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2 0

피지샘 모반의 임상 병리학적 및 CK15, CK20의 발현에 관한 연구

Title
피지샘 모반의 임상 병리학적 및 CK15, CK20의 발현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Clinicopathologic study and Expression of CK15, CK20 in Nevus Sebaceous of Jadasshon
Author
이현경
Alternative Author(s)
Lee, June HyunKyung
Advisor(s)
박찬금
Issue Date
2008-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배경: 피지샘 모반(nevus sebaceous of Jadasshon, NSJ)은 원발성 상피성 배아로부터 유래되는 선천성 과오종으로 생각되고 있다. 환자의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병변의 임상 및 병리학적 소견이 변화하고 이차종양이 발생할 수 있는 질환이다. 모낭 팽출(hair follicle bulge)에는 모낭 줄기 세포(follicular stem cell)가 풍부하며 이들 모낭 줄기세포는 발암 과정 등 질병 발생에 관여할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또한 피부의 신경내분비 세포인 Merkel(촉각)세포가 피지샘 모반 발생 및 진행과정에서 어떠한 역할을 할 것으로 추정되고 있으나 이에 대한 연구는 없는 실정이다. 목적: 피지샘 모반의 병변이 진행함에 따른 임상 및 병리학적 변화와 이차 종양의 발생빈도 및 종류를 분석하고 모낭 팽출에 있는 줄기세포의 특이 표지자로 알려진 CK15, 최근 촉각세포의 표지자로 알려진 CK20에 대한 단클론성 항체로 면역조직화학 염색을 하여 이들이 피지샘 모반 진행과정 및 이차 종양 발생에서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시도 하였다. 연구 대상 및 방법: 1986년 8월부터 2007년 7월까지 한양대학교 병원 병리과에서 피지샘 모반으로 진단된 94예와 을지병원 병리과에서 피지샘 모반으로 진단된 26예 등 총 120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각 조직에 대하여 H&E염색, CK15, CK20에 대한 단클론성 항체로 면역조직화학 염색을 시행하여 결과를 분석하였다. 결과: 총 120예 중 남자 66명(55%), 여자 54명(45%)으로 남녀 비는 1.2:1 이었다. 평균 나이는 33.8세였다. 발생부위는 두피가 88예(73.3%), 안면부 30예(25%), 경부 2예(1.7%)순이었으며 이차종양은 9명(7.5%)에서 동반되었다. 과각화증, 이상각화증, 극세포증, 유두종증 등의 표피 변화와 CK15, CK20의 발현은 10대에 가장 두드러지게 나타났다가 이후 연령대에서는 점차 감소하였다(p<0.05). 피지샘의 증식, 아포크린샘 및 아포에크린샘의 출현은 10세 미만에서는 거의 관찰할 수 없었으나 10대 이후에는 현저한 증식이 관찰 되었다. 모낭의 경우 털배세포(hair germ cell), 미성숙모낭(immature hair follicle) 혹은 일차털배(primitive hair germ)가 관찰되는 경우는 연령이나 성별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이차종양이 동반된 조직의 면역조직화학 소견을 보면 기저세포암종(basal cell carcinoma)과 피지샘상피종(sebaceoma)에서는 CK15, CK20이 모두 발현된 반면 털모세포종(trichoblastoma)은 2예 모두에서 CK15는 음성이었고 CK20의 경우 상반된 결과를 보였다. 편평세포암종(squamous cell carcinoma), 털종(trichilemmoma)의 경우 CK20에서만 양성 소견을 보였다. 가장 많이 관찰된 유두모양땀관낭샘종(syringocystadenoma papilliferum)의 경우 3예에서 모두 CK20에 음성, CK15는 2예는 양성, 1예는 음성 소견을 보였다. 결론: 피지샘 모반의 조직학적 소견은 연령별로 10대를 기준으로 현저하게 변화하였고 이는 CK15, CK20의 면역조직화학염색에서도 같은 결과를 보였다. 이차종양이 동반된 경우 기저세포암종(basal cell carcinoma)과 피지샘상피종(sebaceoma)의 발생에는 모낭줄기세포가 관여할 것으로 생각하며 이 두 표지자가 털모세포종과 기저세포암종의 감별진단에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피지샘 모반에서 이차종양이 발생할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병리학적으로 현저한 변화를 보이는 10대 이전에 치료를 고려하는 것을 제안하는 바이다. 앞으로 더 많은 증례를 통하여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져 새로운 치료법을 고안하고 종양 발생 가능성을 포함하여 환자의 예후를 예측하는데 이러한 병리학적 연구가 바탕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Background: Nevus sebaceous of Jadasshon(NSJ) expresses a various kind of manifestations containing a change in the components of total skin such as epidermis, dermis, and skin appendage as well as hyperplasia of the sebaceous glands. Furthermore the shape and size of the lesion change according to the age, and it accompanies various histopathological alterations which might be lead to the occurrence of a secondary tumor. Objectives: We performed this study to investigate the clinical, histopathological, and immunohistochemical aspects of NSJ, and their changes according to the age and sex. Simultaneously we intended to investigate the occurrence rate of a secondary tumor through a review of literatures. Methods: Subjects were composed of 96 cases which had been finally diagnosed as NSJ among the tissue samples which had been referred to the department of pathology in Hanyang university from August in 1986 to July in 2007. And additional 26 cases from other medical institutes which had been diagnosed in the same way were contained. Hematoxilin-eosin stain and immunohistochemical stain for CK15, CK20 were undertaken on each tissue sample, of which the results were investigated. Results: Total 120 cases were composed of 66 males(55%), 54 females(55%). The ratio of male to female was 1.2, and the average age was 33.8 years. According to the location of the lesion, there were 88 cases on the scalp (73.3%), 30 cases on the face (25%), 2 cases on the neck (1.7%), and secondary tumors were occurred in 9 cases (7.5%). Epithelial changes such as hyperkeratosis, parakeratosis, acanthosis, papillomatosis and expressions of CK15, CK20 showed the peak in the second decades of the patients with regression getting older. Increase of sebaceous glands and appearence of apocrine and apoecrine gland were difficult to find before 10 years of age, but they showed a great degree of proliferation at their more than 10 years of age. In the case of follicle, there was no difference among the appearance of hair bulge cell, immature hair follicle or primitive hair germ as the ages and genders of the patients. On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in the tissues accompanying secondary tumors, CK 15 was expressed in basal cell carcinoma, sebaceoma, and 2/3 SCAP, however, tumors of hair follicle, 1/3 SCAP, and SCC were negative. CK20 was expressed in the all the tumors studied except SCAP. Conclusions: The histological findings of NSJ had no differences as the gender of the patients, but showed marked alteration between before and after the second decades of the patients. And the same results were made in the expression of CK15 and CK20. Especially considering the results of the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on the tissues accompanying secondary tumors two markers, namely CK15 and CK20, are considered to be helpful to make a differential diagnosis of secondary tumors developed in NSJ. Now we propose to start the treatment for NSJ before the second decades of the patients regarding the possibility for the occurrence of secondary tumor from NSJ.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7743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09246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MEDICINE(의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