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98 0

음악교육에 있어서 시창ㆍ청음의 효율적인 지도방안 연구

Title
음악교육에 있어서 시창ㆍ청음의 효율적인 지도방안 연구
Other Titles
Study on efficient teaching method for sight-readingㆍear training of musical education : Focused on high school students
Author
이현호
Alternative Author(s)
Lee, Hyun Ho
Advisor(s)
양연섭
Issue Date
2008-0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인간은 동물과 달리 음악적 소리에 해석적 의미뿐만 아니라 정신적 의미까지도 부여하므로 음악을 통해 심미적 속성을 자극시키며 아름다움을 느끼고 삶의 질을 향상시킨다. 또한 음악을 통해 복잡 다양한 현실 및 정신세계를 표현하고 체험 함으로써 자아실현의 욕구를 만족시킨다. 음악은 귀로 듣거나 눈으로 악보를 보는 일련의 과정을 통해 접하게 되는데, 이러한 모든 음악활동의 기초가 되는 것이 바로 시창·청음 이다. 시창·청음은 음을 읽고, 들리는 음을 기록할 수 있는 능력으로 음악적 감수성을 자극하고 발달시키는데 기본이 되는 활동이다. 시창·청음이 음악활동에 있어 가장 기초인 동시에 가장 오랜 기간 동안 중요한 과목인 이유는, 가창이나 연주를 위해서는 우선 악보를 스스로 읽을 수 있는 시창 능력이 있어야 하고, 자신이 악보를 읽으며 연주하는 부분이 바르게 연주되는지를 알기 위해서는 청음 능력이 필요하게 때문이다. 또한 창작시에도 자신의 마음속에 그려진 악곡을 표현하기 위해서는 먼저 악보를 읽는 시창 능력이 필요하고 감상 영역은 청각을 통해 이루어지는 활동이므로 청음의 중요성은 말할 필요가 없다. 그러므로, 학교 음악 교육에 있어서 시창·청음 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하면서 특히 지적, 예술적 능력이 급속도로 변화, 발전하는 중·고등학교 학생들을 중심으로 음악적 기초를 탄탄히 하고 예술적 창조성을 발달 시키기 위해 효율적인 시창·청음의 지도 방안을 연구하고자 한다. 학생들은 학교 음악 교육을 통해 다양한 교과서 제재곡을 접하고 그 속에서 리듬, 화성, 형식 등등을 공부하게 되고 악보를 보는 방법 및 다양한 악기를 연주하는 방법도 익히게 된다. 이것이 학교 음악 교육의 구체적인 목표이다. 이러한 기초적이며 구체적인 목표 달성을 위해서는 먼저 시창·청음의 교육이 기본이 되어야 함은 분명한 사실이다. 효율적인 시창·청음의 교육을 위해서는 학생들이 각각 지니고 있는 능력과 수준을 고려한 지도가 이뤄져야 하며 피아노 뿐만 아니라 다양한 악기를 이용하여 좀 더 쉽고 흥미로운 지도를 추구해야 한다. 무엇보다도 음악학습은 꾸준한 훈련을 통해 교육적 성취도를 극대화시킬 수 있으므로 지속적이며 체계적인 시창·청음의 훈련 및 교육이 필요하다.; Unlike animals, human being gives spiritual meaning as well as explaining meaning on musical sound. So people stimulate aesthetic properties, feel beauty and improve the quality of life through music. Also, humans express or experience complicated and various realities and inner space to satisfy their urge of self-realization. People meet with music through connected process including listening or reading music. The basis of all musical activities is the very sight-reading·ear training. Sight-reading·ear training is a capability to read a sound and record heard sound, and it is a basic activity to stimulate and develop musical sensitivity. For this musical activity, sight-reading·ear training is a fundamental and an important subject for a longest time because people should have sight-reading the ability to read music by themselves for singing or performance, and people need the ability of ear training to know whether their performance is right or not while reading music. Also sight-reading ability, which reads music, is required to express a musical piece in mind for creation, and needless to say, ear training is important since appreciation activity is accomplished through auditory sense. Therefore, I studied efficient teaching method for sight-reading·ear training to stress the importance of sight-reading·ear training education for the musical education at schools and especially to develop artistic creativity and harden the musical basis for high school students whose intellectual and artistic capabilities are rapidly changing and growing. Students experience various theme songs from textbooks through musical education at schools and learn rhythm, harmony, form, and how to read music and to play various instruments. These are the specific goals of musical education at schools. To achieve the fundamental and specific goals, first of all, it is true that education for sight-reading·ear training should be a basis. For efficient education for sight-reading·ear training, teaching considering each student's competence and level is necessary and easier and more interesting teaching should be required using various musical instruments as well as piano. Above all things, steady and systematic training and schooling for sight-reading·ear training is necessary because music learning could maximize the educational achievements through constant training.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6797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10023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S](교육대학원) > ARTS AND PHYSICAL EDUCATION(예체능학계열)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