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43 0

북한의 복종과 저항의 정치

Title
북한의 복종과 저항의 정치
Other Titles
The Politics of Obedience and Resistance in North Korea : Formal & Informal Social Relations in the Production Field (1950s-1970s)
Author
남근우
Alternative Author(s)
Nam, Keun Woo
Advisor(s)
홍용표
Issue Date
2008-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Doctor
Abstract
본 논문은 북한체제의 원형이 형성된 1950~70년대를 중심으로 북한의 생산현장에 강제된 복종의 정치와 그곳에서 표출된 저항의 정치를 분석하고자 했다. 본 연구가 이 문제에 천착한 이유는 북한체제가 겉으로는 위의 지시와 명령에 일사불란하게 움직이는 지배-복종체제로 보이지만 실제로는 사회주의체제가 지닌 내재적 한계로 인해서 필연적으로 저항을 잉태할 수밖에 없었기 때문이다. 그리고 저항은 급속한 공업화가 진행되었던 1950~70년대에 이미 생산현장 곳곳에서 은밀한 방식으로 나타났다는 점에 주목했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이러한 저항의 행위가 엄격한 감시와 통제 시스템 속에서 어떻게 존재할 수 있었을까? 이에 대한 대답은 북한정치영역에 대한 과잉해석에서 벗어나야 가능할 수 있다. 북한에서 명령체계의 중앙집권화는 일사불란한 지배-복종체계를 가능하게 했던 정치적인 요소임에는 분명하다. 그러나 명령체계의 중앙집권화는 정치적인 이유 때문이 아니라, 전후 북한체제가 당면한 경제적 상황 때문에 형성된 것이었다. 한국전쟁 직후 북한은 파괴되고 낙후된 경제상황을 하루빨리 급속하게 발전시켜야 했다. 그러기 위해서는 체제가 선택한 목표에 인적, 물적 자원을 효율적으로 동원해야 했다. 자원동원 방식은 시장이 아닌 최고 지도자와 그의 의지가 투영된 당의 일방적인 지시와 명령으로만 가능했다. 명령체계의 중앙집권화는 바로 이러한 경제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선택된 사회주의체제의 일반적 특징이었던 것이다. 따라서 북한은 주민들의 행위를 법적, 제도적 절차와 위계적 명령계통 속에 포섭하기 위해 인간행위의 제(諸)관계를 재구성했다. 이것이 최고 지도자의 지시와 명령에 대한 사회의 복종을 정당화하기 위해서 전후 북한에서 출현한 공식 사회관계이다. 그러나 공식 사회관계는 사회주의체제에 내재되어 있었던 태생적 한계로 인해서 사적인 연줄관계를 통해 지시와 명령을 수행하는 비공식 사회관계를 필연적으로 잉태했다. 그리고 비공식 사회관계 속에서 생산지시를 어떻게 수행할 것인지를 둘러싸고 공모, 흥정, 저항하는 행위들이 표출되었다. 이러한 비공식 행위들은 이미 공업화시기에 생산현장 곳곳에서 일상적으로 구조화되어 있었다. 이러한 연구를 위해 본 논문은 그동안 남한의 북한연구에서 소외되어 왔던 생산관리자, 노동자, 농민 등 소위 ‘보통 사람들’의 행위를 일상사적ㆍ미시적 접근을 통해 복원하고자 했다. 그동안 남한의 북한연구는 북한정치영역에 대한 과잉천착으로 인해서 북한을 최고 지도자의 지시와 명령에 사회가 무조건 복종하는 일사불란한 체제로 인식하도록 만들었다. 특히, 위계적인 명령체계를 강화하기 위해 만들어진 감시와 통제 시스템에 지나치게 주목한 나머지 북한 주민들은 행위의 취사선택 가능성을 사상당한 채 체제의 의지와 목적에 무조건 복종하는 수동적인 존재로 그려져 왔다. 그러나 정치적이고 물리적인 저항이 억제되어 있었을 뿐 생산현장에서는 생산지시를 어떻게 수행할 것인가를 둘러싸고 다양한 방식으로 갈등이 상존하고 있었다. 본 논문은 기존 북한연구의 한계를 극복하고 그 외연의 폭을 확대시키기 위해 북한연구의 ‘탈중심화’를 제기할 것이다. ‘탈중심화’를 통해 북한체제는 지배-복종의 일사불란한 체제로만 발전해 온 것이 아니라 다양한 저항의 행위 역시 존재했음을 밝힐 것이다. 아울러 보통 사람들의 능동적인 행위를 복원함에 따라 북한의 비공식 사회관계가 1980년대 이후의 변화가 아니라 이미 한국전쟁 이후부터 북한사회에 내재되어 있었다는 점을 규명할 것이다. 비공식 사회관계와 그 속에서 표출된 다양한 비공식적인 행위들은 북한체제가 공식 작동방식과 비공식 작동방식으로 이원화되어 왔다는 점에서 시사하는 바가 크다. 비공식 작동방식의 구조화는 충성과 복종의 정치관계를 약화시켜 체제 응집력을 떨어뜨리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북한체제의 실질적인 변화는 바로 이러한 비공식 사회관계를 북한의 권력집단이 어떻게 해결하느냐에 따라 좌우될 것으로 보인다.; This study set out to analyze the politics of obedience forced on the production field of North Korea and the policies of resistance that appeared on the fields in the 1950s~1970s when the original form of its system was made. The study focused on the themes because the North Korean regime inevitably gave birth to resistance due to the internal limitations of the socialist system even though it looked like a dominance-obedience system that worked in a perfect order following the direction and commands from the top on the outside. It's noted that resistance took happen in subtle ways at every production site in the 1950s~1970s when North Korea went through a rapid industrialization. Then a question is raised, "How can acts of resistance be existent in the system of strict inspection and control?" One will be able to answer the question only after discarding the previous practice of overinterpretation regarding the politics of North Korea. There is no question that the centralization of the command system was a political element that enabled North Korea to run its dominance-obedience system in a perfect order. But it happened not because of the political reasons but because of the economic conditions the North Korean regime was facing after the Korean War. Right after the Korean War, North Korea had to recover the destroyed and deteriorated economy as soon as possible, for which it needed to mobile the human and physical resources efficiently. The only way to do so was through one-sided directions and commands where the wills of the chief leader were reflected rather than through the market. The centralization of the command system was the general characteristic of the socialist system chosen to attain those economic goals. Thus North Korea reconstructed all the relations of human actions in order to embrace the citizens' actions in the legal and institutional procedures and the hierarchical command system. That's the formal social relations that appeared in North Korea after the Korean War to justify the society's obedience to the directions and commands of the chief leader. The formal social relations, however, inevitably gave birth to the informal social relations, in which the individuals carried out directions and commands through the personal connections due to the innate limitations of the socialist system. They engaged in conspiracy, negotiation and resistance in respect to how to follow the production orders in the informal social relations. Those informal acts were commonly structuralized in every production site during the industrialization period. The study attempted to recover the acts of so-called "common people" such as the production managers, laborers, and farmers, who were ignored in South Korea's researches on North Korea so far, from the perspective of everyday history and in a microscopic approach. The previous study on North Korea conducted in South Korea overly focused on its politics and created a perception that it ran a system in which the society blindedly followed the chief leader's directions and commands in a perfect order. Paying too much attention on the inspection and control system designed to reinforce the hierarchical command system, they depicted the people of North Korea as passive individuals who observed the determination and goals of the regime without raising any objections and with no choice for their own actions. But the reality was that there were conflicts in many different forms regarding how to follow the production order at the productions sites only with their political and physical resistance suppressed. The study suggested "de-centralization" of researches on North Korea to overcome their limitations and expand their denotative meanings. It suggested that there were diverse forms of resistance among the people of North Korea in addition to the dominance-obedience system in a perfect order through "de-centralization." It also reviewed that the informal social relations of North Korea had existed in the society since the Korean War rather than since the changes in the 1980s by recovering the active actions of common people. The informal social relations and the diverse informal acts manifested in it claim great significant in that the North Korean regime has worked in a dual system of the formal and informal operations. The structuralization of the informal operation can weaken the political relations of loyalty and obedience and thus decrease the cohesive power of the regime. Thus it's implied that the practical changes to the North Korean regime will depend on how the power group of North Korea will deal with the informal social relation.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7408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08610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POLITICAL SCIENCE AND INTERNATIONAL STUDIES(정치외교학과) > Theses (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