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39 0

질 들뢰즈의 영화기호학에 기반한 「마리이야기」 분석

Title
질 들뢰즈의 영화기호학에 기반한 「마리이야기」 분석
Other Titles
An Analysis on 「My Beautiful Girl, Mari」 Based on Gilles Deleuze's Film Semiotics
Author
이소연
Alternative Author(s)
Yi, Soyoun
Advisor(s)
고은영
Issue Date
2008-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현 시대를 영상 문화시대라고 한다. 영상 이미지는 다양한 영역에서 인식론적 전환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애니메이션 분석에서도 기존의 언어학적 서사위주의 분석과는 차별되는 이미지 중심의 분석 방법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이미지 중심의 분석 방법의 하나인 들뢰즈의 영화기호학을 “마리이야기” 분석에 적용할 것이다. “마리이야기”는 이성강 감독의 작품으로 기억과 환상의 힘을 드러내고자 한 애니메이션인데, 도시의 삶에서 망각하고 있던 기억이 다시 현재로 순환되어 나타나는 과정을 잘 표현하고 있다. 1단계로 쇼트 단위로 작품을 나누어 각 장면들을 검토한 후 플롯 전개와 분석에 적합한 시퀀스로 재구성한 후 플롯 구조를 분석하였다. 2단계에서는 “마리이야기”에 표현된 지각-이미지를 분석하고 3단계에서는 행동-이미지를, 4단계에서는 감정-이미지를, 마지막으로 5단계에서는 관계-이미지를 분석한다. 끝으로 결론에서는 들뢰즈의 두 번째 이미지 기호체계인 시간-이미지에 대해서 간략히 소개하고, 「마리이야기」에서 불완전하게 표현되고 있는 시간-이미지에 대해서 검토하여 이에 따른 분석을 추후과제로 제시할 것이다. 일반적으로 애니메이션의 이미지는 언어학에 기반을 둔 서사구조와 그 외의 애니메이션 분석방법에서 종속적이거나 부차적인 것으로 기능하는 것으로 간주 되어 왔다. 이 때 이미지의 풍부한 의미작용은 하나 혹은 다수의 외부적인 구조 에 맞도록 순화되거나 배제되는 경향이 있다. 본 논문은 이러한 구조주의적이고 언어학적인 애니메이션 분석 방법과는 다른 관점에서 이미지가 애니메이션에서 사유를 표현하고 재창조하는 핵심적인 요소라는 것을 입증하고자 한다. 감독이 나타내고자 하는 주제는 이미지를 매개로 전달되고 서사 역시 이미지 와 이미지로부터 파생되는 내적 관계들로부터 구성된다. 들뢰즈는 베르그송의 이 미지 존재론을 바탕으로 영화이미지 일반에 대한 기호적 체계를 정립하였다. 운 동-이미지와 시간-이미지의 두 체계로 구성된 들뢰즈의 영화기호학은 프레임/쇼 트/몽타주라는 동일한 영화적 표현 기법을 사용하는 애니메이션에도 동일하게 적 용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들뢰즈의 영화기호학을 검토하고 운동-이미지 기호 체계를 이성강 감독의 장편 애니메이션인 「마리이야기」를 분석하는 데 적용하 였다. 「마리이야기」가 표현하고자 하는 주제를 미리 지정된 하나의 구조에 끼 워 맞추기 보다는 이미지들의 기호와 그 기호들 간의 동적인 상호작용과 전개과 정을 통해 연역하고 이미지-기호가 가진 다양한 의미 작용과 표현을 해석하는 방식을 채택하였다. 먼저 2장에서는 들뢰즈의 영화기호학의 언어학적 기호이론과의 차이와 특징, 들뢰즈의 영화기호학을 가능하게 하는 형이상학적 전제로서의 이미지 존재론, 이 미지-기호의 나눔과 조합을 가능하게 하는 프레임/쇼트/몽타주의 분화하는 기능, 들뢰즈 영화기호학의 두 기호체계 중 운동-이미지의 체계를 정리하였다. 3장에서 는 2장에서 제시된 들뢰즈 영화기호학의 방법에 따라 이성강 감독의 「마리이야 기」를 분석했는데 다음과 같은 절차를 따랐다. 우선 「마리이야기」를 쇼트별로 구분해서 작품 전체를 기본 단위로 구분하고 분석에 용이하도록 시퀀스로 재구 성하였다. 다음 단계로 카메라의 운동을 표현하는 지각-이미지와 작품 전체의 플 롯을 구축하는 행동-이미지, 작품에서 드러나는 힘과 특질을 정서적으로 표현하 는 감정-이미지 순으로 분석하였다. 최종적으로 지각, 행동, 감정-이미지를 종합 하여 의미를 부여하는 관계-이미지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마리이야기」는 구 슬이라는 상징기호를 축으로 하는 관계-이미지가 전체 작품을 종합하는 역할을 한다는 것을 밝혀졌다. 결론적으로 본 논문은 확고하게 정립된 애니메이션 이미지 분석 방법을 「마 리이야기」 분석에 적용했다기보다는, 애니메이션과 같은 변환 기법을 갖는 영화 에서 도출된 이미지에 기초한 기호학적인 분석 도구를 애니메이션 분석에 접목 해서 시도한 첫 번째 사례라는 데 의의가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 수행한 연구 의 확장도 두 방향으로 진행될 필요가 있다. 하나는 영화에서 표현된 들뢰즈의 운동-이미지, 시간-이미지 기호가 애니메이션에서 표현되는 방법을 연구하는 것 으로 이는 이미지-기호를 표현하는 애니메이션 제작기법에 대한 이해가 수반되 어야 한다. 다른 하나는 애니메이션 자체의 이미지들을 비교 분석해서 애니메이 션에 특징적으로 나타나거나 특수한 운동-이미지, 시간-이미지 기호를 발견해내 거나 기존의 이미지-기호 간의 애니메이션 고유의 상호 작용 방식을 찾아내는 것인데, 이 작업은 많은 애니메이션에 대한 비교 연구와 분석을 필요로 한다.; Animation images in general, are not of prime importance but regarded as independent or secondary in analyses based on narrative structure and other animation analyses. Then, images in inconformity with the given external structures seem to be purified or excluded. In this paper, differently from structural linguistic analyses, we try to demonstrate that animation images paly a critical role in expressing and recreating thoughts of animation. The theme of animation which its director tries to represent is delivered through images and its narrative is also constructed from images and their internal relations.. Deleuze's film semiotics which is composed of movement-images and time-images and established in the basis of Bergson's image ontology, can be applied to animation since animation is produced by means of the same frame/short/montage techniques. In this paper, we review Deleuze's film semiotics and apply the system of movement-images to analysis of "My Beautiful Girl, Mari", the first long animation of Director, Sung Gang Lee. The theme of "Mari" is not framed into an a priori external structure, but deduced from image-signs, their dynamic interaction and development. The expressions and meanings of image-signs also are interpreted from them. In Chapter 2, we review characteristics of Deleuze's film semiotics and difference from linguistic semiology, Bergson's image ontology as a metaphysical premise of Deleuze's film semiotics, differentiation enabling images to be divided and combined by frame/short/montage, and the system of Deleuze's movement-images. In Chapter 3, we analyze "Mari" by means of Deleuze's film semiotics of Chapter 2 with the following procedure : 1)divide the animation into shorts and reconstruct them into sequences, 2)find out and analyze perception-images of expressing camera's movement, action-images of establishing the plot of the animation and affection-images of representing emotions immanent in the animation, 3)analyze relation-images of synthesizing and signifying perception, action, and affection-images. From the analysis, it is demonstrated that the ‘pearl’ as a symbol of one sign of relation-images, plays a role of synthesizing the animation. Our study is not a precise application of the well-established method for animation analysis to "Mari" but the first experiment to apply the semiotics developed from films analysis to analyzing an animation. Therefore, our study can be extended to two different directions. The first is a study on the representation methods in animation of Deleuze's movement-image and time-image, which requires understanding of animation manufacturing. The second is a study on comparative researches and analyses about images in different animations, which includes finding out specific image-signs of movement-images and time-images of animation, and characteristics of interaction and dynamics among image-signs of animation.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7994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09117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DESIGN(디자인학부)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