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4 0

不法原因給與에 관한 刑法的 硏究

Title
不法原因給與에 관한 刑法的 硏究
Other Titles
A Study on Transfer of Property for Illegal Reasons from a Perspective Criminal Law
Author
남상근
Alternative Author(s)
Nam, Sang Geun
Advisor(s)
오영근
Issue Date
2008-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Doctor
Abstract
이 논문은 민법상으로는 불법한 원인에 의하여 재물을 급여하거나 노무를 제공한 때에는 급여자 또는 제공자는 그 재물이나 이익의 반환청구권을 가질 수 없는 것은 당연하지만 급여를 받은 자 또는 노무를 제공받은 자가 그 급여물이나 이득을 영득한 경우에 형법상의 재산죄가 성립하는지가 문제된다. 소유권과 기타 재산권은 형법이 보호하고자 하는 중요한 법익의 하나이며 이를 침해하는 범죄들을 특별히 재산죄라 칭하는데, 형법상 재산개념이 어떠한 내용과 특성을 갖고 있는가 하는 문제는 오랫동안 학설과 판례의 중요한 관심사였으며 그에 대한 논쟁의 일부분을 차지하는 것이 불법원인급여의 문제였다. 위탁신임관계에 의해서 보관하는 타인의 재물을 영득하는 것이 횡령죄이기 때문에 불법원인급여물 내지 불법원인위탁물에 대한 횡령죄의 성부는 결국 불법한 원인으로 이루어진 급여도 횡령죄의 기초인 위탁신임관계를 근거지을 수 있는가라는 점과 불법원인급여물 내지 불법원인위탁물이 수익자의 입장에서 타인의 재물인가라는 점에 달려있다고 본다. 여기서 위탁신임관계에 의한 보관인가라는 행위주체의 문제는 형법적 관점에서 판단하여야 하지만, 타인의 재물인가라는 행위객체의 문제는 형법에 독자적인 소유권개념이 없기 때문에 원칙적으로 민법에 의하여 결정되어야 한다. 민법 제746조 본문이 적용되어 그 이익의 반환을 청구하지 못하는 불법원인급여의 급여라고 하기 위해서는 급여자의 의사에 의한 재산적 가치 있는 출연으로서 그 급여행위로 인하여 종국적으로 급여자의 재산이 감소하고 수익자의 재산이 증가하는 효과가 발생하여야 한다. 이처럼 급여의 종국성 요건과 관련하여서는 당사자의 소유권 이전 의사 유무가 결정적으로 중요한 의미를 갖는 다고 할 수 있다. 그렇다면 불법의 원인이나 불법한 목적을 위한 점유의 이전이지만 수령자에게 종국적으로 이익을 귀속시킬 의사 없이 이루어진 불법원인위탁은 급여의 종국성 요건을 충족하지 못하므로 민법 제746조의 불법원인급여라고 할 수 없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민법 제746조가 적용되는 불법원인급여와 민법 제746조가 적용되지 않는 불법원인위탁을 구별하여 횡령죄의 성부를 살펴보았다 우선 불법원인급여물을 임의영득한 경우에는 민법 제746조 본문이 적용되므로 타인의 재물을 객체로 하는 횡령죄는 성립할 여지가 없고, 민법 제746조 단서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재물의 타인성은 인정되지만, 단서가 적용되는 경우에도 당해 계약은 민법 제103조에 의하여 무효인 것이고 형법상 보호할 신뢰관계가 있다고 볼 수 없으므로 횡령죄의 성립을 인정할 수 없다고 할 것이다. 그리고 불법원인위탁물을 수탁자가 임의 영득한 경우에는 민법 제746조가 적용되지 않아 위탁물의 소유권은 위탁자에게 남아있게 되므로 수탁자에게는 타인의 재물에 해당하게 된다. 따라서 불법원인위탁물에 대한 횡령죄의 성부는 논의의 중점이 위탁신임관계에 의한 보관인가라는 행위주체의 문제에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런데 횡령죄의 신뢰관계는 불법내용을 형성하고 점유이탈물횡령죄보다 횡령죄를 중하게 처벌하는 점으로 미루어 형법에 의하여 보호할 가치가 있어야 한다. 불법의 원인이나 불법한 목적을 위한 위탁에 있어서는 사실상의 신뢰관계는 인정할 수 있지만 형법이 보호할 가치 있는 신뢰관계에 기초하고 있지 않으므로 이러한 신뢰관계에 위배했다하여 이를 형법으로 다스릴 필요는 없다고 할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횡령죄가 성립하지 않는다고 보아야 한다. 또한 불법원인급여 문제와 관련하여 민사판례를 통해 형성·확립되어 온 부동산명의신탁제도에 있어 수탁자가 명의신탁된 부동산을 임의로 처분한 경우에 횡령죄 또는 배임죄의 성립여부와 관련하여 다수견해와 판례는 부동산 명의신탁약정이 부동산의 대외적인 소유자는 명의수탁자이지만 신탁자와 수탁자의 대내적 관계에서는 신탁자가 신탁재산의 소유권을 보유한 것으로, 수탁자는 명의신탁자의 부동산을 보관하는 자에 해당 한다고 보아 횡령죄를 구성한다고 하였으며, 이러한 입장은 부동산실권리자명의등기에관한법률이 제정·시행된 이후에도 계속되고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의 논의는 위탁관계에 기한 타인재물의 보관이라는 횡령죄의 주체와 관련하여 여기서의 위탁관계는 사실상의 위탁관계이지 위탁관계를 발생시킨 사법상의 계약이 유효할 것을 전제로 하는 것은 아니라는 입장에서 이 부분에 대한 심도 있는 검토보다는 부동산실명법하에서 ‘명의신탁된 부동산의 소유권이 누구에게 귀속되는 가’ 하는 횡령죄의 객체인 재물의 타인성과 관련된 것이었다. 횡령죄는 자기가 보관하는 타인의 재물을 불법하게 영득하거나 타인으로 하여금 영득하게 함으로써 성립하는 범죄인 바, 그 본질은 신임관계에 기하여 위탁된 타인의 물건을 위법하게 영득하는데 있다. 즉 횡령죄는 타인의 재물을 보관하는 자가 위탁자의 신임관계를 저버리는 배신행위로써 그 재물을 불법하게 영득하는데 그 본질이 있다 할 것이다. 따라서 명의신탁된 부동산을 수탁자가 임의로 처분한 행위가 횡령죄에 해당하는가를 판단하기 위해서는 횡령죄의 행위객체인 재물의 타인성 뿐만 아니라. 명의수탁자가 과연 횡령죄의 주체인 ‘위탁관계에 기한 타인재물의 보관자로서의 지위’를 가지는가를 검토해야 한다. 명의신탁약정과 이에 기한 물권변동을 사법상 효력이 없는 것으로 하는데 그치지 아니하고, 명의신탁 금지규정을 위반한 명의신탁자와 수탁자를 형사처벌하고 있는 부동산실권리자명의등기에관한벌률하에서는 신탁된 부동산의 소유권이 누구에게 귀속되느냐 와는 관계없이 명의신탁자와 수탁자 간에는 횡령죄의 주체로서의 요건인 위탁관계가 성립되지 않는다고 보아야 한다. 또한 명의신탁자와 명의수탁자 사이의 신탁부동산에 대한 신임관계는 배임죄의 보호법익인 법적으로 보호되어야 할 신임관계에 해당하지 아니하므로 신임관계에서 발생한 타인의 재산상의 이익을 보호할 신의성실의무 내지 신임관계의 위배라는 배임죄가 성립하지 않는다. 왜냐하면 명의신탁 자체를 법적으로 금지하면서 당사자를 형사처벌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신탁자와 수탁자 사이에 신임에 기한 위탁관계 내지 신임관계를 인정한다는 것은 논리모순일 뿐만 아니라 입법취지에도 부합되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등기명의신탁이건 계약명의신탁이건 명의신탁의 유형과는 관계없이 수탁자가 신탁부동산을 처분한 때에는 신탁부동산의 소유권에 대한 민법상의 법률관계에 따라 민사적인 해결은 별론 으로 하더라도 부동산실권리자명의등기에관한법률위반 이외에 횡령죄나 배임죄로 규율할 수는 없다고 본다.; Under the Civil Code, it is quite natural that if one party should transfer a property to the other party or work for the other party for some illegal reasons, the party would not be entitled to claim for return of the property or the benefit, but should the other party be deemed to have committed a crime of properties under the Criminal Code as soon as he has acquired the property or the labor service for his own property or benefit? The right of ownership and other property rights are one of the important benefits and protections of the law and crimes that infringe them are called ‘property crime’ in the criminal law. What is property in the criminal law has been a matter of great interest in theory and judicial precedent for a long time, the majority of which have consisted of performance for illegal cause. Because taking of possession others property kept under the entrustment relationship that was based on confidential relation(trust-confidence relationship) is an embezzlement, whether there is an embezzlement with giving of goods for illegal purposes may depend on the aspect of whether performance or trust from illegal cause can compose the trust-confidence relationship, which is the base of an embezzlement, and whether the goods is others property from the viewpoint of a beneficiary or trustee. Here, the problem of the subject of an activity whether it is safekeeping from the trust-confidence relationship should be decided by viewpoint of criminal jurisprudence, but, in principle, the problem of the object of an activity should be determined by Civil Law. The giving of goods in performance for illegal cause, of which the profit can't be requested to be returned, by applying the main text of Article 746 in the Civil Law, should be a contribution of proprietary value based on the intention of the contributor's intention, decrease the property of the giver and increase the property of the beneficiary. Therefore, regarding the conditions of the finality of performances, whether the person concerned has the intention of transferring his/her ownership has a decisive meaning. Then because the trust for illegal purpose which is the transfer of occupation from illegal cause or for illegal purpose, but is without the intention of giving the benefits to the recipient, can't satisfy the finality of performances, it can't be regarded as performance for illegal cause described in Article 746. Accordingly, in this dissertation, the establishment of embezzlement was considered by distinguishing the performance for illegal cause which Article 746 applies from the trust for illegal purpose which Article 746 doesn't apply. First of all, because the main text of Article 746 in the Civil Law, applies to the case of taking of possession performance for illegal cause in discrete, an embezzlement, which needs other's property as its object, can't be established. In the case of the provisory clause of Article 746 in the Civil Law, and can't be in a trust relationship, which Criminal Law should protect. Therefore, the establishment of embezzlement cannot be approved. The other side, when the trustee or recipient misappropriated trust for illegal cause or illegal purpose in discrete, the ownership of the trusted property remained under the hand of the thrustor because Article 746 in the Civil Saw, isn't applied to, it is others property from the viewpoint of the trustee. Therefore, key discussions about the establishment of embezzlement about trust for illegal cause or illegal purpose are related to the problem of the subject of an activity whether it is custody from the trust-confidence relationship. However, the trust relationship of an embezzlement forms illegal content and embezzlement is heavily punished compared to the embezzlement of an object separated from occupation, it should have a value to be protected by Criminal Law. Though a factual confidence relationship in trust from illegal cause or illegal purpose can be approved, but isn't based on callable confidence relationship, which should be protected by Criminal Law, the colation of that confidence relationship can't be fomented by Criminal Law. therefore, embezzlement can't be established in this case. The real estate title trust system had been interpreted and established by the civil cases in relation with transfer of property or provision of service for illegal reasons. In case the title trustee has disposed the title-trusted real estate arbitrarily, majority of scholars and judicial cases opine that since the external owner of the real estate is the title trustee but the title trustor still has the title for the real estate internally, the title trustee has been just trusted to keep the real estate, and therefore that the title trustee has committed the crime of embezzlement. Such a position has been sustained even after enactment and implementation of 'Law on Registration of the Actual Real Estate Title Holders' Names.' However, the discussions so far have been centered about subject of embezzlement based on the concept of transferred properties in the relationship of trust. Here, the relationship of trust is a factual trust relationship, not premised that the underlying civil contract is effective. Nevertheless, such aspects have not been examined in-depth, and instead, the focus has been on object of embezzlement or other's property; 'to whom is the title for the title-trusted real estate attributed' under Law on Registration of the Actual Real Estate Title Holders' Names? Crime of embezzlement is constituted when the criminal has acquired other's property for his own or has had a third party acquire it for its own illegally. The essence of the crime lies in illegal acquisition of the property trusted from other based on the relationship of trust. Namely, the crime of embezzlement is characterized essentially by illegal acquisition of the property by trustee betraying his relationship of trust with the trustor. Hence, in order to judge whether the title trustee's act of disposing the title-trusted real estate constitutes the crime of embezzlement, it is necessary to examine whether the title-trusted property or the object of the crime is other's property and whether the title trustee is 'entitled to keep other's property based on the relationship of trust', meeting the condition for subject of the crime. Law on Registration of the Actual Real Estate Title Holders' Names specifies that the agreement for title trust and change of the real right thereupon is not valid under the Civil Code and further that both title trustor and trustee should be subject to criminal punishment. So, regardless whether who is titled for the title-trusted real estate, the condition for the crime of embezzlement or the relationship of trust does not exist between title trustor and trustee. In addition, since the relationship of credence between title trustor and trustee does not correspond to the relationship of credence covered by crime of malpractice, the condition for crime of malpractice does not exist; the title trustee is neither obliged to protect title trustor's property interests in a good faith nor deemed to have betrayed the relationship of credence even if he has disposed the title-trusted property. It is illogical and far from the cause of legislation to admit a relationship of trust or credence between title trustor and trustee based on title trustor's confidence in title trustee despite the title trust is prohibited legally and both title trustor and trustee are subject to criminal punishment. Accordingly, regardless of the types of title trust whether it is registration title trust or contract title trust, it is conceived that title trustee's disposal of title-trusted real estate cannot be published with crime of embezzlement or malpractice, apart from the disputes under the Civil Code or violation of Law on Real Estate Actual Title Holders' Name.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8036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08609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LAW(법학과) > Theses (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