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97 0

광화문광장 조성의 어메니티 가치에 관한 연구

Title
광화문광장 조성의 어메니티 가치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Estimating the Amenity Valuation ofthe Gwangwhamoon Square in Seoul
Author
신동희
Alternative Author(s)
Shin, Dong Hee
Advisor(s)
이주형
Issue Date
2008-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정신적, 문화적 풍요로움을 누릴 수 있는 쾌적한 도시환경을 계획하는 것이란 자연환경을 조성하는 차원 뿐 아니라 도시를 질 높은 생활공간으로 만드는 것을 말한다. 본 연구는 어메니티란 새로운 페러다임 속에 쾌적한 공공환경을 구축하는 서울도심 광화문광장 조성을 환경자원으로 설정하여 도심 광화문광장이 주는 경제적 가치를 가상적으로 평가해 편익을 측정하였다. 광화문광장의 어메니티 가치측정을 위하여 조건부가치측정법(CVM)을 사용하였으며, 서울시민을 대상으로 광화문광장 조성의 시나리오를 제시한 후 광장조성 기금에 대한 지불의사액을 조사하였다. 서울시민의 광화문광장 조성의 어메니티 가치를 가상적으로 평가해본 결과로는 가구당 월 6,500원의 지불의사액을 가진 것으로 추정되었으며, 편익은 약 연간 1천580억원의 가치로 분석되었고, 지불의사액에 영향을 주는 유의미한 변수로 광화문광장 조성의 필요성, 주변광장의 인식도, 보행접근성 등 이었다. 본 연구를 통해본 광화문광장 조성요인은 다음과 같다. 첫째, 광화문광장의 이용은 서울시민의 생활권 도심광장으로서 도시민 쉼터공원 으로서 잠재력을 최대한 이끌어 낼 수 있도록 기능을 강화하고 광장 이용시민 및 주변 도심광장과 고궁의 방문시민과 관광객을 위한 ‘도심속 시민의 쉼터’ 조성의 고려가 필요 하다고 하겠다. 둘째, 도시 어메니티 개발요인 으로서 역사. 문화적 환경가치 요인과 환경성 요인을 축으로 하여, 심미성 및 편리성 요소의 반영이 광화문광장 조성에서 고려해야할 요소로 볼 수 있겠다. 셋째, 광화문광장 조성은 기존의 개발사업과는 달리 어메니티의 관점으로 문화공간 및 녹지공간의 도심광장 조성과, 보행자 중심의 교통문화, 역사적 자원들의 복원, 환경 친화적인 도시를 만드는 방향이 바람직하다 하겠다. 마지막으로 지불의사액(WTP)에 의한 서울시민의 편익을 추정해본 결과 광화문광장 조성이 비록 어메니티 관점에서 서울시민의 전체를 대상으로 하는 사업일지라도 사회적 경제적 비용을 무시해서는 안 되며, 또한 의사결정과정에서 도시민에 대한 홍보와 참여가 부족하면 그 편익 또한 도시민 모두에게 같은 편익으로 제공 되지 못 한다는 시사점을 고려하여 도시민의사 반영 및 참여를 위한 정책적 고려가 필요하다고 하겠다.; City planning aimedat creating a comfortable urban environment must go beyond merely creating green spaces and strive to raise the overall quality of city life. Using "amenity" as a new paradigm.an urban planning concept emphasizing the development of urban spaces that are both people-and eco-friendly.this paper is an empirical study on the expected economic value of a cultural heritage corridor in Seoul’s Gwanhwamun Square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such a public recreational space is developed and made available to the City’s residents. For this purpose, a survey of Seoul residents on their willingness to pay ("WTP") for such amenity was conducted, the results of which were then used to determine its amenity value using the contingent valuation method. The study results indicate that each household is willing to pay up to 6,500 won per month for a cultural heritage corridor in Gwanghwamun Square (the "Gwanghwamun Square Project"), which amounts to an annual economic value of 158 billion won. Some of the variables affecting the WTP figures included the respondent’s perceived value for such amenity and his/her preconceived notions toward Gwanghwamun existing neighboring city squares, as well as the amenity’s accessibility by walking. For instance, the study found that the WTP increases in tandem with the Square’s accessibility by walking and decreases where the respondent is not aware of the proposed amenity’s recreational or cultural value and therefore sees no need for such amenity, or where he/she holds negative preconceived notions about other citysquares based on the perceived lack of amenity values of such squares. For the Gwanghwamun Square Project to succeed as a sustainable public amenity, a careful planning will be necessary to ensure the creation of a truly integrated space where the preservation of ecosystem, the environment, the City’s cultural heritage and history can be maintained. In addition to being a culturally and aesthetically pleasing space on its own and in relation to its neighboring areas, the proposed amenity should be pedestrian-friendly with an easily accessible public transit system. Moreover, this paper suggests that public support and awareness of a proposed project is a critical element of a successful urban development, requiring active promotion at the city level. In short, this paper concludes that a careful and thorough citywideplanning in consideration of the totality of the various aforementioned elements will be essential to maximizing the economic and amenity values of the Gwanghwamun Square Project.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7021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08288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URBAN STUDIES[S](도시대학원) > DEPARTMENT OF URBAN PLANNING AND DEVELOPMENT MANAGEMENT(도시개발경영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