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2 0

외교 담당기자의 직업의식과 전문화에 대한 연구

Title
외교 담당기자의 직업의식과 전문화에 대한 연구
Other Titles
The Study on Problems of the Specialization of Diplomatic Reporters and Possible Ways to Solve Them
Author
이승철
Alternative Author(s)
Lee, Seung-Chull
Advisor(s)
김재범
Issue Date
2007-0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외교는 세계화의 진전과 함께 갈수록 중요성을 더하고 있다. 특히 한국은 정치적으로 세계에서 유일한 분단국가이며 경제적으로 무역의존도가 높은 국가여서 외교는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 언론은 국제관계의 중요성 증대에 따라 영향력이 갈수록 커지고 있다. 이 같은 사실은 외교 분야에서 전문화된 기자의 필요성을 함의하고 있다. 그러나 불행히도 한국은 다른 나라와의 관계를 전담하는 외교 전문기자를 한 명도 갖고 있지 못하다. 1980년대 초반부터 기자의 전문화 중요성에 대해 많은 연구와 토론이 있었다. 중앙일보가 1994년 몇 몇 분야에서 전문기자제도를 도입하면서 비로소 우리나라에도 전문기자가 탄생했다. 중앙일보의 뒤를 이어 일부 회사들이 이를 뒤따랐다. 그렇지만 이러한 시도는 당초 기대했던 긍정적 결과를 지금까지 얻고 있지 못하며 지금은 일부 분야에서만 전문기자의 명맥을 잇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기자 전문화에 대해 외교통상부를 출입하는 기자들이 갖고 있는 의식을 조사함으로써 한국에서 외교 전문기자가 없는 이유를 찾아내 바람직한 개선 방안을 찾아보는 것이다. 외교 통상부 출입기자들은 외교 전문기자가 탄생할 경우 최우선 순위에 있는 후보자들이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는 다음 세 가지 연구 문제를 설정했다. 1. 외교 담당기자들은 기자의 전문화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고 있나? 2. 외교 담당 기자들이 생각하는 국익의 개념은 무엇인가? 3. 외교 담당 기자들은 기자의 전문화가 이루어지지 않는 이유를 무 엇이라고 생각하나? 이러한 연구문제에 대한 답을 얻기 위해 외교통상부 출입기자 46명 중 29명이 설문조사에 참여했으며 이 중 5명이 심층 대면인터뷰에 응했다. 또 이 조사를 보완하기 위해 각기 다른 언론사 소속 기자 3명이 2007년 3월1일부터 31일까지 1개월 동안 쓴 기사를 분석했다. 그 결과 조사에 응한 기자 중 72%가 기자의 전문화 필요성에 동의했다. 그러나 이들 중 일부는 특정 조건들이 충족되면 전문기자가 되겠다는 의사를 내보였으나 많은 수는 자신들이 전문기자가 되는 데 대해 망설였다. 젊거나 외교부 출입기간이 짧을수록 망설이는 경향이 강했으며 나이가 많거나 외교부 출입기간이 길수록 긍정적 자세를 보였다. 연구에서 많은 기자들이 전문기자가 되길 망설이는 이유가 복합적이라는 사실이 드러났다. 우선 기자 개인의 의식 문제와 관련이 있다. 외교부 출입기자들이 대부분 출세의 사다리 타기에 유리한 정치부 소속이라는 점에서 편집국장, 정치부장과 같은 자리에 대한 희망을 갖고 있었다. 이러한 성향은 젊은 기자일수록 심했다. 기자 개인의 관료적 의식이 기자전문화의 저해요인이 되고 있다는 얘기다. 또 다른 이유는 이미 많은 연구에서 지적됐다시피 실질적으로 전문기자제를 뒷받침할 수 있는 체제를 갖추지 못한 회사의 구조적 문제다. 이 밖에 외교현안에 대한 편집국 내 간부들의 무지와 좁은 시야가 일선 기자들의 취재 범위와 활동에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결과적으로 이들로 하여금 전문기자에 대한 매력을 잃게 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결론적으로 외교 기자의 전문화를 위해서는 1차적으로 개별 기자들이 관료적 의식에서 탈출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또 외교기자의 전문화가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언론사가 인사 문제를 비롯해 보수 등에서 해당 기자들이 불이익을 받지 않도록 보장할 수 있는 체계를 갖춰야 할 필요가 있다.; The diplomacy is becoming more important with the progress of the globalization process. Especially, it is more critical in Korea than in other countries because it is the only divided country. Also its economy heavily depends on international trades. The media has been more influential in accordance with the increase of the importance of international relations. This implies the necessity for Korea to have specialized correspondents on the area of diplomacy . It is unfortunate that Korea does not have any diplomatic correspondents who are fully devoted to the relation with other countries. There has been many studies and discussions about the importance and necessity of professionalization and specialization of reporters since early 1980s. JoongAang Ilbo introduced several specialized reporters at several fields in 1994 and several other companies followed. But these trials have not produced positive results as much as it was expected so fa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rvey consciousness of reporters who are covering the Ministry of Foreign Affairs and Trade (MOFAT) regarding the specialization, and to find reasons why there are not specialized reporters on diplomacy in Korea. Through this, appropriate recommendations can suggested. They are the most possible candidates for such post. To achieve these objectives, this study set up three following study questions; 1. How much do they think the specialized diplomatic reporters are necessary? 2. What do they think the national interest is? 3. Why do they think diplomatic reporters are not specialized? To find answers to these questions, 29 diplomatic reporters who are covering MOFAT were surveyed, and then 5 among them were interviewed for Focus Group Interview (FGI). In addition, all articles written in March, 2007, by 3 reporters from different companies were analyzed to supplement the survey. The result was that 72% among the surveyed thought specialized reporters necessary. However, many of them were hesitant to become specialized reporters themselves. Others were willing to become if some conditions are satisfied with. The younger reporters were more reluctant whereas older reporters tended to be more positive about it. The study shows that the reasons for their being hesitant are composite. One is the consciousness of individual reporters, the other is the systematic problems companies have. Younger reporters hope to go up the ladder to the top such as the executive editor or the political editor because they belong to political department which is still advantageous for such path. Some older reporters desire incentives or guarantees that are not disadvantageous to their careers. Another problem is that editors in the news room have insufficient knowledge and narrow viewpoint about diplomatic issues. This reason cause reporters to limit coverage areas, eventually to lose interest in becoming specialists. These problems are considered to be related with the bureaucratic consciousness the individuals and companies have as well. In conclusion, it is imperative for individual reporters to liberate themselves from the bureaucratic consciousness. Additionally, news organizations should review and reform its system so as to raise specialized diplomatic correspondents.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8647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07430
Appears in Collections:
ETC[S] > ETC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