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91 0

긍정적 착각의 현실성과 비현실성의 효과

Title
긍정적 착각의 현실성과 비현실성의 효과
Other Titles
The Effect of Reality and Unreality of Positive illusion : Focusing on the Perception of Event Controllability
Author
이욱
Alternative Author(s)
Lee, Wook
Advisor(s)
장성수
Issue Date
2008-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일반적으로, 현실을 왜곡하지 않고 사실 그대로 지각하는 것이 적응의 중요한 요인으로 간주되어왔다. 그러나 긍정적 착각에 대한 연구들은 사건에 대한 통제가능성이나 사건의 발생을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것이 비록 그것이 허구적이고 비현실적일 지라도 적응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보고함으로써, 많은 관심을 받아왔다.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들에서 확인된 긍정적 착각의 효과를 다음의 두 가지 측면에서 비판하고 문제를 제기하여 긍정적 착각의 효과를 재검토하려 하였다. 첫째, 선행연구들의 긍정적 착각의 측정치에는 비현실적인 착각적요소만이 아니라 실제의 능력에 입각한 긍정적 자기지각과 관련된 현실적 요소가 혼입되어 있을 수 있다는 점이다. 따라서 긍정적 착각이 적응에 도움이 되는 것이 긍정적 착각의 측정치에 혼입되어 있는 실제 능력의 정도일 수도 있기 때문에, 이러한 현실적인 비착각적인 요소를 배제했을 때에도 긍정적 착각이 적응에 도움을 주는가라는 문제를 제기하여, 선행연구에서 밝혀진 긍정적 착각의 효과를 재검토하려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통제 가능한 사건들과 통제 불가능한 사건들을 제시하고 각각의 영역에 대한 통제력 지각을 측정하였다. 통제 불가능한 사건들에 대한 자신의 통제력 지각(비현실적 통제력지각)은 허구적인 것으로서 개인의 실제능력과는 무관한 ‘착각적인 통제감’의 측정치로 간주하여, 이것의 효과를 통제 가능한 영역에서의 통제력지각(현실적 통제력 지각)의 효과와 비교함으로써 긍정적 착각의 효과를 확인하려 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기한 또 하나의 문제는 선행연구에서 긍정적 착각의 효과로 제시하는 적응의 준거변인에 대한 것이었다. 많은 연구들에서 긍정적 착각의 효과를 심리적 안녕감과 같은 주관적인 개인내적인 정서 상태와 관련하여 검토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긍정적 착각의 효과를 주관적 정서 상태와 관련하여 재검토함과 동시에, 개인의 실제적인 사회적 적응이나 과제수행과 같은 현실적 적응에도 효과가 있는지를 확인하려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생 299명을 대상으로 현실적 통제력 지각과 비현실적 통제력 지각을 측정함과 동시에 자기효능감, 특성불안, 심리적 안녕감 및 학교생활 적응관련 요인들을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주관적인 정서 상태와 관련된 변인들에서는 긍정적 착각의 긍정적 효과가 확인되었다. 즉 비현실적 통제력 지각도 현실적 통제력 지각과 마찬가지로 특성 불안과는 유의한 부적 상관을 보였으며, 심리적 안녕감에서 긍정감과는 정적상관, 그리고 부정감과는 부적상관이 유의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개인내적인 주관적 정서상태가 아닌 일상생활에서의 사회적 적응이나 과제적응에서는 긍정적 착각이 효과가 없거나 매우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즉, 현실적 통제력 지각은 자기효능감이나 학교생활 적응(교우관계, 수업적응, 학업성적 등)과는 모두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으나, 비현실적 통제력 지각은 이들과 대체로 유의한 상관이 없거나 일부 유의하더라도 현실적 통제력 지각과의 상관보다 낮았다. 상기 결과에 입각하여 긍정적 착각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긍정적 착각과 개인의 실제 능력에 입각한 자신능력에 대한 긍정적 지각이 분리되어야할 필요성과 선행연구에서 밝혀진 긍정적 착각의 효과의 제한성이 논의되었다.; The main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ositive illusion on psychological and school adjustment. In particular,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both realistic and unrealistic perception of controllability in order to systematically explore the effects of positive illusion by addressing the potential confounding effect of realistic perception of controllability. Also, this study included the measures of school adjustment to complement the measures of psychological adjustment to which previous research has mainly attended, and it explored how students’ positive illusion would affect school adjustment as well as psychological adjustment. Participants were 299 high school students. Students’ self-report measures were used for the assessment of realistic and unrealistic perception of controllability and students’ outcome variables.self-efficacy, trait anxiety, psychological well-being, and school adjustment. The major results are as follows. Students’ positive illusion had positive effects on psychological outcomes.trait anxiety, positive affect, and negative affect. That is, students’ unrealistic perception of controllability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positive affect, while it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trait anxiety and negative affect. However, unrealistic perception of controllability had no substantial effects on school adjustment. Students’ realistic perception of controllability was positively related to self-efficacy and school adjustment, whereas unrealistic perception of controllability was unrelated to self-efficacy and school adjustment variables such as class adjustment, academic performance, and expectation of academic performance. Even though unrealistic perception of controllability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rait anxiety, psychological well-being, and peer relationship, the magnitudes of the associations were smaller than those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realistic perception of controllability and these variables. The present findings suggest a need to consider how realistic and unrealistic perceptions of controllability differently affect psychological and school adjustment when examining the effects of positive illusion. In addition, the major findings of the present study were discussed within the context of the limitations of previous studies.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7849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08338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EDUCATION(교육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