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13 0

장기복무 제대장교 취업 활성화를 위한 제도 연구

Title
장기복무 제대장교 취업 활성화를 위한 제도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a System for Facilitation of the Long-Service Military Officers' Employment
Author
박성근
Alternative Author(s)
Park, Sung-Keun
Advisor(s)
박응격
Issue Date
2007-0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The long-service officers who work for the national security are obliged to be more devoted to the nation than other disciplines, but the majority of them should leave their job inevitably due to the ceiling of rank and age requirements despite they are still young. Thus, they will face a serious survival situation in the strange and brutal society. Lately, the government has been endeavoring to recruit the retiring officers within the military camps or for military-related jobs, but such endeavors do not seem to meet retiring officers' expectations, because they are short-sighted and ineffective. This study reviewed the institutional methods to facilitate reemployment of the retiring long-service officers who have worked for the national security for more than a decade. To this end, the researcher theoretically reviewed the employment support systems in consideration of military officers' job competence and their reemployment, focusing on the history of retiring officers' reemployment system and codes, their reemployment supporting systems and the like. Then, the researcher examined advanced nations' retiring officer reemployment systems and thereupon, analyzed our problems to suggest the ways to reform our systems as follows in an effort to help more of our retiring officers reemployed. First, the current reemployment supporting system should be reformed into a general reemployment organization. Second, an effective training program for reemployment should be operated. Third, retiring officers should be well guided to find their new jobs meeting their competence and aptitude. Fourth, a human resource database about the long-service military officers should be constructed effectively. Fifth, their preparation for reemployment should be well linked with the personnel affairs management system. Sixth, a civil-public-military networks should be constructed. Seventh, the military career should be well connected with the new jobs. Eighth, retiring officers should be guided to find the jobs meeting their expectations. In order to make effective the above 8 reforms, it is required of the government above all to strengthen its supporting policy efforts, while a national consensus should be formed to help retiring officers find their new jobs. In addition, the retiring officers themselves are obliged to make more efforts to develop their new job competence, while the military organization should be more concerned about their new future. And the reemployment supporting organization should provide for a total service covering pre-employment and post-employment services. When such institutional measures and efforts support retiring officers' reemployment, they would find their new jobs satisfactorily. Namely, the conventional quantitative supporting system should be replaced with a qualitative one to enhance our military officers' morale and sense of mission and thereby, maximize our untangible combat competence for our national security.; 國家安保를 책임지고 있는 軍에서의 長期服務를 하고 있는 將校들은 服務간 그 어느 직업보다도 국가에 대해 가장 많은 獻身을 요구받는 職業的 特性에도 불구하고, 과반수 이상의 인원들이 계급 및 연령 정년으로 인해 어쩔 수 없이 한창의 나이에 군문을 떠나 생소하고 무지한 사회에서 새롭게 就業을 해야만 生存이 가능한 심각한 문제에 직면하게 된다. 최근에는 그래도 나름대로는 政策的인 차원에서 軍內 및 軍 관련 업종에서 취업직위의 확보를 통해 長期服務 將校들의 취업률을 꾸준히 향상시키고는 있으나, 아직도 대부분의 인원들에 대한 기대정도를 충족시켜 줄 만한 실질적인 도움을 제공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며 주로 短期的이고 非效率的인 수준에 그치고 있다고 밖에 볼 수 없다. 따라서 본 論文에서는 이러한 현실로 인해 10년 이상을 國家에 獻身하고도 除隊 후 社會에서 어려움에 처하는 長期服務 除隊將校들의 재취업 문제 해결에 조금이나마 보탬이 되기 위해, 이들의 就業을 활성화하기 위한 制度的 方案을 硏究하였다. 이를 위해 就業支援制度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통해 軍人의 職業的 特性과 除隊軍人에 대한 就業支援의 현상 및 필요성을 알아보았고, 除隊軍人 就業支援制度의 경과 및 법제, 현재 우리나라의 除隊軍人 就業支援體制, 就業支援制度 등에 대해 살펴보았다. 또한 각 국가의 除隊軍人 就業制度를 통해 현행 우리의 除隊軍人 就業支援制度를 分析하고 문제점을 도출함으로써 이를 바탕으로 앞으로의 就業支援制度 改善에 있어서의 基本方向을 제시한 뒤 長期服務 除隊將校 就業活性化를 위한 8가지의 制度的 方案을 提言하였다. 就業 活性化를 위한 8가지의 제도적 방안으로는 첫째, 就業支援 總括機構로의 就業支援體系를 改善하고, 둘째, 실질적인 재취업을 보장할 수 있도록 就業支援敎育을 실시하며, 셋째, 能力 및 適性을 고려한 職業斡旋活動을 강화하고, 넷째, 長期服務 除隊將校의 인적자료 시스템을 效率性있게 구축해야 한다. 다섯째, 就業準備와 人事管理體系를 連繫性 있게 구축하고, 여섯째, 民·官·軍이 상호 협력된 네트워크 체계를 구축하며, 일곱째, 軍隊 經歷과 社會 就業간 連繫性을 강화하고, 마지막으로 長期服務 제대장교의 기대정도에 부합되는 就業 일자리를 提供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와 같은 8가지 制度가 소기의 성과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우선 무엇보다도 정부차원에서의 정책적인 지원노력이 필요하며, 長期服務 除隊將校 나아가 除隊軍人 전체에 대한 就業支援活動의 당위성에 대해 國民的 共感帶 形成이 필요하다. 또한 당사자인 長期服務 除隊將校 스스로의 就業能力 향상을 위한 自發的 노력이 선행되어야 하고, 軍 내부에서부터 관심과 배려가 있어야 하며, 就業支援기관에서는 就業支援뿐만 아니라 취업 후까지 연계시켜 관리하는 토털 서비스(total service)가 제공되어야 할 것으로 본다. 이러한 제도적 방안과 노력들이 뒷받침될 때 長期服務 除隊將校들의 취업률 향상은 물론이거니와 기대정도에 부합되는 취업을 통해 기존의 量的 취업위주에서 탈피하여 質的 취업위주로 전환됨으로써 진정으로 除隊軍人의 취업을 지원해줄 수 있는 支援政策이 추진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며, 이것은 곧 현역복무자의 사기 및 복무의욕 고취로 직결되어 無形戰力의 極大化에 크게 기여하리라 믿는다.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8696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07518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PUBLIC ADMINISTRATION LOCAL AUTONOMY[S](행정·자치대학원) > DEPARTMENT OF PUBLIC ADMINISTRATION(행정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