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92 0

퇴직연금 활성화를 위한 제도 유형 연구

Title
퇴직연금 활성화를 위한 제도 유형 연구
Author
임경빈
Advisor(s)
이상빈
Issue Date
2008-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2005년 12월 1일 우리나라에 퇴직연금 제도가 시행된 된 이후 이제 약 2년이 흐르고 있다. 당초의 예상과는 달리 현재 퇴직연금 가입실적을 보면 전망치의 절반수준에 머무르고 있는 실정이다. 초기 퇴직연금의 성장부진의 요인은 현재의 퇴직연금제도가 기존의 퇴직보험제도에서 큰 진화과정이 없었던 것과, 퇴직금 중간정산으로 인한 과거근무채무의 퇴직연금전환율이 낮은 것 에 기인한다. 또한 세제혜택이 미미한 점과 획일화된 퇴직연금 제도에 사용자와 근로자가 제도유형 선택에서의 협의점을 찾지 못하는 곳에서 그 이유를 찾을 수 있다. 2006년 10월말 우리나라 퇴직연금제도의 기존가입 업체현황을 살펴보면, IRA특례에 43%, 확정기여형에 36%이다. 확정급여형의 비중은 14%대이지만 적립금의 규모로 보면 63%의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이는 인원이 많고 임금상승률과 퇴직금 누진제를 실시하고 있는 대기업일수록 확정급여형 퇴직연금을 선호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소규모의 중간정산을 시행하고 있는, 누진제와 임금상승률이 거의 없는 기업의 근로자들은 확정기여형을 선호한다. 하지만 퇴직연금유형을 선택한 것이 근로자 모두의 상황에서 유리하게 작용하는 것은 아니다. 대기업의 근로자 이지만 확정기여형을 선택 할 수 있고, 소규모 법인의 근로자도 확정급여형을 선호 할 수 있다. 현재 퇴직연금의 가입법인 중 확정급여형 퇴직연금제도와 확정기여형 퇴직연금제도를 동시 도입한 비중은 작지만, 이러한 근로자 개개인들의 요구에 부합하기 위하여 향후 복수제도와 기존의 퇴직연금제도에서 변형을 가미한 하이브리드 퇴직연금제도의 가입이 증가할 것이다. 또한 향후 2010년까지는 기존의 퇴직금제도와 퇴직보험, 퇴직신탁이 퇴직연금제도로 전환할 수 있는 유예기간에 있지만, 점차 대기업 및 공공기관의 움직임이 빨라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사업주와 근로자의 다양한 요구에 충족시킬 수 있는 하이브리드형 퇴직연금제도를 제시하였고, 그에 따른 연금자산 금액의 변화를 연구 하였다. 향후 더욱 다양한 하이브리드형 퇴직연금 유형이 발표되어 근로자의 노후생활에 더욱 도움을 줄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기를 희망한다.; About 2 years have passed since the retirement annuity institution came into effect in Korea on the 1st, Dec, 2005. According to the admission results of the retirement annuity, they have come up to only a half of the estimated numbers in the real state.The poor growth of the early retirement annuity is caused that there is no evaluation-process on the existing retirement insurance system and the retirement pension past rate of the past service liability is low because of the retirement grants interim closing. Further, another reason is come from a slight tax favor and the standardized retirement annuity is notdiscussed by the employer and worker in selecting the institution type. According to the existing member status of company subscribed to the domestic retirement annuity institution in the end of December 2006, the each weight is as follows, IRA exception 43%, defined contribution type 36%, and defined benefit type 14%, but these are consist 63% of the reserve. It shows the large company that has a lot of workers and rising rate of payment and the progressive system of the retirement grants are carrying into effect prefer to the defined benefit type of the retirement annuity. Further, the company that operates small scale of interim closing and has almost zeroof the progressive system and the rising rate of payment prefer to the defined contribution type. However, Decision of the retirement annuity type doesn't mean that it is working profitably. Someone can choose defined contribution type though he is working in large company, and someone can prefer to a defined benefit pay type though he is working in a small corporation. In the subscribed companies, the weight of company that introduce both of a fixed contribution type and a defined benefit type of the retirement annuity is still low, the admission for the hybrid retirement annuity institution that is added by the future compound system and the existing retirement annuity will be increased. Further, hereafter to 2010, because there is the grace period for the existing retirement grants, the retirement insurance, and the retirement trust are converted to the retirement annuity, the motion of the large company and the public institution is getting faster. The present thesis, the hybrid type of the retirement annuity that the demand of the employer and the worker can be satisfied is presented, and according to this, the change of the pension property is considered. We hopes that the hybrid type of retirementannuity is announced and makes out the basis to give more help to the worker's old age-life.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8091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09198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BUSINESS ADMINISTRATION[S](경영대학원) > DEPARTMENT OF BANKING(금융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