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20 0

산욕 초기 산모의 전인적인 간호요구에 관한 연구

Title
산욕 초기 산모의 전인적인 간호요구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Wholistic Nursing Needs of Early Postpartum Mothers
Author
구정선
Alternative Author(s)
Ku, Jung Sun
Advisor(s)
유은광
Issue Date
2008-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출산 후 1주내에 있는 산모의 간호 요구를 파악하여 산후 이행기를 성공적으로 이끌어 전인적으로 건강한 적응을 돕기 위한 간호중재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본 연구를 시도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서울에 소재하는 2개 여성 전문병원에서 분만한 산모로 2007년 9월 5일부터 10월12일까지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고, 회수된 질문지중 불완전한 것을 제외한 91부를 연구 자료로 사용하였다. 연구도구는 구조화된 설문지로 인구학적 특성 7문항, 산과적 특성 15문항, 신체적 간호요구 13문항, 정서·영적 간호요구 15문항, 환경적 간호요구 9문항, 사회·문화적 간호요구 7문항, 교육적 간호요구 37문항(신생아 간호 19문항, 산모 자가 간호 18문항)으로 구성 되어 있다. 자료분석은 SPSSWIN 12.0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였고,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 및 산과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실수와 백분율, 간호요구도는 평균 평점과 표준편차를 구하고, 특성에 따른 간호요구도의 차이는 t-test와 ANOVA, 요구들간의 상관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Pearson's correlation을 이용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연령은 30~34세가 56%, 교육수준은 대졸이상이 54.9%, 종교는 없는 경우가 41.8%, 직업이 있는 경우가 54.9%, 핵가족이 86.8%이었으며, 경제 상태는 81.3%가 중 정도의 수준이며, 평상시 본인의 건강상태는 60.4%가 '매우건강‘ 정도의 수준으로 나타났다. 2. 산전 진찰은 91.2%가 받았고, 산전교육 받은 경우가 37.4%, 아기의 성별은 여아가 49.5%이었고, 아기의 몸무게는 3.0-3.5kg군이 42.9%, 원하는 임신이 92.3%, 제왕절개가 64.8%, 초산모가 70.3%이었으며, 모유수유 계획은 65.9%, 병원에서 모유수유를 하고 있는 경우가 61.9%, 산후교육은 받지 않은 경우가 83.5%, 육아에 대한 자신감은 ‘잘 모르겠다’가 42.9%, 자가 간호 자신감은 중간 정도가 56%로 나타났다. 3. 산후조리 시 도와줄 사람이 있는 경우 83.5%, 산후조리는 산후조리원에서 전문 간호인을 원하는 경우가 41.8%, 산후조리가 여성건강에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경우가 86.8%로 많았다. 4. 간호요구도의 전 항목의 평균 평점이 4.17로 전반적으로 높았다. 5. 영역별 간호 요구도는 교육적 간호요구 중 신생아 간호에 대한 요구(4.39), 환경적 간호(4.33), 교육적 간호요구 중 산모 자가간호에 대한 요구(4.23), 정서·영적 간호(4.23), 신체적 간호(3.98), 사회·문화적 간호(3.87)순으로 나타났다. 6. 일반적 특성에 따른 전체 간호요구도는 연령에서만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즉, 연령이 낮은 20-24세 군에서 간호요구도가 가장 높았다. 영역별 간호 요구도는 신체적 영역에서 연령, 경제상황에 따라, 교육적 간호요구에서 연령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연령이 30~34세(F=3.100, p=.020)와 경제상황(F=7.203, p=.001)이 좋은 경우에 신체적 간호요구가 높았으며, 연령이 낮은 20-24 세에서 전체 교육적 간호요구 (F=4.358, p=.007), 신생아간호(F=3.383, p=.022), 산모 자가간호 (F=4.280, p=.007) 모두에서 높았다. 정서적· 영적 및 환경적 사회·문화적 요구도는 어떤 특성에서도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7. 산과적 특성에 따른 전체 간호요구도는 산전교육 유무에서만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즉, 산전교육을 받은 군에서 전체 간호요구도가 높았다(t=2.402, p=.018). 영역별 간호요구는 신체적 간호요구에서 원한임신여부와 아기몸무게, 정서 · 영적 간호요구에서 산전교육 유무와 산관자 유무, 환경적 요구에서 산전진찰 유무, 교육적 요구에서는 산전교육 유무와 분만력에 따라 요구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교육적 요구에서도 신생아 간호에서는 분만력에서만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8. 전체요구도와 영역별 요구도 간의 상관관계를 볼 때 서로간의 매우 높은 순 상관관계를 보였다. 본 연구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여성들의 사회진출과 지속적인 경제활동 및 육아활동의 어려움 속에 출산이라는 여성의 삶에 있어서의 전환기인 출산 후 이행기(transition)를 맞게 되는 산모들이 퇴원 후 남은 산욕기 동안 신체, 정서·영적, 환경적, 사회·문화적으로 전인적으로 건강한 적응을 할 수 있도록 폭 넓은 퇴원 교육이나, 현 사회에 대중화 되어있는 인터넷 등을 통해 올바른 교육정보를 접할 수 있는 산전·산후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고, 핵가족 형태에서의 산후이행기를 성공적으로 이끌기 위해서는 여성 전문간호사나 조산사 모유수유 전문간호사 같은 산후관련 전문간호사들의 가정으로의 방문간호를 통해 직접적인 간호와 상담이 절실히 요구되며 이를 위한 사회적인 법적, 제도적 정책마련이 시급하다. 또한, 산후조리원과 같은 곳에서의 산후관리 요구도가 점점 증가함에 따라 산후조리에 대한 바른 교육과 인식으로 준비된 건강 전문인에 의한 전문적인 산후관리가 요구되며, 출산은 가족의 사건으로 새로운 가족적응을 위한 가족전체의 지지와 교육을 위한 전략이 필요하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figure out the nursing needs of postpartum mothers who were in a week after giving birth. The goal of this study was to offer basic data needed to develop more successful nursing intervention toward postpartum mothers' healthy adaptation. The subjects were 91 postpartum mothers who were in the early postpartum period in OBGY hospitals in Seoul.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September 5th to November 12th 2007 by means of a structured questionnaire, which consisted of 103 items. Data analysis was performed by using SPSS/Win 12.0. Mean and Standard deviation were used to define the degree of nursing need. T-test and ANOVA were used to show the difference of degree of nursing need by characteristics. Pearson's correlation was used to ascertain the correlation among nursing need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majority of subjects were aged 30-34 yrs(56%), university graduated(54.9%), jobholders(54.9%), in nuclear family(86.8%) and had no religion(41.8%), middle level of living(81.3%), good state of health(60.4%). 2) 91.2% of subjects received prenatal examination and 37.4% only postpartum education. 49.5% of babies was female and 42.9% of them weighed 3.0-3.5 kg at birth. 92.3% of subjects was wanted pregnancy, 64.8% had a Caesarean operation, 70.3% had no experience of delivery, 65.9% made a plan for breast-feeding, and 83.5% got no postpartum education. 76.9% of subjects answered that they had reasonable self confidencein self care, however, 69.3% did that they didn't have confidence in infant care. 3) 83.5% of subjects had a helper during Sanhujori, traditional postpartum care, 41.8% wanted to enter the Sanhujoriwon, and 86.8% thought that 'Sanhujori' was very important to their health. 4) The mean of nursing needs was 4.17 and it means that the overall degree of nursing need during postpartum is still high. 5) Specifically, according to the category of needs, the degree of nursing need was 'educational need for infant care'(4.39), 'environmental care'(4.33), 'educational need for self care'(4.23), 'emotional-spiritual care'(4.23), 'physical care'(3.98),'sociocultural care'(3.87) in rank. 6) The related factor to the overall degree of nursing needs was only 'age'; that of 20-24yrs. group was the highest. In the degree of nursing need according to the category of needs, 'age' and 'economic level' were the related factors in 'physical care'; the mothers who were 30-34 years old(F=3.100, p=.020) and in high economic level(F=7.203, p=.002) revealed higher nursing needs on 'physical care'. Also, 'age' was one in 'educational needs'; the mothers who were 20-24 years old revealed higher 'educational need for infant care'(F=3.383, p=.022) and 'for self care'(F=4.280, p=.007). 7) With regards to OBGY characteristics, the related factor to the overall degree of nursing needs was 'prenatal education'; the mothers who got the education revealed higher nursing need(t=2.402, p=.018). In the degree of nursing need according to the category of needs, 'Wanted pregnancy or not' and 'birth-weight' were the related factors in 'physical care', 'prenatal education' and 'postpartum care-giver' were in 'emotional-psychological care', 'prenatal care' was in 'environmental care', and 'prenatal education' and 'delivery experience' were in 'educational need for both'. But 'delivery experience' was related only in 'educational need for infant care'. 8) There was highly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overall degree of nursing needs and the degrees according to the categories. Based on these results, I would like to recommend as follows; in our modern society, women are forced to keep engaged in economic activities and bring up infants at the same time. And overall the degree of postpartum mothers' need is still high in all aspects. This means that more integrative discharge education program and more systematic prenatal and postpartum education program are highly necessary to help for women's healthy adaptation during postpartum after leaving hospital. And especially for the mothers whose family is a nuclear one, we must figure out ways to afford the direct care and consultation of the professional care givers such as women's health and lactation nurse during postpartum after leaving hospital at home. More and more postpartum mothers depend on Sanhujoriwon, so professional postpartum care by the nurses who had an educational program of Sanhujori, must be offered to them.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8344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08663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NURSING(간호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