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964 0

정보취약계층을 위한 정보격차 해소방안에 관한 연구

Title
정보취약계층을 위한 정보격차 해소방안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Solution of the Digital Divide for Information Disadvantaged Groups
Author
김유미
Alternative Author(s)
Kim, Yu-Mi
Advisor(s)
정우일
Issue Date
2007-0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본 논문에서는 우리 사회가 21세기 정보사회로 진입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역기능 가운데 정보격차의 문제에 대해 다루고 있다. 즉, 사회의 패러다임이 산업사회에서 정보사회로 바뀌는 과정에서 이러한 흐름에 편승하지 못하여 형성된 정보취약계층의 현황을 살펴보고 또한 취약계층을 위해 정보격차 해소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연구의 목적이라고 할 수 있다. 논문의 연구를 바탕으로 하여 본 논문에서는 정보취약계층을 위한 정보격차 해소 방안으로 다음과 같이 제안한다. 첫째, 장애인을 위한 정보격차 해소 방안으로 다음과 같다. 정보격차해소에 관한 법률에서 법적강제력을 명시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정보통신기기 및 서비스 사업자가 지침을 준수하지 않더라도 규제할 수 있는 근거는 없다. 앞으로 점진적·단계적으로 장애인의 정보접근을 법적으로 보장하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할 것이다. 그 다음으로 사회·경제적 수준에 비례한 정보통신기술 장비의 보급 및 기술 개발의 촉진과 더불어, 정보통신장비의 보급도 확대해야 한다. 장애유형에 맞는 장애인 정보화 교육을 보다 강화해야 하고, 장애유형에 따라 다양한 입출력장치의 개발, 특성화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개발 등에 박차를 가해, 의사소통 및 정보접근에 대한 장벽을 제거해 나가야 한다. 둘째, 저소득층을 위한 정보격차 해소 방안으로 다음과 같다. 정부차원의 금전보조, 봉사단체의 경제적 지원과 더불어 소득층의 정보화 교육과 정보접근 환경개선이 필요하다. 평생교육제도를 활용하여 교육의 기회뿐 아니라 생활의 수준을 한 단계 높이는 계기를 마련해야 한다. 셋째, 농어민층을 위한 정보격차 해소 방안으로 농어민의 정보화를 위해 중장기 계획을 수립하고 환경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사업 영역 개발이 필요하다. 또한 중앙 및 지방자치단체와 민간부문에서 역할 분담을 하여 각 지역의 실정에 맞는 특화된 지역정보화를 추진해야 한다. 넷째, 노년층을 위한 정보격차 해소 방안으로 노인정보화 대상을 세분화하여 그 세분화된 집단의 관심과 욕구에 따라 정책적 대안을 찾고 노인들의 구매능력에 적절한 컨텐츠를 개발하여야 한다. 결론적으로 보편적 정보접근을 위해 보편적 서비스 정책을 도입하고, 최소한의 정보접근성을 실질적으로 증진하는데 있어 근거법령의 규범적 정립이 필요하므로 법제도적 개편을 하여야 한다. 또한, 실용위주로 계층별 필요한 맞춤교육을 통해 정보이용 능력을 향상시키고, 취약계층의 요구에 맞는 새로운 컨텐츠 제공 전략을 강구해야하고, IT를 통해 취약계층이 경제적 부를 창출할 수 있도록 지원해주는 것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정부 등 공공기관의 노력만으로 정보격차를 해소하기는 힘들다. 정부 등 공공부문과 민간부문간 협력과 민간부문의 역할 확대가 요구된다.; This study deals with the problem of digital divide among many side-effects that might occur in the process of entering the 21st century's information society. That is, this study is aimed at investigating the state of the information disadvantaged groups who don't keep pace with the social transforming paradigm from the industrial society to the information society and searching for countermeasures to eliminate digital divide. Based on research, this study suggests on the Solution of the Digital Divide for Information Disadvantaged Groups as the following. First, digital divide elimination measures for the disabled are as follows. There is no legal ground to restrict IT equipment and service providers who don't observe rules because the laws of digital divide elimination don't specifies any legal force. Therefore, the disabled's access to information needs to be legally guaranteed gradually and in phases. In addition, information communication equipments need to be more widely used along with the spread of IT equipments and the promotion of technology development in proportion to social and economic development levels. Information education for the disabled according to their physical disabilities needs to be strengthened, and barriers to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access need to be lifted by developing various input and output devices according to physical disability types and characteristic hardwares and softwares. Second, digital divide elimination measures for low-income people are as follows. Information education and information access environment are required as well as the government's financial aid and volunteer groups' economic support. By using the lifelong education system, a new momentum for improving education opportunities and living standards needs to be established. Third, for eliminating digital divide among farmers and fishermen, middle and long-term plans for their informatization should be established and business models for coping with environmental changes need to be developed. In addition, specialized regional informatization suitable to each region should be implemented by sharing roles among the central government, local governments and the civic sector. Fourth, as digital divide elimination measures for the elderly, informatization target people of the elderly need to be subdivided, and policy measures should be investigated according to each subdivided group's interest and desires, and appropriate contents according to their purchasing power should be developed. In conclusion, universal service policies for general information access should be introduced, and the legal system should be revised because laws are required to substantially improve minimum information access. In addition, information use ability should be improved through practical education suitable for each class of people, new contents should be provided to meet the demand of the social weak, and it is also needed to support the social weak to create economic wealth through IT. Finally, it is considered difficult to eliminate digital divide only by the efforts of the government and public institutions. Therefore, the cooperation among the government, government sector and civic sector is required, along with expansion in the role of civic sector.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8697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07552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PUBLIC ADMINISTRATION LOCAL AUTONOMY[S](행정·자치대학원) > DEPARTMENT OF PUBLIC ADMINISTRATION(행정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