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17 0

국내 통신비 지출 한계와 정보통신정책 개발

Title
국내 통신비 지출 한계와 정보통신정책 개발
Other Titles
The Development of IT Policy for the Growth of Telecommunications Expenditure
Author
배성훈
Alternative Author(s)
Bae, Seoung Hun
Advisor(s)
신민수
Issue Date
2008-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Doctor
Abstract
1) 연구 배경과 목적 이동전화를 기반으로 한 무선통신의 발전과 초고속인터넷 서비스의 확산에 따른 데이터통신의 발전은 통신서비스 시장의 급속한 성장을 주도하여 왔으나, 최근 두 시장의 성장 둔화는 통신서비스 산업의 지속적 성장의 불투명성을 넘어 통신서비스 산업의 위기로 인식되고 있다. 신규 서비스의 출현과 디지털 컨버전스로 대변되는 정보통신 산업과 타 산업 간의 융합 추세는 정보통신 산업을 복잡한 구조로 진화시키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최근 통신서비스 사업자들의 실적은 매출 증가율이 경제 일반의 상황보다 더 하락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 또한 최근 가계지출에서 통신비가 차지하는 비중이 급격히 상승하면서 야기되는 사용자들의 심리적 부담은 요금인하와 같은 경제사회적 저항으로 표출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최근 통신서비스 시장에서 제기되는 문제점의 원인을 파악하기 위해, 사용자 측면과 공급자 측면에서 문제점을 살펴본 후, 해결방안의 하나로 새로운 정보통신 개념인 IT 컨버전스 개념을 제시하고, 이를 통한 발전방향과 기대효과를 바탕으로 정책적인 시사점을 제공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2) 연구 내용 및 결과 본 연구에서는 세계 주요 국가의 통신비 지출 현황과의 비교를 통해 우리나라의 통신비 지출 수준을 분석하고, 객관적인 자료를 활용하여 우리나라 가계의 통신비 지출형태를 분석한 결과, 세계 주요국가의 통신비 지출현황 추세는 소비비목 대비 통신비 지출이 급격하게 증가하다가 2000년을 기준으로 증가속도가 상대적으로 완만해지는 것으로 나타났고, 가계 유선전화 서비스에 대한 지출이 감소하고 있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우리나라의 경우 가계 소비지출 측면에서 통신비 지출은 급격하게 상승하여 2004년 현재 식료품, 교육, 교통 비목 다음으로 높은 수준으로 나타나 타 소비비목의 소비여력을 제약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는 타 소비비목 대비 가장 높은 수준으로 나타나는 통신비의 소득탄력성을 통해, 가계가 통신에 대해 소비하려는 열망이 높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현재 우리나라의 통신서비스 시장의 둔화되는 성장세는 사용자 측면에서 급속한 증가세를 나타내던 통신비 지출이 2000년 이후 둔화되는 양상을 통해서도 살펴볼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통신비 지출에 대한 소비여력이 있는지를 판단하기위해 여러 데이터를 바탕으로 장기시계열 자료를 분석한 결과 가계의 총 소비지출에서의 통신비지출이 차지하는 비중이 단시일 내에 감소하지는 않을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통신비 지출 변화요인을 살펴보기 위해, 통신비 물가의 변화, 소요자체의 변화, 소득을 기반으로 한 가계 특성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사계 소득과 통신비 지출의 관계를 구체적으로 살펴보기 위해, 가계 소득 분포에 따른 통신비 지출 행태를 분석한 결과, 소득 수준이 낮은 계층에서 높은 계층에 비해 상대적으로 통신비에 지출하려는 열망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모든 계층에서 소득탄력성이 타 소비비목 대비 가장 높은 수준으로 나타나 소득이 증가할 경우, 통신비에 대한 지출 또한 증가시키려는 열망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소득증대가 뒷받침될 경우에 가계의 통신비 지출에 대한 소비여력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하지만, 최근 4년간 모든 계층에서 나타나고 있는 통신비 증가세 둔화현상을 가계의 특성만으로 설명하는 것을 한계가 있다. 따라서 소득의 변동효과를 압도하는 통신서비스 산업자체의 구조적인 문제가 존재하는가 파악한 후, 그 문제를 분석하기 위해, 통신서비스 시장이 이용자 중심의 시장으로 이행되는 상황을 고려하여 고객 지향적 통신서비스 분류체계를 제기하였으며, 이를 서비스간의 연관관계를 분석하는 툴로 활용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단순 정보통신 개념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정보통신이 확장 가능한 영역을 선정하고, 확장 영역을 포괄하는 IT 컨버전스의 개념을 “기존의 사슬에 국한된 정보통신이 일상생활과 복지, 문화와 융합되어 복합적으로 제공되는 확장된 형태의 정보통신”으로 정의하였다. 3) 연구결과의 국가 정책적 함의 본 연구결과의 시사점은 신규 서비스에 투자 중인 서비스 산업자에게 소비자의 지출행태 변화와 소비여력을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며, 통신 산업 정책입안자에게도 통신서비스 도입 및 시장 환경을 평가하는 정책적 자료로 제공되어 정책방향을 설정하는데 적절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사용자 측면의 문제점과 향후 복잡하게 전개될 컨버전스 시대의 환경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새로운 IT 컨버전스 개념을 제시하였으며, 이 새로운 개념은 현행 통신비 산정방식의 문제와 통신비 지출에 대한 그릇된 인식으로부터 도출된 사용자들의 심리적 부담을 해소시키는데 활용될 수 있을 것이며, 정보통신의 긍정적 역할에 대한 인식을 확산시키고 통신비에 대한 올바른 인식을 유도하는데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1) Background and Goals of Study Development of mobile phone based wireless communication as well as that of data communication due to spread of super-high speed Internet service have led rapid growth in the communication services market. However, we realize that the recent slowdown in the growth of these two markets is responsible for the crisis of communication service, let alone uncertainty in continuous growth of communication services industry. The fusion of information communication industry and other industry, which represent digital convergence and emergence of new service enables the information & communication industry to evolve into complicated structures. Under this situation, we find that communication services companies is getting worse than overall economy situation in sales growth. In addition, the recent rapid increase of the expenditure on communication became a heavy a burden for users so that it caused price cut. In this regard,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problems from the aspects of users and suppliers to recognize the causes of problems in the communication services market and present IT convergence, to suggest new concep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convergence as one of solutions, and to provide policy-level suggestions based on expectation effects and directions towards development. 2) Contents and Results This study analyzed the level of expenditure on communication in Korea through comparison with those of major countries worldwide and the type of expenditure on communication of Korean households using the objective data. As a result, expenditure on communication in major countries worldwide is found to increase in comparison with other items and starting from 2000 the growth seems to be a slow down. In Korea, in terms of household expense, expenditure on communication is found to rapidly increase and marks the high ranking following the food, education and transportation as of 2004, so that it is considered to restrict the purchasing power of other items. It seems attributable to desire to spend more on communication as shown in the income elasticity of communication expense that is found to be the highest compared to other items. The slow-down growth rate of communication services market can be also found in the slow-down of expenditure on communication after 2000. To find that there is a purchasing power for expenditure on communication, this study analyzed various long-term time-series data based on several data. As a result, the expenditure on communication among the total household expenses is expected not to decrease in a short period. In addition, to examine the cause of changes in the cost of communication, changes in household features were analyzed, based on communication prices, demand and income.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etailed communication costs according to household income distribution, in order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household income and expenditure on communication, it was evident that there was a desire to spend more on communication in the lower income bracket than in the higher income bracket. However, elasticity in income was found to be higher than other items in all income brackets, and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n aspiration to increase the amount spent on communication in the event of income increasing. That is, if the income increase is supported, there happens purchasing power in the communication items in the household. However, it is not easy to explain the slow-down of growth in communication expenses that appears in all income brackets for the last four years. In this regard, after recognizing whether there exists structural problem within the communication service industry itself that preoccupies the variation effects on income, this study proposed a customer-oriented classification system for communication services to take into account the situation whereby the communication service market changed to a user-oriented market, in order to analyze the problem and utilize it as a tool to analyze the correlation between services concerned. The study selected an area in which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services could be expanded in order to overcome the existing limitation of the concept of information on its own, and defined the concept of IT convergence that covers the area of expansion as an "expanded type of communication system available with a complex combination of existing information communication with daily life, welfare and culture. 3) Implication of Study Results at Government Policy Level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tilized to objectively evaluate the purchasing power and changes in consumer expenditure for service operators who invest in new services. It can also be provided as policy data for evaluation of the market environment and of communication services to communication policy-makers, and used properly for establishing the direction of policy. To cope actively with changes in the environment in an era of convergence that will evolve in a complex way, this study presented a new concept of IT convergence. This concept is expected to resolve a problem in the attitude of users who started from wrong awareness on the expenditure on communication as well as the current calculation method of expenditure on communication and further to encourage correct awareness on the expenditure on communication and to spread the awareness on positive rol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services.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7390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08310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INFORMATION TECHNOLOGY MANAGEMENT(정보기술경영학과) > Theses (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