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50 0

관광객의 관광지 장소성 인식도가 관광행동에 미치는 영향

Title
관광객의 관광지 장소성 인식도가 관광행동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How Tourist's Level of Cognition about Placeness of Tourism Destination Affects Tourism Behavior
Author
김효주
Alternative Author(s)
Kim, Hyo-Ju
Advisor(s)
최승담
Issue Date
2008-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소득수준의 향상으로 경제적, 심리적 여유가 확대되면서 관광을 통해 여가를 즐기고 일상에서 벗어나고자 하는 관광객들의 욕구가 증대하고 있으며 보다 급변하고 다양화 되고 있다. 그러나 관광객의 가변적인 속성을 이해하지 못하고 이에 대응하고자 하는 노력 없이 관광산업을 통한 이익만을 기대한 결과 무분별한 물리적 시설물 위주로 과거에 개발이 이루어졌던 관광지들이 점차 매력을 상실하게 되었다. 게다가 세계화에 따른 개별 국가들의 국경 또한 점차 무력해 지면서 개별 도시 및 지역은 세계라는 더욱 큰 범위에서 경쟁을 하게 되었다. 지역 고유의 독특한 특성과 차별성이 지역 경쟁력의 원천이 된다는 담론 속에서 지역의 경쟁력을 갖게 하는 요소로 장소성의 역할에 대한 인식이 높아졌으며, 차별화된 장소에 대한 수요가 점차 증가하고 있음을 의미한다는 점에서 장소성의 필요성은 더 이상 간과할 수 없게 되었다. 그러나 기존의 장소성 관련 연구는 협소한 장소 내지 건물에 연구의 중점이 맞춰져 왔으며, 관광지의 장소성에 대한 연구는 미진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관광지, 장소성 형성요인, 관광지 매력요인, 관광행동 등의 기존 연구를 바탕으로 관광지 장소성 형성요인을 도출하여, 관광객의 관광지 장소성 인식도가 관광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또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연구가설을 설정하고, 이를 검증하기 위한 실증조사를 실시하였다. 실증조사는 문헌연구를 통하여 도출된 측정항목을 전문가조사와 사전조사를 통해 재정리하여 설계하였다. 조사대상지는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거리로써 국내외 관광객들의 관광코스로 거듭나고 있는 ‘인사동 전통문화의 거리’로 선정하였으며, 인사동 전통문화의 거리를 방문한 만 19세 이상의 내국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를 통해 불성실한 응답을 제외한 320부의 유효표본을 수집하였다. 수집된 표본은 Cronbach's α분석을 통한 신뢰도 분석과 관광지 장소성 형성요인 도출 및 타당도 분석을 위해 요인분석을 실시하였고, 연구가설 검증을 위하여 SPSS 12.0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과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관광지 장소성 형성요인의 신뢰성과 타당성이 검증되었으며, ‘인적·문화적 요인’, ‘물리·환경적 요인’, ‘정서·상징적 요인’, ‘경험·활동적 요인’으로 총 4요인이 도출되었다. 가설의 검증결과 관광객의 관광지 장소성 인식도와 관광행동에는 모두 유의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관광지 장소성을 형성하는 ‘인적·문화적 요인’이 관광행동인 ‘소비금액’과 ‘체재시간’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관광행동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순서로는 ‘인적·문화적 요인’, ‘물리·환경적 요인’, ‘경험·활동적 요인’, ‘정서·상징적 요인’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는 특화된 관광지 발전을 기대하는 사람들에게 지역고유의 장소성이 반영된 관광지 개발의 중요성을 인식하게 하는데 기여할 것이다. 또한 본 연구는 기존의 협소한 장소 내지 건물을 중점으로 이루어진 장소성 연구와는 달리 장소성을 관광지에 접근하여 연구하였으며 지속가능한 관광지 개발 및 관리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meaning of nations is reduced by a general tendency of globalization these days. Then individual communities and cities strive to strengthen their specific competitiveness because they should complete in more large range. By this current, It is growing that the cognition about the rule of placeness by means of the elements which were sharpened the competitiveness. placeness is sense of place capable of being differentiated from other place. But studies on placeness of tourism destination is insuffci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relation between the level of tourist's cognition about tourism destination and tourism behavior. This study performed theoretical reviews of the concept of place and placeness, and the formation element of place and placeness, the attractive element of tourism destination, and the concept of tourism behavior. Through this process, the hypothesis is established and then analyzed experimentally through a survey conducted on the Insa-dong traditional cultural street. A questionnaire-based survey was conducted in August 2006, with 336 questionnaires collected bearing 326 responses for the empirical analysis. collected sample data were analyzed through frequency analysis, Cronbach's alpha analysis, factor analysis, multiple-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12.0. This analysis drew four factors(culture element, facility and environment element, image and emotional element, experience and active element) of the formation element of placeness about tourism destination. According to the results, there are significant relationships between cognition of placeness about tourism destination and that of the tourism behavior. Especially the ‘culture element’ caused an effect most a lot. According to the results, this study can be used to attribute resources and basic data and in the planning of tourism destination.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7825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08279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TOURISM (관광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