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75 0

정보화사회하에서 한국의 개인정보보호정책에 관한 연구

Title
정보화사회하에서 한국의 개인정보보호정책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Policy in Information Society
Author
임규완
Alternative Author(s)
Lim Kyu Wan
Advisor(s)
이희선
Issue Date
2007-0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사회가 디지털화되고 정보통신기술의 발전하면서 사회 전체의 삶의 질은 아날로그시대와는 비교할 수 없을 만큼 향상되고 있다. 인터넷과 컴퓨터 등으로 대변되는 정보통신기술의 발전은 각종 정보를 수집·저장하는 능력의 극대화로 인한 정보화의 양적인 팽창이 사회 전반에 걸쳐 변화를 주었고 이로 인해 개인정보의 불법이용으로 인한 인권침해 및 해킹 등으로 개인정보침해가 급증하였다. 일반적으로 개인정보란 개인의 정신, 신체, 재산, 사회적 지위, 신분 등에 관한 사실·판단·평가를 나타내는 개인에 관한 정보 및 당해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성명, 주민등록번호 등의 사항에 의하여 개인을 식별할 수 있는 정보를 말한다. 본 논문은 한국의 개인정보보호에 대한 문제를 국제적 논의 수준을 바탕으로 고찰하고 시간적 연구 범위는 정보화가 시작되는 70년대부터 현재까지로 하고 공간적인 범위는 국제적 차원에서의 논의를 위해서 개인정보보호의 선진국이라 할 수 있는 미국, EU(유럽연합), 일본을 비교 분석하여 우리나라의 개인정보보호정책을 고찰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 개인정보보호정책을 연구한 결과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첫째 법·제도적인 측면으로 한국의 경우 개인정보보호를 위하여 공공부문에는 '공공기관의개인정보보호에관한법률'과 민간부분에는 '정보통신망이용촉진및정보보호등에관한법률'로 나누어있다. 그러나 이법들은 국제수준에 비추어 미흡하다. 우리나라 역시 유럽과의 정보교류를 위해서 조만간 관련법들의 제정 및 개정을 추진해야할 것이다. 따라서 정부는 국제적 수준의 개인정보보호를 위해 공공부문과 민간부분을 통합할 수 있는 법을 제정할 필요가 있다. 둘째 관리·운영적인 측면으로 개인정보보호정책 체계의 개선으로 개인정보 보호기구의 독립 기구화 및 위상 강화, 각 행정부처와의 협조체제구축, 개인정보은행의 도입, 개인정보사전영향평가제도의 운영을 제시하였다. 글로벌화 시대에 개인정보보호정책 체계의 구축은 국제적 기준에 준하여 이루어짐으로써 경쟁력 확보 차원에서도 중요하다고 판단된다. 셋째 기술적인 측면으로 정보화 환경에서 개인정보보호를 위해 바이러스를 예방 및 통제 할 수 있는 백신 프로그램의 설치 및 주기적인 업데이트의 의무화 및 식별·인증 기술정책, 계정관리 기술정책, 권한제어 및 관리 기술정책, 접속 기록의 유지를 통해서 개인정보 침해를 방지할 수 있도록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한국도 국민의 정보주권을 보호하기 위해서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기본적인 정책방향을 국제수준에 맞게 설정해야 한다. 나아가 국가이익에 합치되는 방향으로 개인정보보호정책을 마련하여 국가의 손실을 최소화하도록 해야 할 것이다.; As the society becomes digital and IT technologies are developed, the quality of the whole society is being increased much more than that of the previous analogue era. The development of IT technologies in the internet and computer industry maximized the capability collecting and storing various kind of information, and it expanded the volume of information leading the overall society to be changed so that private information infringement due to illegal use of private information, violation of human rights and hacking has been greatly increased. Generally, private information means individual information indicating fact, judgement and valuation about mind, body, property and social level as well as such information identifying individuals by names, ID numbers, etc. This paper covers problems about private information protection in Korea at the global level, from 1970s (i.e. when information literacy started) to the present, globally analyzing by comparing Korean policies with those of USA, EU and Japan which are advanced countries in private information protection. In this paper, the results of study of private information protection policies are as follows. First, in the aspect of laws and regulations, there are divided 「rules on private information protection」 in the public sector and 「rules on IT network promotion, information protection, etc.」 in the private sector. However, these are insufficient comparing to the global level. Korea also has to progress establishment or revision of related laws in the near future to make an exchange with EU. Therefore, the government needs to establish the law integrating the public and private sectors for private information protection at the international level. Second, in the aspect of management and operation, following measures are recommended for the improvement of the private information protection policy system: to make private information protection organization independent; to set up cooperative system with administration departments; to introduce private information bank; and to operate the prior valuation system of private information effectiveness. Establishment of private information protection policy system in the global era based on the international level will be also critical in respect of acquiring competitiveness. Third, in the aspect of technology, following things shall be made to prevent private information infringement: compulsory installation and regular update of vaccine program to prevent and control virus for protection of private information in the information literacy environment; technology policy on certification, account management and access control; and access maintenance records. Korea also should establish basic policy directions in private information protection to shelter the information sovereignty according to the global level, and furthermore, minimize the national loss by preparing private information protection policies in the direction of the nation's profits.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8698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07553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PUBLIC ADMINISTRATION LOCAL AUTONOMY[S](행정·자치대학원) > DEPARTMENT OF PUBLIC ADMINISTRATION(행정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