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7 0

중학교 특기적성 교육에서 대금 지도방안 연구

Title
중학교 특기적성 교육에서 대금 지도방안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instruction method for Taegum in speciality and aptitude education at middle school.
Author
김샛별
Alternative Author(s)
Kim, Sat Byeol
Advisor(s)
한영숙
Issue Date
2008-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본 논문은 중학교의 특기적성 과목 중 대금지도 사례를 현장에서 실시한 경험을 바탕으로 보다 효율적인 지도방법에 관하여 연구해 본 글이다. 지도 방법으로 첫 번째 단계인 기초단계에서는 학생들에게 대금의 유래와 종류, 연주자세, 소리내기 등 기본적인 내용을 지도하였다. 기초단계에서 중요한 점은 대금 소리가 쉽게 나지 않으므로 학생들의 꾸준한 연습과 노력이 필요하다. 그 결과, 정확한 자세교정과 반복학습을 통해서 학생들이 대금에 흥미를 느끼도록 유도하였다. 두 번째, 중급단계에서는 국악의 기보방식인 정간보를 보면서 전래동요 및 민요를 연주하도록 지도하였다. 이 학생들은 대금의 운지법과 자세가 안정되었고, 정간보를 보면서 연주 부호를 곁들여 연주가 가능하였다. 세 번째, 심화단계에서는 지금까지 배운 연주법에 장식음 부호를 추가하여 평조회상 중 타령을 지도 하였다. 그 결과, 타령장단의 경쾌함을 살려서 연주할 수 있었고, 세령산, 염불, 군악까지도 연주가 가능 하였다. 이와 같이 단계별 지도 방법은 국악의 미감을 충분히 인지시킬 수 있다는 점이 중요하다. 앞으로 우리의 국악기를 다양하게 접해보고 학생들이 스스로 체험해 봄으로써 국악에 대한 인식과 전통문화에 대하여 올바르게 이해하길 바라며, 다양한 국악기를 통한 국악교육의 발전 방안을 모색하여 우리나라의 기악교육의 활성화를 기대해본다.; This thesis work is about the efficient teaching method based on an actual Dae-gum teaching experience among special ability and aptitude subjects of junior high school. As the first step of the teaching method, I have taught the students about history, type, playing position, and how to make sound of Dae-gum as a start. The most important part in this basic session is steady and continuous practice and efforts of students since making sound with Dae-gum is a tough part for the beginners. As a result, I have led the students to be interested in Dae-gum by an exact position correction, and repeat study. Secondly, in the intermediate level, I have taught them to play transmitted children songs and folk songs, looking at Korean classical musical notation; Chonggan notation (checker squared notation). These students have stable Dae-gum fingering, and playing position, and they were able to play them, looking at Chonggan notation, together with musical sign. Thirdly, in intensive level, I have taught TA-R'YONG from P'yongjoHoesang with grace note sign added to the technique that has been taught so far. At the end, the students were able to play it with jauntiness of TA-R'YONG rhythm, and they could play even SE-R'YONG-SAN, Buddhist invocation, and military music. As mentioned above, the importance of step-by-step teaching method is to help the students to recognize and to be familiar with the touch and the feeling of Korean classical music. I wish for the students to experience diverse Korean traditional instruments from now on, and have a right understanding of Korean classical music, and culture. Moreover, I expect Korean instrumental music education to be more revitalized by seeking the way to improve Korean classical music education through students’ actual experience with various types of Korean traditional instruments.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8286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09081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S](교육대학원) > ARTS AND PHYSICAL EDUCATION(예체능학계열)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