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24 0

가구 및 획지 세분화를 통한 건축매스 다양화

Title
가구 및 획지 세분화를 통한 건축매스 다양화
Other Titles
The study on the variety of building mass through small-parcelled : based on the comparative case study on multi-family housing plannings between Korea and Germany
Author
이상현
Alternative Author(s)
Lee, Sang hyun
Advisor(s)
이석정
Issue Date
2008-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한국의 주거 건축은 단조롭고 획일적인 형태와 외관 때문에 많은 전문가들과 시민들로부터 많은 비판을 받아왔다. 하지만 최근 들어 주거 건축 분야에서 다양성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고, 이러한 인식 변화를 보여주듯이 공공 및 민간 부문에서 주거 건축을 다양화하기 위한 노력들이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있다. 이와 같은 사회적 상황에서 본 연구는 건축매스를 다양화할 수 있는 근본적인 방안으로서 가구 및 획지 계획에 대해 고찰해보았다. 한국의 공동주택 지구는 대규모 단일 가구로 계획되어, 도시 계획적 차원에서 일괄적인 밀도와 높이를 규제하여 건설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처럼 계획 대상지를 가구 및 획지를 세분하지 않은 상태에서 계획하는 한국의 공동주택 지구는 천편일률적인 건물들을 양산할 뿐만 아니라 주변 지역과 단절된 대단위 내부지향적 단지를 형성하는 문제점을 가진다. 이러한 문제점 해결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가구 및 획지 세분화를 통한 건축 매스 다양화의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해 한국과 독일의 공동주택 지구 계획 사례를 위주로 비교 분석을 진행하였다. 이를 위해 신시가지 내 계획사례로서 한국의 용인 동백지구 C2-3BL과 독일 Scharnhausen Park의 제 6지구를 선정하였고 기존시가지 내 계획 사례로서는 한국의 상도동 159번지 일대 공동주택 지구와 독일 Tubingen Sudstadt의 Lorettoareal 지역을 정하여 비교해보았다. 이와 같이 대규모 단일 가구로 계획되어 건설되는 한국 사례 지역과 가구 및 획지 세분화를 통해 건설되는 독일의 사례 지역을 대응시켜 실제적으로 건설되는 건축매스의 다양성 차이를 비교해보았다. 본 비교 연구의 주요 분석요소로는 가구 및 획지 규모, 건폐율·용적률 및 높이 규제, 도시 차원에서 가구 구성 크기, 그리고 건축 매스의 다양성 등을 선정하여 분석을 진행하였다. 이와 같이 사례 분석을 통해 위의 분석요소들을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1. 가구 및 획지 세분화를 통해 계획할 때, 계획 대상지를 다양한 규모의 가구 및 필지로 분할하고 세분된 밀도를 적용할 수 있어 다양한 종류의 건축 매스를 건설할 수 있다. 2. 가구 및 획지 세분화를 하게 되면 대규모 단일 가구로 건설할 때보다 도시적 차원에서의 가구 및 가로망의 구성을 조밀하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연구는 건축 매스를 다양화할 수 있는 한 방안으로서 가구 및 획지 세분화 방법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하지만 연구의 시사점에서도 언급했듯이 가구 및 획지 세분화를 한국의 공동주택 지구에서 적용시키기 위해서는 구체적인 설계가 선행되는 등의 도시계획 과정상의 개선이 필수적이다.; Korean housing has been continuously criticized from many experts and citizens due to the monotonous and standardized form and appearance. However, recently, interest in diversity in the field of residential building is increasing, and efforts are being ceaselessly made for diversification of residential building in public and private sectors, which proves such perceptional change. Under such social condition, this study was attempted to look into land subdivision planning as a fundamental measure for building mass diversification. The multi-family housing district in Korea has been planned in single block on a large scale, where construction under overall regulation of density and building height is general in terms of city planning. Like this, the multi-family housing district in Korea, where the planned site has not gone through small-parceling, mass produces stereotyped buildings as well as involves a problem of forming a large-unit introversive housing area discontinued from the surrounding areas. In this study,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Korea and Germany was conducted centered on the cases of multi-family housing district plan in order to examine the potential of building mass diversification through small-parceling. For this, as cases planned in a new town, Yongin Dongbaek District C2-3BL in Korea and Teil-6 of Scharnhausen Park in Germany were selected, while as those planned in the existing town, the multi-family housing district in #159, Sangdo-dong, Korea and the Lorettoareal district of Tubingen Sudstadt in Germany were selected and compared. Like this, comparison was made between the Korean case planned and constructed in single block on a large scale and the German case constructed through small parceling, and difference in diversity of the building mass to be actually constructed was also compared. Scale of block and lot, regulation of density and building height, block composition size in urban dimensions, and diversity of the building mass were selected as major analysis factors for this comparative study, and subsequent analysis was conducted. As a result of such case study, the following results could be found through comparison of the above-mentioned analysis factors: 1. In small-parceling plan, various kinds of building mass can be constructed as the planned site may be subdivided into diversified ranges of block and lot and subdivided density may also be applied. 2. Once small parceling is applied, the composition of block and street network can be composed more densely in urban aspect compared to single block construction on a large scale. Seen from the above mention, the potential of small-parceling method was found as a measure for building mass diversification. However, as mentioned in the suggestions of this study, it is necessary to improve urban planning process such as advance of master plan in order to apply small-parceling to the multi-family housing district in Korea.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7977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08172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URBAN PLANNING(도시공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