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7 0

일 지역 노인의 주관적 건강상태, 건강행위, 우울 및 삶의 질에 대한 연구

Title
일 지역 노인의 주관적 건강상태, 건강행위, 우울 및 삶의 질에 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Subjective Health Status, Health behavior, Depression, and Quality of Life in Elderly
Author
진미환
Alternative Author(s)
Chin, Mi Hwan
Advisor(s)
탁영란
Issue Date
2008-0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노인의 주관적 건강상태, 건강행위, 우울 및 삶의 질 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2008년 2월 11일부터 4월 30일까지 P시 행정구역에 따라 구분 된 2개 구역 보건소방문 대상자 및 2개 구역 보건지소 방문대상자 중 65세 이상 남녀 노인 201명을 대상으로 시행 하였다. 주관적 건강상태에 관한 문항은 주관적으로 건강한지를 묻는 1개의 질문을 하였으며, 우울에 대한 15개 문항은 Yesavage등(1982)의 노인 우울 측정도구를 한국판으로 표준화한 기백석(1996)의 한국형 노인 우울 척도(Geriatric Depression Scale)를 사용하였다. 건강행위 33문항은 최영희와 김순이(1999)의 한국 노인의 건강행위 사정 도구를 사용하였다. 삶의 질에 관한 내용은 Ryff(1996) 의 정신심리학적 접근을 통한 측정도구를 김명소, 김혜원과 차경호(2001)가 심리적 안녕 감의 6개 차원을 포함하는 총 54문항 중 대학생 200여명을 대상으로 신뢰도 계수 α와 문항 제거 후의 α, 문항-총점 상관계수, 요인 부하량 등을 번안한 46개의 문항을 선별한 척도에 대하여 김석일(2004)이 다시 적합도를 통해 선별한 6점 척도인 26개의 문항을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WIN 1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실수,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t- 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을 사용하였다. 연구 대상자의 주관적 건강상태는 ‘전혀 건강하지 않다’ 15.4%, ‘건강하지 못하다’ 9.0%, ‘보통이다’ 22.9%, ‘건강하다’ 27.4%, ‘매우 건강하다’ 25.4%의 결과를 보였으며, ‘건강하다’와 ‘매우 건강하다’에서 대상 노인의 52.8%가 응답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주관적 건강상태 중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낸 특성은 종교(F=7.14, p=.00), 동거형태(F=5.35, p=.00), 생활정도(F=23.35, p=.00), 현재 노후생활(F=24.13, p=.00)이었고, 성별(F=267, p=.606), 연령(F=.116, p=.952), 학력(F=.2271, p=.082)과 결혼 상태(F=.009, p=.926)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연구 대상자의 건강행위는 평균 103.57(±17.94)이었으며 대체로 건강행위를 실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건강행위에 대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낸 특성은 학력(F=2.79, p=.04), 종교(F=8.37, p=.00), 결혼상태(F=4.51, p=.03), 동거형태(F=3.61, p=.01), 생활정도(F=17.60, p=.00), 현재 노후생활(F=35.94, p=.00)이었으며, 성별(F=1.48, p=,22), 연령(F=1.60, p=.18)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가 없었다. 연구 대상자의 우울 정도는 총 15점 중 평균 5.77(±4.68) 으로 나타났으며 경한정도의 우울에 속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우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낸 특성은 연령(F=5.59, p=.00), 학력(F=5.21, p=.00), 동거형태(F=3.92, p=.00), 생활정도(F=42.51, p=.00), 현재 노후생활(F=70.75, p=.00)이었으며, 성별(F=.84, p=.35), 종교(F=2.08, p=.15), 결혼상태(F=3.92, p=.05)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연구 대상자의 삶의 질은 최소값 35.00, 최대값 143.00이었으며 평균 94.02 (±24.73)로 삶의 질이 높은 결과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삶의 질은 성별, 연령별, 학력, 종교, 결혼상태, 동거형태, 생활정도, 현재의 노후생활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연구 대상자의 주관적 건강상태, 건강행위, 우울, 삶의 질 모두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특히 우울과 삶의 질(r=-.722, p=0.000) 에서는 상관관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노인의 주관적 건강상태, 건강행위 및 삶의 질이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반면 연령이 증가 할수록 우울이 높아지는 것이 확인 되었으며 주관적 건강상태, 건강행위, 삶의 질과 우울은 중요한 변인 관계임을 알 수 있었다. 특히 독거노인, 생활의 어려움이 있는 노인, 현재 노후생활에 만족도가 낮은 노인들은 주관적 건강상태, 건강행위, 우울 및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도록 사회적 관심과 지지가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basic data to the health program for elderly by studing the relation of the subjective health status, health behavior, depression, and quality of life in elderly. The subject was composed of 201 elderly over the age 65, living in P city, Gyeonggi- do. The data were collected during the period from Feb. 11, 2008 to Apr. 30, 2008 by interviews with a structured questionnaire to the elderly. The collection data were analyzed by SPSS computerized program using the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cross tab chi-test, ANOVA, Pearson 's correlation coefficient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 In the level of subjective health status, the percent score of elderly was 52.8% group of the good health. The results in subjective health statu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religion (F=7.14, p=.00), live together(F=5.35, p=.00), standard of living (F=23.35, p=.00), old age of living (F=24.13, p=.00). In the level of health behavior, the mean score was 103.57 (± 17.94) the highest 131, and the lowest 3. This study has a good health behavior. The results in health behavior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level of education (F=2.76, p=.04), religion (F=8.37, p=.00), marital status (F=4.51, p=.03), live together(F=3.61, p=.04), standard of living (f=17.60, p=.00), old age of living (F=1.60, p=.18). In the level of depression, the mean score was 5.77 (± 4.68) the highest 15, and the lowest 0. This study has a mild case depression. The results in depression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age (F=5.59, p=.00), level of education (F=5.21, p=.00), live together (F=3.92, p=.05), standard of living (F=42.51, p=.00), old age of living (F±70.75, p=.00). In the level of quality of life, the mean score was (±24.73) the highest score was 143, and lowest score was 35. This study has a good quality of life. The results in quality of lif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sex (F=.84, p=.35), age (F=5.59, p=.00), level of education (F=5.21, p=.00), religion (F=2.08, p=.15), marital status (F=3.81, p=.05), live together (F=3.92, p=.00),standard of living (F=42.51, p=.00), old age of living (F=70.75, P=.00).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subjective health status, behavior, depression, quality of life. According to the research, subjective health status, behavior, and quality of life, got a highest score. However as age increases, depression goes up. In proportion to those examples and depression are cause and effect. Especially old people, who live alone, difficult to live, and have low feeling of satisfaction, require social concern and support until their life is going well.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6849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10048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NURSING(간호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