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40 0

사회복지사의 조직몰입과 직무성과에 관한 연구

Title
사회복지사의 조직몰입과 직무성과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he Job Performance of Social Workers
Author
김명희
Alternative Author(s)
Kim, Myung-Hee
Advisor(s)
이희선
Issue Date
2007-0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급속한 경제개발과 산업화와 도시화에 따른 부작용으로 가족의 해체가 범람하고 빈곤해체 가정의 아동들은 가난하고 굶주리는 문제이외에도 다양한 사회ㆍ정서적 문제들에 직면하고 있다. 신체적인 발달이나 영양부족의 문제는 말할 것도 없고, 따돌림, 낮은 자존감, 부족한 자기표현 및 사회기술능력, 가족해체로 인한 고립감 등은 빈곤 아동들에게 익숙한 문제들이다. 따라서 삶에 대한 정체성이 아직 자리 잡지 못한 이러한 청소년들과 아동들에게 아동기의 특성인 안정감과 더불어, 올바른 길잡이와 보살핌을 제공할 수 있는 사회복지사의 역할은 크다고 볼 수 있다. 사회복지업무는 인간의 존엄을 바탕으로 하는 전문직무로서 전문가에 의해 그 직무가 수행되어야 하고, 인간봉사를 기반으로 하는 사회복지사의 책임성과 효과성은 사회복지사 개개인의 능력과 자질에 의해서 크게 좌우되며, 사회복지사의 근무태도와 프로그램 수행능력이 아동복지시설의 아동들에게 직접적으로 커다란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아동복지시설에서 근무하고 있는 사회복지사의 개인적 특성에 따른 조직몰입과 직무성과 및 조직몰입이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문헌조사와 설문지 조사를 통한 실증분석을 하였으며, 설문지 조사에 의한 실증분석을 위해 사회복자사의 조직몰입과 직무성과에 관한 이론적 고찰도 함께 진행하였다. 연구 대상은 현재 국내의 아동복지시설에 근무하고 있는 사회복지사를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설문조사는 현장 수집 방법과 본인 직접 조사 임하여 실시하였으며 설문대상자들이 직접 기입하는 자기기입법을 사용하였다. 이상의 연구방법에 근거하여 수집된 자료를 통해 먼저 조사대상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조사대상자의 일반업무 특성, 사회복지사로서의 전문능력과 태도에 대해 살펴본 결과, 조사대상자는 일반적으로 30대 이상의 기혼 대졸 여성 사회복지사로 5년 이상 사회복지기관 근무경력을 가지고 있으며, 현 업무나 기관에 대해 대체로 만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회복지사로서의 전문능력과 태도는 보통 이상 정도인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대상 사회복지사의 조직몰입과 직무성과 수준에 대한 조사에서 조직몰입에 있어서는 전체 평균이 3.23점으로 보통정도의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하위요인별로 정서적 몰입 평균 3.49점, 지속적 몰입 평균 2.91점, 규범적 몰입 평균 3.23점으로 나타났다. 즉, 조직에 대한 가치나 친밀감, 충성정도는 보통정도 또는 그 이상의 몰입 수준을 보이고 있으나, 이직 등에 관해서는 보통이하의 몰입수준을 보이고 있었다. 조직성과에 있어서는 전체 평균 3.71점으로 비교적 높은 수준을 나타냈다. 하위요인별로는 전문가들이 갖추어야 할 속성 및 태도 수행이 평균 3.76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업무수행요구 및 업무량 관리 평균 3.74점, 클라이언트 체계와의 관계 형성 및 유지능력과 기관행정의 이해 각각 평균 3.72점, 수퍼바이저와의 관계 및 슈퍼비전 활용과 지역사회자원 동원과 활용 각각 평균 3.68점, 사회복지지식과 기술 발휘 3.67점의 순으로 나타나 각 하위요인별로의 차이는 크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3개의 연구가설, 즉, “연구가설 1: 사회복지사의 개인 특성에 따라 사회복지사의 조직몰입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연구가설 2: 사회복지사의 개인 특성에 따라 사회복지사의 직무성과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연구가설 3: 사회복지사의 조직몰입은 직무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를 설정하고 이를 검증하여 보았다. 사회복지사의 인구통계학적 특성과 업무특성에 따라 사회복지사의 조직몰입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연구가설 1과 연구가설 2는 채택되었으나 지속적 몰입이 직무성과에 미치는 여향에 있어서 유의미하지 않아 가설 3은 부분적으로 채택되었다. 끝으로 실증적 연구를 통해 도출된 결과를 요약하고 이상의 결과를 통해 파악된 사회복지사의 조직몰입과 직무성과의 인과관계를 분석하여 앞으로 아동복지시설에 종사하는 사회복지사들의 조직몰입 및 직무성과의 향상 전략을 수립할 수 있는 근거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는 결국 복지시설 아동들이 심신의 장애, 환경의 장애로부터 삶을 정상적으로 이끄는데 있어서 실천적으로 기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를 통해 사회복지사의 직무성과를 향상시키는 방안을 모색하고 미래의 사회복지사의 발전 가능성에 대한 대안을 제시하였으며 그동안 부진했던 시설 아동의 보호에 관련된 학문적 영역의 발전에 적지 않은 기여를 할 것으로 본다.; As the side effects of economic development, industralization and urbanization, social and emotional problems have occurred including disorganization of family, starvation of children from poor family. Poor children have faced upon poor physical development, malnutrition, being left out, low self-respect, lack of self and social expression ability and a sense of isolation. For the teenagers and a sense of isolation. For the teenagers and children without firm identification, the role of social workers is important giving them stability, guideline and caring. Social working, as a professional duty based on the dignity of the man, should be performed by experts. The responsibility and efficacy of social workers depend on the ability and quality of professionals themselves. Since their attitude o work and ability of performing program affects directly on children in welfare facilities, this study will show devotion to organization and outcome from work by social worker's characteristics and how the devotion to organization affects the outcome from work. Reference study and survey was performed in addition to studying theories related to social worker's devotion to organization and outcome from work. The social workers from children welfare facilities in Korea were partivipated in the study.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in the spot and they were filled b interviewee themselves. Demographics, work characteristics and professional ability and attitude were as follows. Social workers from survey were married, university graduate, over 30 years old women who had work experiences over 5 years. They were satisfied with the present work and the ability and attitude score as a professionals were above the average. The average devotion to work score was 3.23, which was a medium level. In the sub-score, the average of emotional devotion was 3.49, constant devotion was 2.91 and standard devotion was 3.23. That was, devotion in value and intimacy and loyalty to organization was above average but devotion in chang job was below the average. Outcome from work score was 3.71, which was a high level. In the sub-score, the highest score was 3.76 in attitude as professionals, the next was 3.74 in relationship with clients, the third was 3.72 in understanding of administration, the forth was 3.68 in relationship with supervisor, using supervision and usage of local community resources. The last was 3.67 in applying knowledge and skill of social worker. The sub-score didn't show a big differences. There were three hypothesis in this study. "Hypothesis 1 : there are differences in social worker's devotion to organization by personal characteristics.", "Hypothesis 2: there are differences in outcome from work by personal characteristics." "Hypothesis 3: devotion to organization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outcome from work." Since the social worker's devotion to work was different by demographics and work characteristics, hypothesis 1 and 2 were accepted. However, hypothesis 3 was partially accepted because constant devotion didn't have significant effect on the outcome from work. The last part of the thesis was summarization of results from the study by evidence and establishment of strategy for improving the devotion to work and outcome from work analyzing a cause relationship of the devotion to work and outcome from work. This study contributes to make children's life in welfare facilities to normal life. Moreover, it presents the way to elevate the outcome from work and possibility of social worker's development. It also contributes to development of academic area related to protection of children in welfare facilities.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8679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07300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PUBLIC ADMINISTRATION LOCAL AUTONOMY[S](행정·자치대학원) > DEPARTMENT OF SOCIAL WELFARE(사회복지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