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27 0

일 지역 여성의 유방촬영술 수검의도 예측모형 구축

Title
일 지역 여성의 유방촬영술 수검의도 예측모형 구축
Other Titles
Development of a Prediction Model of the intention of mammography in women
Author
김태경
Alternative Author(s)
Kim, Tae-Kyung
Advisor(s)
유은광
Issue Date
2008-0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Doctor
Abstract
from habits to affection, attitude, subjective norm, self-efficacy, from accessibility to affection, attitude, subjective norm, self-efficacy, intention and from affection, attitude, subjective norm, self-efficacy to intention. Accessibility, affection, attitude, subjective norm, self-efficacy gave significantly direct effects on intention. And these variables explained 90% of variance of intention of mammography. Habits and accessibility gave significantly direct effects on affection. These variables explained 35% of variance of affect. Habits and accessibility had significantly direct effects on attitude. These variables explained 24% of variance of attitude. Habits and accessibility gave significantly direct effects on subjective norm. These variables explained 30% of variance of subjective norm. Habits and accessibility gave significantly direct effects on self-efficacy. These variables explained 30% of variance of self-efficacy.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identified that habits, accessibility, affection, attitude, subjective norm, self-efficacy were important factors influencing on the intention of mammography. The affection as feeling of mammography and fear of breast cancer was particularly important factor to intention. This study has its significance in that it proposed the basis of the development of the strategy to improve the intention of mammography in women.; 본 연구의 목적은 선행연구의 문헌고찰을 기초로 하여 유방촬영술 수검의도에 대한 가설적 모형을 구축한 후 영향 변인들간의 직?간접적인 영향을 검증함으로써 여성의 유방촬영술 수검의도를 증진시키고 지속시킬 수 있는 체계적인 간호중재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 본 연구는 J시에 거주하는 여성 233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통해 자료수집을 하였고, 연구도구는 기존의 도구 내용을 수정?보완하였거나 본 연구자가 개발하였으며, 도구의 Cronbach's α값은 .69에서 .93의 범위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5.0 Version과 AMOS 7.0 Version을 이용한 공변량 구조분석을 실시하였다. 선행연구의 문헌고찰을 통하여 외생변인은 습관과 보건의료이용접근성을 변인으로 구성하였고, 내생변인으로는 유방촬영술에 대한 정서, 태도, 주관적 규범, 자아효능감 그리고 의도로 구성하여 7개의 잠재변인, 12개의 측정변수 및 14개의 경로를 설정하여 가설적 모형을 구성하였다. 수정 모형의 부합지수는 GFI 0.964, AGFI 0.935, NFI 0.980, RMR과 RMSEA는 0.050, 0.016로서 모형의 적합도는 적정하였다. 모형에서 설정된 14개의 경로 중 13개의 경로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유의한 경로는 보건의료이용접근성에서 정서, 태도, 주관적 규범, 자아효능감, 의도이며, 습관에서 정서, 태도, 주관적 규범, 자아효능감, 그리고 정서, 태도, 주관적 규범, 자아효능감에서 의도였다. 이 중 습관에서 의도 경로만이 유의하지 않은 경로로 나타났다. 여성의 유방촬영술에 유의한 영향을 준 변수는 정서, 태도, 주관적 규범, 자아효능감, 보건의료이용접근성이었으며, 이들 변수는 의도를 90% 설명하였다. 정서에 유의한 영향을 준 변수는 습관과 보건의료이용접근성이었으며, 이들 변수는 정서를 35% 설명하였고, 태도에 유의한 영향을 준 변수는 습관과 보건의료이용접근성으로 24% 설명하였다. 주관적 규범에 유의한 영향을 준 변수는 습관과 보건의료이용접근성으로 30% 설명하였고, 자아효능감에 유의한 영향을 준 변수는 습관과 보건의료이용접근성으로 30% 설명하였다. 본 연구결과 정서, 태도, 주관적 규범, 자아효능감, 보건의료이용접근성이 여성의 유방촬영술 수검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임이 확인되었다. 특히 여성의 경우 유방촬영술 수검의도에서 정서가 가장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여성의 유방촬영술 수검의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유방촬영술 수검시의 느낌과 유방암에 대한 불안감을 긍정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전략 수립이 필요하며 향후 이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여성의 유방촬영술 수검의도의 영향 요인들을 통합하여 예측모형을 구축함으로써 여성의 유방촬영술 수검의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간호중재개발의 기초자료를 제시하는데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factors of intention of mammography and to development a prediction model in women. Data were collected from 233 in women who live in a middle range city and analyzed by SPSS 15.0 and AMOS 7.0. Based on literature review, a hypothetical model consisted of seven theoretical variables, 14 paths among them and 12 measurable variables was developed. Exogenous variables were 'habits' and 'accessibility to health care system'. Endogenous variables were 'affection', 'attitude', 'subjective norm', self-efficacy' and 'intention'. The model showed a goodness of fit to the empirical data(GFI 0.964, AGFI 0.935, NFI 0.980, RMR과 RMSEA는 0.050, 0.016). Thirteen paths among fourteen paths prove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6850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10049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NURSING(간호학과) > Theses (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