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8 0

일제하 이주홍 아동문학 연구

Title
일제하 이주홍 아동문학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Juvenile Stories by Lee Ju-hong under the Rule of Japanese imperialism
Author
최선영
Alternative Author(s)
Choi, Sun Young
Advisor(s)
서경석
Issue Date
2008-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향파 이주홍은 1928년 《新少年》지에 「배암색기의 무도」로 등단하여 1987년 작고 직전까지 60여 년간 꾸준히 작품 활동을 해 온 대표적인 아동문학가이다. 이주홍 아동문학 연구는 대부분 그의 아동문학사적 위치를 가늠해 보고 작품 경향을 대략적으로 살펴보는 수준이었다. 이주홍 아동문학의 일반적인 주제나 문체의 양상 정도가 연구되었을 뿐 작품에 대한 문학적인 연구는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았다. 본 연구는 그레마스의 서술기호학적 모형에 따라 작품의 구조를 분석하여 이주홍 아동문학 작품 속 인물들의 관계에서 일관되어 나타나는 이야기의 규칙을 찾고 그 문학성을 탐구해 보고자 한다. 일제하에 창작된 아동문학 작품을 연구 대상으로 한다. 1908년 《소년》지의 창간부터 일제의 탄압에 의해 《신소년》등의 잡지들이 차례로 폐간된 1940년 중반까지 아동문학사의 근대에 해당하는 시기는 이주홍 아동문학 작품이 프로문학 경향을 표출하고 있는 초기 작품세계와 일치하기 때문이다. 아동문학이란 용어는 아동과 문학의 합성어로 영어로는‘Children's Literature’혹은‘Juvenile Literature’라고 쓴다. 즉, 아동문학은 문학 본질상 관련 있는 소재와 아동에게 이해되는 표현으로 제작된 문학으로 그 대상을 아동으로 한다. 아동문학은 어른에게 종속되었던 어린이의 위치를 독립시키고 휴머니티에 바탕을 둔 새로운 아동관의 확립과 밀접한 관련을 맺고 발달되었다. 한국의 근대 아동문학은 갑오경장 이후 아동에 대한 인식이 바뀌면서, 조국독립을 이루기 위한 목적의식을 바탕으로 하여 시대적 흐름에 따라 주도적인 성향이 달라지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본 연구는 그레마스의 행위자 모델에 따라 《신소년》지에 수록되었던 아동문학 작품의 인물의 관계를 분석하여 공통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구조를 확인하였다. 이주홍 작품에서 가장 치열하게 묘사되어 있는 것은 지주와 소작인의 갈등이다. 다른 한편으로 동물우화에서는 강/약, 빈/부라는 계급 대립적 인식의 틀을 뚜렷하게 내세우고 있다. 그리고 작품들의 인물 관계가 이루고 있는 표층구조를 행위자 모델에 따라 분석하는 작업을 통하여‘삶:죽음’,‘가난:부유함’,‘자유:억압’,‘피지배자:지배자’란 이항 대립의 심층구조를 확인할 수 있다. 지주와 소작농, 지배자와 피지배자의 갈등 양상을 통해 프로 문학으로써 명백한 목적의식을 드러내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주홍의 작품에서는 동시에 문학 작품으로써의 기능과 특성을 유지하여 문학성을 잃지 않고 있다는 점에서 다른 프로 아동문학 작품과의 차이가 있다. 이주홍 작품의 주인공들은 어른같이 생각하고 어른처럼 말하는 것이 아니라, 어린이답게 생각하고 어린이답게 행동하고 있는 모습에서 동심을 그대로 지니고 있다. 또한 이주홍은 구수한 입말을 살리며 어린이들을 자연스레 이야기 속으로 끌어들여 그 이야기 속에서 현재 자기가 처한 현실을 느껴 볼 수 있도록 유도하고 있다. 서술 방식에 있어서 세밀한 묘사와 상징 ? 암시 등의 문학적 장치는 문학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신소년》지 폐간 이후에 쓰여 진 작품을 보면, 이주홍은 독자인 어린이에게 읽히는 재미있는 작품을 쓰려고 했다는 것을 뚜렷이 알 수 있다. 이주홍은 스토리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이를 강화하기 위하여 주위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소재를 가지고 어린이들의 호기심을 자극하고자 하였다. 또한, 아이들을 끌어들일 만한 독특한 기지, 해학, 풍자의 맛을 중시하였다. 그리고 계급 간 갈등에서 소소한 일상적인 생활과 연결되는 개인과 개인의 갈등 양상으로 변화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이상으로 이주홍은 철저한 현실인식을 바탕으로 작품을 쓰되, 아동문학의 문학성을 중시하여 재미있는 이야기로 형상화하고 있는 특징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시 말하면 그의 동화는 가르치려는 효용의 문학과 즐거움을 추구한 흥미의 문학이란 양면성을 고루 갖춘 작품이라고 할 수 있다. 아동문학의 문학성에 대한 연구는 이주홍의 작품뿐만 아니라 다른 아동문학 작품을 분석하는 데 있어서, 문학적 접근을 통한 연구가 이루어짐으로써 가능해질 수 있으리라 기대해 본다.; Hyang-pa Lee Ju-hong was a representative juvenile story writer who entered the realm of literature with ‘Cruelty of a youngling snake’published in Sin-so-nyeon Magazine in 1928, and constantly engaged in literary work for 60 years until his death in 1987. Much of the work in Lee’s juvenile literature has remained at the level of estimation of his position in the history of juvenile literature and approximate examination of his work trend. Only general themes and stylistic aspects of Lee’s juvenile literature have been studied, and sufficient research on his works has not been carried out. Thus, this study tries to explore his literature by applying literary analytic methods to his early works. Analyzing the structures of his works in accordance with A. J. Greimas’s narrative-semiotic model, this study tries to find out narrative rules that consistently appear in relations among characters of his works, and explore their literary quality. It takes juvenile literary works created under the rule of the Japanese imperialism as its objects. It is because the pre-modern period in the history of juvenile literature from the foundation of So-nyeon in 1908 to the sequential discontinuance of magazines including Sin-so-nyeon in the mid 1940s corresponded to the period of his early works that revealed the flavor of the Pro-literature. The term ‘juvenile literature’ is a compounding of ‘juvenile’ and ‘literature,’ which is also called ‘children’s literature.’ That is to say, juvenile literature is such a kind of literature that is produced with subject matters related to the nature of literature and expressions understood by children, with children as its subjects. Juvenile literature has been developed in close relationship with the establishment of the new view of children that makes the status of children independent from adults and is based on humanity. The pre-modern Korean juvenile literature showed the aspects in which the leading tendency varied with temporal flows based on the purposive consciousness for the national independence as the recognition of children had been changed since the 1894’s Political Reform. By analyzing relations among characters in the juvenile literary works published in New Adolescence in accordance with Greimas’s agent model, this study has identified a structure formed in common. What is most intensely described in Lee Ju-hong’s works is the conflict between landlords and tenants. On the other hand, in animal fables, he conspicuously presented recognition of class-struggle between the strong and the week, and between the rich and the poor. Also, he set up binominal deep structures such as ‘life vs. death,’ ‘poverty vs. wealth,’ ‘freedom vs. oppression,’ and ‘the ruler and the ruled,’ through working on the analysis in accordance with the agent model, of the surface structures formed by personal relations in his works. He revealed clear purposive consciousness with Pro-literature through the aspects of the conflict between landlords and tenants and between the ruler and the ruled. However, Lee’s works are different from other Pro-juvenile-literary works in that they did not lose their literary qualities by maintaining their functions and characteristics as literary works. The main characters of Lee’s works don’t think and say like adults, but do maintain their juvenile mind in their thinking and behavior as they are. Also, Lee exalted tasty spoken language and led children naturally into the story, which allowed them to feel their conditions where they were placed. Such literary measures as detailed descriptions, symbolism and intimation in the way of narration made it possible to retain literary quality. When we see those of Lee’s works written after the discontinuation of Sin-so-nyeon, we can clearly find out that he tried to write interesting works that would be easily read by children. In order to strengthen the importance of story in recognition of it, Lee tried to stimulate children’s curiosities with subject materials that can be easily accessed from circumstances. Also, he put importance on the tastes of unique wits, humor, and sarcasm that could attract children. And, the class struggle was changed into the aspects of conflicts among persons, which were connected to trivial daily life. As such, we can find out that Lee Ju-hong wrote works on the basis of thorough recognition of the real, but figured them as interesting stories with importance put on the literary quality of juvenile literature. In other words, his juvenile stories are such that they evenly have the duality of the literature of efficacy that educates children, and the literature of interest that pursues joy. I expect such a study can be enabled by carrying out research through literary approaches in analyzing not only Lee’s works but also other works in juvenile literature.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8250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08950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S](교육대학원) > LINGUISTICS AND LITERATURE SCIENCE(어문학계열)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