되어야 할 것으로 노인 ‘인적 자원 개발(Human Resource Development)’ 차원에서 노인일자리사업에 대한 보다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중·장기 정책방안 마련이 필요하다. 이러한 측면에서 노인일자리사업에 대한 전반적인 분석 및 이에 근거한 정책수행에 대한 비전의 제시는 고령사회를 대비한 우리 사회의 노인문제를 적극적으로 대처해 나가고 노인 인적 자원 활용이라는 국가적 중대 사안을 다루는데 매우 시급한 과제로, 우리나라 노인복지 발전에 크나 큰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In 2000 Korea entered into the Aging Society, with 7.2% of its population at 65 years old or over. Korea is expected to enter into the Aged Society by year 2018 with 14.3%, and reach the Ultra Aged Society by year 2026 with 20.8% of its population made up of senior citizens. However, as the population grows older, individual and social costs needed for pensions are increasing, while the dwindling income levels, incomplete welfare system, and decreasing number of offspring willing to care for their elderly parents are raising the uneasiness factors of life after retirement. On the other hand, desires of the elderly are increasing and becoming diverse in accordance with social changes. More and more senior citizens are showing a tendency to lead their prolonged older years in a more meaningful way. Under these situations, financial needs and increasing desires to contribute to society are becoming more prominent. In particular, the financial needs of the elderly are driving them to seek employment. According to a 2004 survey on national elderly welfare and desire for better living, 67.2% of the elderly are not prepared for old age, while only 30.8% hold jobs. 17.5% of the unemployed elderly “wished for employment” and 69.9% of the reason was the “need for money,” clearly showing the uncertain situation of elderly income. In a 2005 report of the elderly showed that 58.8% of the elderly population between 55 ~ 79 years old sought employment with the highest reason being to “contribute to living expenses” at 31.7%. In the survey of applicants for elderly jobs found that 67.4% of the participating senior citizens wanted to take part in the project to find jobs for the elderly due to financial needs. Thus the elderly of our society have need for employment due to financial reasons but the national support system to help these people and their needs is far from adequate. In other words, the life expectancy of the elderly population is continuously increasing, but many face financially difficult situations to nascent elderly employment systems, welfare systems, and social security system. Recent worsening socio-economic situations have brought about early retirement, honorary retirement, and involuntary resignations so that the livelihoods of many soon-to-be and present senior citizens are threatened, while reemployment after retirement is becoming much more difficult. In this current status, the elderly are at a much higher risk of facing poverty due to the decrease in financial abilities and social status. Meanwhile, policies and systems to make use of elderly human resources have been very meager. When the Elderly Welfare Act was passed in 1981, stipulations were included stating that the government and municipalities had to develop and supply jobs that were fit for the elderly and promote employment of the elderly population. However this stipulation proved to declaratory only The Ministry of Health & Welfare did however install an elderly human resources bank at the National Elderly Society and began outplacement services for the elderly, but the results were less than stellar. In 1992 the Employment Promotion for the Aged Act was passed to increase the employment of the elderly, but the Act was more of an advisory sort than a requirement, and did not fulfill its part in promoting elderly employment. Incentive funds that were established based on the Employment Promotion for the Aged Act and the Employment Insurance Act also failed to take root. In addition, elderly human resources banks, elderly employment support centers, elderly ability banks, and various senior clubs have not been able to actively do their part due to lack of funds and resources. There is no doubt that the expansion of welfare systems and services to care for the elderly in this aging society is an urgent issue that must be looked into. However, it is also important to enable our elderly to continue their work in society or participate in meaningful activities not only for the sake of insuring stable financial income, but also for the welfare of the elderly. In this aspect, the most progressive solution to the numerous problems arising for our elderly could be to prepare employment of the elderly and fully utilize the elderly human resources. Developing and promoting jobs for the elderly can be expected to effectively utilize the elderly human resources from the social point of view, while raising social productivity will bring about economic results. From the individual perspective, this will help fight elderly poverty by providing financial aid from their jobs, while also providing a affirmative psychological outlook by giving them meaning to their social participation and boosting their morale and confidence. Therefore, it is urgent and essential that a mid-long term policy be established to effectively and efficiently promote elderly employment in terms of elderly human resource development. As such, this thesis will present general analysis of elderly employment and visions for executing policies based on this analysis to enable us to actively deal with the social and major national issues concerning our elderly, and to contribute greatly to the well-being and welfare of the elderly of our society.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8737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07127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PUBLIC ADMINISTRATION[S](행정대학원) > DEPARTMENT OF PUBLIC ADMINISTRATION(행정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