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37 0

홍이섭의 역사인식과 실학연구

Title
홍이섭의 역사인식과 실학연구
Other Titles
Hong I-seop's Historical Research and Understanding of Silhak
Author
손서연
Alternative Author(s)
Son, Seo-yeon
Advisor(s)
박찬승
Issue Date
2008-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There are a number of ways to acquire a right historical recognition. One of them is to look into the historians. We usually shed lights on a certain period of time and evaluate it based on the writings of historians.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it is very important to understand the historical recognition of the historians shown in their books. In the course of taking roots as a modern discipline, the historical science of Korea in the Japanese colonial era confronted the colonial view of history by accepting nationalist views and Marxist views. After liberation, the country’s historical science tried to set up a new Korean history by criticizing and overcoming the distorted view of history. This paper pay attention to Hong I-seop, who was passed two period the colonial and liberate era of imperialist Japan. He has written "study on Joseon Kwaharksa"(The History of Korean Science) and "study of Jeong Yak-yong's politics and economy thought", hong's history of science and study silhak, here we'll look around his historical research. Before and after Korea liberate from Japan empire, "study on Joseon Kwaharksa" was approved of Marxist Historical view in patches. Hong I-seop's supposed to overcome exist in colonial history. Here he is define character of silhak ‘Silsagusi’(實事求是) and further on research Jeong Yak-yong, who is bring to completion of silhak. Hong I-seop "study of Jeong Yak-yong's politics and economy thought" is pay attention to emergence and development of silhak within a single system and emphasized the central role of Namin(southerner faction). and he is emphasized the adoption of foreign ideas. Silhak was defined 'positivism' in "study on Joseon Kwaharksa", afterward it was changed 'reality' in "study of Jeong Yak-yong's politics and economy thought" , Hong I-seop's research bring explain the politics and economy into focus. Hong I-seop's understood that Jeong Yak-yong's learning was based on two axes of thought: Chu Hsi Confucianism and Western ideology (Catholic thought and modieval thological philosophy). This he saw concentrated in jeong's Gyeongseyupyo(經世遺表) and Mokminsimseo(牧民心書). Hong's perspective, Jeong Yak-yong's innovative ideas had revolutionary characteristics that simultaneously had limitations because of confucian ideology. Hong's concluded distance Jeong Yak-yong's silhak from mordern concepts. Hong I-seop is Jung In-bo's disciple, the first president of the korean Historial association(KHA), and he became a pioneer by faithfully playing the role of nationalist historian after the liberation from the Japanese colonial rule and advanced the study on the silhak, or practical science, by examining the social theories of Jeong Yak-yong in earnest for the first time. I anticipate that various evaluations of Hong, who played the role of a bridge in the country’s modern historical science, can be made in the future studies.; 올바른 역사인식을 얻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겠지만 그 중 하나는 역사가를 살펴보는 것이다. 역사가들이 편찬한 역사서를 토대로 우리가 일정한 시대를 조명하고 평가하기 때문에 역사서에 담겨진 그들의 역사 인식을 파악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한말 일제강점기 우리 역사학은 근대적인 학문으로 자리를 굳히면서 민족주의 사관과 마르크스주의 사관 등을 수용하여 식민사관과 대립하였고, 해방 이후에는 왜곡된 사관을 비판?극복하면서 새로운 한국사 체계를 수립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였다. 이 글에서는 일제강점기와 해방 이후의 두 시대를 관통한 역사학자 홍이섭을 주목하여, 저서『조선과학사』와『정약용의 정치?경제연구』로 대표되는 그의 과학사와 실학연구에 있어서의 역사 인식을 살펴보려 한다. 해방 전후의『조선과학사』 연구는 마르크스주의 사관을 부분적으로 수용한 것으로 이를 통해 홍이섭은 기존의 식민사학을 극복하려 했다. 그는 여기서 실사구시적인 실학의 성격을 정의하고 이후 실학의 완성자라 할 수 있는 정약용에 대한 연구를 진척시켰다. 『정약용의 정치?경제사상 연구』에서 홍이섭은 실학의 발생과 발전을 하나의 계통으로 이해하고 남인이 주도적인 역할을 수행하였음을 주목했다. 또 그는 실학의 형성과 발전의 과정에서 외래사상과 문화가 갖는 영향력을 강조하였다. 앞서『조선과학사』에서 실증학으로 이해되던 실학은 『정약용의 정치?경제사상』에 이르러‘현실학파’라는 개념으로 수정되어 정치?경제사상에 대한 분석과 해명을 연구의 중심으로 삼았다. 홍이섭은『경세유표』와『목민심서』가 주자학-유교적인 요소와 서구사상을 양 축으로 형성한 정치경제의 개혁론을 담고 있다고 분석하여, 정약용이 혁명적인 성격을 지니면서도 동시에 유교주의 이념에 사로잡힌 한계를 지니고 있는 것으로 보아 최종적으로 홍이섭은 정약용의 실학이 근대적 개혁구상과는 거리가 있다고 결론지었다. 홍이섭은 위당 정인보선생의 제자로 역사학회의 초대회장을 지내며 분단이후 민족주의 역사학자의 역할을 충실히 수행하여 부문사를 개척하였고, 특히 처음으로 다산의 사회사상을 본격적으로 연구하여 이후 실학연구를 한 단계 진전시켰다. 후속될 연구에서 근대 역사학에서 교량적 역할을 차지한 홍이섭 선생에 대한 다양한 평가가 이루어지길 기대한다.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8240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09316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S](교육대학원) > SOCIAL SCIENCE(사회과학계열)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