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99 0

품질기능전개(QFD) 이론을 적용한 니트웨어 디자인 속성

Title
품질기능전개(QFD) 이론을 적용한 니트웨어 디자인 속성
Other Titles
A Study on Knitwear Design Attributes Based on the QFD Theory : focused on middle-aged and aged women's formal knitwear
Author
이윤미
Alternative Author(s)
Lee, Yoon Mee
Advisor(s)
박재옥
Issue Date
2008-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Doctor
Abstract
현재 대부분의 산업은 글로벌 차원에서 격화되는 시장 경쟁과 점점 다양해지는 고객의 욕구에 직면하여 고객지향적인 제품 생산을 요구받고 있다. 니트웨어산업도 예외는 아닌데, 특히 우리 니트웨어산업의 경우, 선진국과 신흥개발도상국 사이에 놓여서 제품의 품질 및 가격에 있어서 그 경쟁력을 상실할 수 있는 상황에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우리 니트웨어산업이 고객의 욕구를 철저히 반영한 제품을 개발하는 것은 제품의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하여 매우 중요하다. 한편 고객의 욕구를 제품에 반영하는 것은 체계적이고 객관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는 작업인데, 그러한 작업을 하나의 방법론으로까지 승화시킨 것이 품질기능전개(Quality Function Deployment: QFD)이다. QFD는 이미 여러 제조 및 서비스 산업에서 제품의 경쟁력을 높이는 효용성을 인정받은 바 있으나, 아직 니트웨어를 포함한 의류산업에는 본격적으로 적용되지는 못하였다. 본 연구는 우리 니트웨어산업의 경쟁력을 강화하는 방법론을 제시한다는 맥락에서 QFD를 니트웨어 제품 개발에 실증적으로 적용해 보는 작업을 통하여 니트웨어산업에 QFD를 적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모색하는 것을 그 목표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 타깃으로 삼은 제품은 40대 이상의 여성 중노년층이 입는 니트정장이었고, 본 연구의 방법론으로는 질적 연구 및 양적 연구 방법이 모두 사용되었다. 먼저 니트정장을 착용한 경험이 있는 고객과, 니트정장을 다루는 샵 마스터, 디자이너 등 소위 내부고객 등 총 25명에 대해 심층면접을 실시하여 니트정장에 대한 다양한 고객의 목소리를 수집하였다. 그런 다음 니트디자이너, 니트패션디자인과 교수, 니트프로그래머, 의류학전공자 등 10명의 전문가로 구성된 QFD팀으로 하여금 친화다이어그램(Affinity Diagram)이라는 질적 조사를 실시하게 하여, 수집된 고객의 목소리로부터 세 단계로 이루어진 고객요구속성을 도출하였다. 한편 고객요구속성의 중요도와 만족도를 알기 위하여, 카노(Kano) 이론에 근거하여 품질을 측정하기 위하여, 그리고 소비자 구매행동을 알기 위하여 40대 이상의 니트정장을 착용해 본 경험이 있는 서울 거주 중노년층 여성(23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지역분포, 연령 등을 고려한 할당표본 추출을 실시하였고,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된 자료에 대해서는 Kano의 품질평가 이원표를 작성하여 품질속성을 분류하였고, SPSS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신뢰도검증, 대응표본 t-test, 빈도분석 그리고 백분율 분석을 하였다. 고객요구속성을 디자인속성으로 변환하는 작업과, 고객요구속성과 디자인속성 간의 관계값을 정하는 작업은 QFD팀이 실시하였다. 디자인속성의 우선순위는 그 관계값을 Lyman(2001)의 정규화 방법으로 처리하여 도출하였다. 마지막으로 니트 디자이너와 중노년층 브랜드 디자이너 1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니트정장에 대한 고객요구속성과 디자인속성의 우선순위 등 본 QFD 연구의 결과와 절차가 실무에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는지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니트정장 제품에 대한 고객의 목소리로부터 추출해낸 고객요구속성은 상징성, 심미성, 맞음새, 실용성, 그리고 관리성의 차원으로 분류될 수 있었다. 둘째, 카노 이론에 따라 니트정장에 대한 고객요구속성을 분석한 결과, 모든 차원에서 일원적 속성의 특성이 강하게 나타났다. 심미성에 속하는 모든 고객요구속성은 일원적 속성을 지닌 것으로 나타났고, 실용성과 맞음새에 속하는 고객요구속성은 매력적 속성과 일원적 속성을 지닌 것으로 나타났다. 상징성과 관리성의 고객요구속성은 역품질과 일원적 속성을 내포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고객요구속성 모두에서 중요도가 만족도보다 높아 전반적으로 니트정장의 품질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관리성이 가장 개선이 필요하며 다음으로 심미성, 맞음새, 실용성, 상징성의 순으로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니트정장에 대한 고객요구속성의 중요도의 순위를 알아본 결과, 옷의 무게가 가장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고, 색상의 어울림, 옷맵시, 착용감, 품위의 순으로 중요도의 순위가 나타났다. 다섯째, 고객요구속성을 디자인 속성으로 변환해 본 결과, 크게 색채, 재질, 선으로 디자인 속성을 분류할 수 있었으며 색채는 색상, 톤, 배색으로, 선은 실루엣선, 실루엣 안의 선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한편 재질이라는 디자인 속성은 편사, 편지, 조직의 종류, 조직의 제작의 세부적인 디자인 속성들로 분류될 수 있었다. 여섯째, 고객요구속성과 디자인속성 간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상징성은 색상, 선, 그리고 재질부분의 실 및 조직과 그 관련 정도가 높았고, 심미성은 색, 선, 그리고 재질과 관련 정도가 높았다. 맞음새와 실용성은 선 및 재질과 관련도가 높았으며, 관리성은 재질과 관련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니트정장 디자인 개발 시 디자인 속성의 중요도 순위를 알아본 결과, 실의 종류가 고객 만족을 위한 제품 디자인을 위해 가장 우선시해야 할 속성인 것으로 나타났고, 그 다음으로 우선시해야 할 것이 조직의 종류인 것으로 나타나, 니트정장 디자인에서 재질부분이 디자인 속성 중 가장 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하는 중요한 속성임이 확인되었다. 여덟째, 니트정장에 대한 QFD의 적용 절차 및 결과를 평가 받은 결과, 니트정장을 처음 디자인하는 디자이너 등에게 QFD가 도움이 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고객을 만족시키는 니트 제품의 개발을 위한 QFD의 응용 방법을 제시하였고, 시중의 니트정장에 대한 품질 개선 속성을 도출하고 제품 개발 시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하는 디자인속성을 도출해냄으로써 니트정장에 대한 고객지향적 디자인 전략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또한 본 연구는 QFD를 니트 제품의 개발에 적용할 수 있고 또 적용할만한 가치가 있음을 살펴보았다.; Recently the knitwear industry has faced increasingly competitive markets at the global level and increased specificity in consumer demand, and therefore have required to be more customer-oriented. Especially, under the pressure of intense competition with both advanced countries and newly industrialized countries, our knitwear industry has been losing its competitive edge in both the domestic and international market. In this context, it is urgent for our knitwear industry to develop customer-oriented knitwear products which fully satisfy or embody what the customers want, in order to gain competitive power in relevant markets. The embodying of customer wants and needs into products should be objectively and systematically implemented. Quality Function Deployment(QFD) can be said to develop the level of such embodiment into a methodology beyond a technique. QFD, widely recognized as a method for developing customer-oriented and competitive products, has been successfully applied to many industries, but not yet to the clothing industry. In the context that our knitwear industry needs to be more customer-oriented to gain its competitive edg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applicability of QFD to product development in the knitwear industry by empirically applying QFD to the development of a specific knitwear product, formal knitwear. More concretely speaking, on the basis of QFD, this study sought customer requirements for formal knitwear, examined design attributes into which the customer requirements were translated, and identified importance ranking of the items of both customer requirements and design attributes in order to demonstrate the strategy of developing a customer-satisfying knitwear. On the basis of the result of this empirical research, this study evaluated the applicability of QFD to the development of customer-oriented knitwear product. In this study, both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research methods were used. The customer wants and needs, that is, the voice of the customer for a formal knitwear were collected through brainstorming and in-depth interview with both final customers of formal knitwear and so-called 'inner customers' including formal knitwear shop masters and designers. The collected voice of customer was transformed into three-staged customer requirements through 'affinity diagram', a qualitative method, which was executed by a QFD team comprising 10 experts including knitwear designers and professors of a knit fashion design department. On the other hand, questionnaire was used to identify importance ranking of items of customer requirements, analyze customer requirements on the basis of the Kano model, and examine purchase behavior. The QFD team implemented translating customer requirements into design attributes and measuring values of relationship between customer requirements and design attributes. Importance ranking of the items of design attributes was obtained based on Lyman's method of normalizing relationship values. Finally, whether the result and the process of applying QFD to a knitwear was practically helpful was examined through questionnaire of which target was knitwear designers.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customer requirements for formal knitwear were classified into five dimensions, that is, symbolism, aesthetic, fitness, usefulness, and maintenance. Second, the analysis of the customer requirements for formal knitwear based on the Kano model revealed strong one-dimensional quality in all of the dimensions of customer requirements, one-dimensional quality in aesthetic, both attractive quality and one-dimensional quality in fitness and usefulness, and reverse quality and one-dimensional quality in symbolism and maintenance. Third, the level of importance was higher than that of satisfaction in all the items of customer requirements, while implying the necessity of improving the quality of formal knitwear in general. The descending order of the necessity of improving the quality was maintenance, aesthetic, fitness, usefulness, and symbolism. Fourth, in importance ranking of customer requirements, weight of clothes was first. The descending order of that importance ranking was weight of clothes, match of color, appearance, comfortableness, and elegance. Fifth, design attributes were largely classified into line, color, and material.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ustomer requirements and design attributes, symbolism had strong relation to color, line, and yarn and pattern under material. Aesthetic had strong relation to color, line and material. Fitness and usefulness had strong relation to line and material, and maintenance had strong relation to material. Sixth, yarn was first in importance ranking of design attributes, and the next was pattern. Thus, material was identified to be considered most importantly and most priorly in the designing of formal knitwear. Seventh, the evaluation on the result and the process of applying of QFD showed that at least, QFD would be useful in designing formal knitwear for the first time. Conclusively, this study proposed the way that QFD be applied to the development of knitwear, while demonstrating the effective strategy of developing a customer-satisfying knitwear. Also, it proved that QFD was fully applicable to the development of knitwear.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7681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09228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CLOTHING & TEXTILES(의류학과) > Theses (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