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03 0

웰빙공원 설계연구

Title
웰빙공원 설계연구
Other Titles
A Design of Well-being Park
Author
강필성
Alternative Author(s)
kang, pil sung
Advisor(s)
조세환
Issue Date
2008-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21세기 지구촌은 삶의 질이 강조되는 글로벌 사회를 지향하고 있으며, 이러한 새로운 패러다임은 사회 현상에서 웰빙라이프를 트랜드화 하였다. 또한 친환경속에서의 정신적?육체적 건강과 자기개발을 추구하려는 도시민들의 수요가 점차적으로 확대되고 있다. 그러나 도시생활 속에서의 진정한 웰빙은 여전히 어려운 여건 속에 있다. 건강과 심신의 안정, 그리고 휴식 취할 수 있는 공간이 매우 한정적이기 때문이다. 지금까지 도시민들에게 휴식과 여가 생활을 가져다주는 역할을 담당한 것은 공원이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도시민에게 웰빙을 주제로 한 공원을 계획하여 웰빙라이프적 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새로운 유형인 웰빙공원의 모델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특히 웰빙과 관련된 다양한 테마를 연구하고, 웰빙과 공원을 조화시키는 설계기준을 제시하였으며, 이를 실제 사례에 접목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으로는 지역의 정체성, 위치적 접근성, 자연과의 조화가 잘 이루어질 수 있는 천안 오룡경기장 부지를 대상으로 하였고 연구 수행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웰빙의 이론적 고찰을 위한 문헌연구로 관련서적 및 학술논문, 정부간행물, 행정서류 등을 중심으로 개념과 유형을 고찰하였으며, 이를 공원에 접목시켜 주제공원으로서의 웰빙공원에 대한 이론적 토대를 마련하였다. 둘째, 웰빙공원에 대한 설계기준을 제시하기 위해 사례분석 및 기존의 설계 기준 관련 서적과 보고서 그리고 설계 전문가와의 인터뷰 등을 통하였으며, 이를 대상지인 천안 오룡경기장 웰빙공원 조성 계획에 적용하였다. 셋째, 보고서 및 현장답사 그리고 지역 Inter-Net Site 등을 통해 대상지의 현황과 문제점을 분석하고 웰빙공원의 구상 및 계획을 진행 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배경과 수행과정 속에 웰빙공원 설계모형을 도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웰빙공원은 친환경을 바탕으로 한 정신적?육체적 건강을 유지하기 위해 다양한 형태의 문화를 다수의 사람들이 함께 즐길 수 있는 여가공간이 되어야 한다. 따라서 웰빙공원에는 자연환경, 문화, 교육, 레저, 헬스의 5가지 요소가 함축되어야 한다. 둘째, 웰빙공원에는 인간의 Human cycle을 고려한 프로그램 및 시설배치가 되어야 한다. 진정한 웰빙라이프를 위한 생활방식은 Human cycle에 의한 각 단계별 상호의존적인 관계 형성 속에서 찾을 수 있다. 셋째, Green, Blue, White의 네트워크를 통해 도심 속에서 자연으로 들어가는 테마로 이루어져야 한다. 웰빙공원을 이용하는 이용자들은 공원내에서 사방을 둘러보았을 경우 시각적으로 자연 속에 들어온 느낌을 받을 수 있어야 한다. 그리고 이와 같은 기준에 의거하여 천안 오룡경기장을 대상으로 웰빙파크 설계 모형을 적용하였다. 대상지는 지형적으로 위요된 형태를 띠고 있어 이점을 최대한 살려 Green-Network를 구성하였다. 또한 맑은 물이 도입될 수 있는 친수공간으로 공원내 Blue-Network를 구성하였으며, 맑은 공기가 항상 유지될 수 있도록 바람의 통로를 고려한 White-Network도 반영하였다. 공원의 공간구성은 Human cycle의 단계별 특성을 고려하여 동적 공간과 정적 공간으로 구별하였다. 동적공간은 어린이놀이터와 농구장, 배구장, 게이트볼장 등 다목적 운동장으로 활동적인 운동시설을 배치하였고, 정적공간은 명상 공간, 기체조 공간, 요가 공간 산책로 등 조용하고 편안한 분위기를 조성하였다. 그리고 동적 공간과 정적 공간의 중간에 연못, 중앙광장 등을 배치하여 공간의 차별성 및 화합을 이룰 수 있는 공간으로 구성 하였다. 또한 자연 속으로 향하는 등산코스를 설치하여 자연을 공원과 함께 연계할 수 있도록 하였다. 웰빙 문화센터내에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실내와 실외로 연계 가능하도록 하였으며 Green-Network의 단절을 막기 위해 스카이 라인을 고려한 옥상녹화를 고려하였다. 따라서 본 대상지는 자연과 함께하는 웰빙라이프 문화의 중심지로 건강과 자기개발을 통해 행복을 느낄 수 있는 공간으로 조성하였다. 본 연구는 “웰빙”과 “공원”이라는 두가지 개념을 복합시킨 것으로서, 웰빙을 주제로 하는 공원 계획 수립에 있어 이론적 토대를 제공하고 있다. 하지만 대상지 적용에 있어 완벽하다고 할 수 없다. 1개의 대상지만을 적용하였기에 이에 대한 한계점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앞으로 웰빙에 관한 개발 계획에 있어 다양한 연구가 필요하며 이에 기초 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설계적용에 있어서의 법적 한계성에 대한 연구도 향후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나타났다.; The global village in the 21st century aims for the global community-oriented environment which emphasizes on the quality of life. Also, The needs of citizen on physical health and self-development in natural environment are expanding. Our life in city, however, does not satisfy the needs which are called as well-being or true wellness, due to facility insufficiency and space limit. Until now, most parks have took a role of giving space for rest and recreation to the citizen. This paper is to design a model of well-being park as a new typed theme park. In particular, it focuses on research of well-being related themes, design criteria, and a special application to the actual case which is Oryong stadium in Cheonan city. To achieve the purpose, this paper develops three processes. First, to build a theoretical framework of well-being park, it reviews books, monographs, literature, research, government publications, government documents related on the well-being and the theme park. Second, to present the design criteria for the well-being park, it goes through existing case analysis, design criteria literature review, and expert interviews. Thirdly, to find out the issues surrounding Oryong stadium, and to proceed the well-being park plan, it uses field study and also investigates regional inter-net sites The criteria of designing well-being park models are as follows : Firstly, the park should be open recreational space which is for human's psychological and physical health development, based on eco-friendly environment. Therefore, a well-being park needs five elements, such as natural environment, culture, education, leisure, and health. Secondly, wellness programs and facilities planned to be appropriate for human cycle should be placed in the park. Thirdly, the well-being theme should be based on the nature with a network combined of green, blue, white. Visitors, within park, must get impressions as if they are in the nature. Finally, this paper develops the well-being park plan to Oryong stadium, based on the three criteria. To sum up, a network combined of green, blue, white is applied to the stadium. The green network is consisted of the terrain surrounded shape. Clean water can be represented as a space to the blue-network. And, pathways of wind reflect the white network which allows clean air remaining for longer time. The space is divided by two types, dynamic and static zones. To enhance harmony between to the space, a pond is planned in the middle. Dynamic space can explained as multipurpose stadium facilities for an active movement, which include children's playground, basketball court, volleyball court, gate-ball court, etc. In contrast, static space is a calm and relaxed atmosphere that includes a meditation room, a yoga space, a promenade, etc. This paper puts the theme of "well-being" into the design of "park". It may be useful for well-being related park planning in practice. However, it may be difficult to apply this research to every park plans, because it is based on the particular case, Oryong stadium in Cheonan city, limited by geographic, cultural, and economic conditions. Therefore, it will be expected that future researches regarding well-being park design will come to be various with the fact based on all elements and activities composing, what we called, 'well-being' and 'park'.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8155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08884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ENGINEERING[S](공학대학원) > ECOLOGICAL LANDSCAPE ARCHITECTURE(생태조경학과) > Theses(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