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5 0

The significance of laryngopharyngeal reflux in benign vocal mucosal lesion

Title
The significance of laryngopharyngeal reflux in benign vocal mucosal lesion
Other Titles
양성 성대 점막 질환에서 인후두 역류증의 의의
Author
정재호
Alternative Author(s)
Chung, Jae-Ho
Advisor(s)
태경
Issue Date
2008-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인후두 역류증은 상부 식도 괄약근의 기능 장애로 인해 위산이 인후두 부위로 역류하여 인후통, 만성적인 헛기침, 애성, 인후두 이물감등의 증상을 나타내는 질환이다. 인후두 역류증은 환자가 호소하는 증상과 후두 내시경 소견으로 진단 가능하며, 이동형 24 시간 이중 탐침 산도 검사가 확진을 위한 가장 좋은 방법으로 알려져 있다. 성대 결절, 인두 신경증, 후두 백반증, 라인케 부종, 후두 악성 종양 등 다양한 후두 질환이 인후두 역류와 연관되어 있다는 보고가 있으나, 인후두 역류가 양성 성대 점막 질환에 미치는 영향의 차이에 대한 연구는 많이 이루어 지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양성 성대 점막 질환 (성대 결절, 성대 용종, 라인케 부종) 환자군과 인후두 역류 관련 증상을 호소하는 환자군 중 양성 점막 질환이 없는 환자를 대조군으로 하여, 증상, 후두 내시경 소견, 이동형 24 시간 이중 탐침 산도 검사 인자들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인후두 역류가 양성 성대 점막질환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해 보고자 하였다. 2003 년 4 월부터 2006 년 12 월까지 한양대학교 이비인후과에서 양성 성대 점막 질환으로 진단 받은 환자 중 24 시간 이중 탐침 산도 검사를 시행한 110 명을 대상 환자군으로 하였으며, 성대 결절 50 명, 성대 용종 40 명, 라인케 부종 20 명이었다. 인후두 역류증상을 호소하여 24 시간 이중 탐침 산도 검사를 시행한 환자 중, 양성 성대 점막 질환이나 후두백반증, 후두 종양이 없었던 200 명을 대조군으로 설정하였다. 모든 환자에서 굴곡형 후두 내시경 검사 및 후두 스트로보스코피를 이용해서 성대 점막 질환을 진단 하였고, Reflux Finding Score, Reflux symptom score 를 조사하였다. 이동형 24 시간 이중 탐침 산도 검사에서 3 회 이상 인후두 역류가 관찰된 경우를 병적인 인후두 역류로 진단 하였으며, 각 군에서의 병적인 인후두 역류의 빈도, 이동형 24 시간 이중 탐침 산도 검사의 결과를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이동형 24 시간 이중 탐침 산도 검사상, 병적인 인후두 역류증의 빈도는 대조군 65%, 성대 결절 환자 66%, 성대 용종 75%, 라인케 부종 90%였다. 대조군, 성대 결절환자에서 인후두 역류증의 빈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894). 성대 용종 환자에서 병적인 인후두 역류증의 빈도는 대조군에 비해 높은 경향이 있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211). 라인케 부종 환자에서 병적인 인후두 역류증의 유병률은 대조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p=0.016, by Independent T-test). 2. Reflux symptom index (RSI)의 평균치는 대조군 에서는 7.24 였다. 성대 결절 환자의 RSI 평균은 7.00, 성대 용종 환자의 RSI 평균은 7.80 으로 대조군과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라인케 부종 환자군 에서 RSI 평균은 8.80 로 대조군과 비교하여 의미 있게 높았다 (P=0.016, by Independent T-test). 3. 대조군의 Reflux finding score (RFS)의 평균값은 6.03 이었으며, 성대 결절 환자들의 RFS 평균은 6.06 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926). 성대 용종 환자의 RFS 평균은 6.88, 라인케 부종 환자의 RFS 평균은 7.25 로 대조군과 의미 있는 차이를 보였다(p=0.023, p=0.014 by Independent T-test). 4. 이동형 24 시간 이중 탐침 산도 검사의 상부 탐침에서, 총 역류 회수 의 평균은 대조군 에서는 4.54 회, 성대 결절 환자에서는 5.12 회, 성대 용종 환자에서는 6.58 회, 라인케 부종 환자에서는 9.10 회 였다. 라인케 부종 환자와 대조군의 총 역류 회수 평균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P=0.003), 성대 결절, 성대 용종 환자에서는 의미 있는 차이가 없었다. 상부 탐침에서 측정된 변수 중 Johnson-DeMeester Score 는 라인케 부종환자와 대조군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p=0.030), 앙와위에서 pH 가 4 이하로 내려간 시간 비율은 성대 용종환자와 대조군에서 의미 있는 차이가 있었다(P=0.024). 본 연구의 결과로 미루어 성대 용종과 라인케 부종의 병인에 인후두 역류가 깊이 관여 할 것이라 사료된다.; Background : Laryngopharyngeal reflux(LPR) has been known as the retrograde movement of gastric acid into the larynx and pharynx. Currently, several studies have demonstrated that LPR is associated with many laryngeal disorder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significance of the LPR in the benign vocal mucosal lesion. Methods : From April 2003 to December 2006, we have performed the prospective study about benign vocal mucosal lesion and laryngopharyngeal reflux. Forty patients with vocal nodule and fifty patients with vocal polyp, twenty patients with Reinke’s edema and were enrolled in this study. The control group included two hundred patients who had undergone ambulatory 24hr double probe pH monitoring due to laryngeal reflux-related symptom without specific findings of benign vocal mucosal lesions. All patients answered to the RSI and underwent ambulatory 24hr double probe pH monitoring. RFS was also checked through the fiberoptic laryngoscopy. We compared the prevalence of pathologic LPR and various parameters of the pH monitoring such as total reflux number, fraction time of pH below 4 in various position and Johnson-DeMeester score. And mean values of RFS and RSI were also compared. Results : The prevalence of the pathologic LPR was 65% in control group, 66% in vocal nodule, 75% in vocal polyp and 90% in Reinke’s edema. Only Reinke’s edema group showed a significant high prevalence of pathologic LPR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p=0.016). The mean value of RSI was 7.2 in control, 7.0 in vocal nodule, 7.8 in vocal polyp and 8.8 in Reinke’s edema.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control and Reinke’s edema group.(p=0.015). The mean values of RFS in vocal polyp and Reinke’s edema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control group (p=0.023 for vocal polyp, p=0.014 for Reinke’s edema). In the proximal probe of the ambulatory 24hr double probe pH monitoring, total reflux number and Johnson-DeMeester Score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Reinke’s edema group. Vocal polyp group scored high value in the Fraction time (pH<4) in supine position Conclusions : We suggest that the LPR may play an importnat role as an etiologic factor in the vocal cord polyp and Reinke’s edema.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7706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08138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MEDICINE(의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