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21 0

연극치료가 직장인 직무스트레스와 대처방식에 미치는 효과

Title
연극치료가 직장인 직무스트레스와 대처방식에 미치는 효과
Other Titles
The Effects of Dramatherapy on Employee's Job Stress and Their Reaction to the Stress
Author
유보영
Alternative Author(s)
Ryu, Bo Young
Advisor(s)
김시욱
Issue Date
2008-0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This study is prepared with the purpose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dramatherapy on job stress and meeting method on the stress of employees. To achieve the aimed purpose of this study, the author of this thesis has practiced the dramatherapy program on the objects of employees and collected the related data of the job stress and meeting method of the working duty before and after the treatment and then the author has taken multivariate analysis Of covariance on the obtained data. Total number of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30 persons that are composed of 10 persons of the experimental group A who participated in the dramatherapy program 15times as team members of the financial network branch of H company, 10 persons of the experimental group B who participated only one time in the last meeting as spectators and 10 persons who participated as members of the control group and all the participants have been employed by the company for more than six months and all of them are males in their thirty’s. The result that has been found through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was positively recognized that dramatherapy has been effective for the reduction of job stress of employees and on their reaction to the stress. Dramatherapy has made some meaningful influence on the factors of job stress, stress increase, stress result, and stress meeting method of the participants of the experimental group A who participated in the program 15 times and especially the therapy has made quite an effect on the stress result factor and their reaction. However, though dramatherapy has made some meaningful influence on the factors of job stress, stress increase, stress result and their reaction on the stress of the participants of the experimental group B who participated in the program only one time in the last meeting, level of the meaningful influence of the experimental group B was lower than that of the experimental group A and regarding level of the stress increase factor, the level of the experimental group B did not show any difference from that of the control group. Accordingly it showed that dramatherapy showed some meaningful effect on both experimental groups but the effect on the group A was somewhat higher than that on the group B. Second, as the result of study on the effect of dramatherapy to employees. Unplanned merrymaking expression becomes possible on the basis of intuition with senior official. Own frank feeling and desire of group members are gushed out and new stimuli are evoked. Thus, it becomes a breakthrough to be able to be freed from mental stress. All of group members can enjoy them, respect themselves and others, and confirm their own positive shapes. And by opening up drama, the drama extends the role that can share encouragement and support one another with dynamics occurred in the group to the employees who appeal stress and mental anxiety. As previously said, it has been changed from negative to positive countermeasure. This study earns the result that dramatherapy lessens job stress and gives positive influences on meeting against stress at this time of serious social issue. Hence, it prepares for the basis, so that dramatherapy may practice the program for the stress of employees. The significance may be given for the fact that the effect on the attendance as first group “spectators” has been proved. On the basis of this study outcome, it is suggested as follows for follow-up study and practice: First, by considering the feature of employees, the program could not be progressed at regular intervals. As there were absent persons caused by their work, objectivity could not be secured, and thus there were difficulty for generalization of program. So, it is necessary to develop dramatherapy program by practicing the feature of employee on the basis of the attendance of first group “spectators” proved by this study. Second, it is necessary to check up the effect per classification, position class and sex by progressing dramatherapy program as per business and male. Third, as further test was not done in case of stress countermeasure, it was not cleared out how dramatherapy program continuously gives effect. So at follow-up study, it is necessary to inspect the effect of dramatherapy by using measurement tool in order to inspect objectively and scientifically along with individual study and practical effort. If these suggestions are performed, - though it is still lacking, as there exists limit point of the objected person in comparison to other countries, however it is inevitable to modern society ? it is expected that initial stage of dramatherapy can be activated by developing the program on the basis of dramatheory and drama’s various treatment factor.; 본 연구는 연극치료가 직장인 직무스트레스와 대처방식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영업사원을 대상으로 연극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였고 이에 대한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직무스트레스와 대처방식의 척도를 사전, 사후 검사하여 다변량 공분산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H사의 금융네트워크 지점의 팀원으로 15회기 참여한 실험집단 A 10명, 마지막 회기에 ‘관객’으로 참여한 실험집단 B 10명, 통제집단 10명으로 총 30명이고 전원 평균 6개월 이상 근무 하였고 30대 남성이었다. 연구를 통해 밝혀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극치료가 직장인 직무스트레스 감소와 대처방식의 향상에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연극치료 프로그램을 15회기 참여한 실험집단 A는 직무스트레스 요인, 스트레스 증세요인, 직무스트레스 결과요인, 대처방식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며 그 중 직무스트레스 결과요인과 대처방식에 많은 효과를 얻은 것을 알 수 있고 1회기‘관객’으로 참여한 실험집단 B는 직무스트레스요인, 직무스트레스 결과요인, 대처방식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나 실험집단 A 대비 유의미한 변화가 낮았고 스트레스 증세요인에서는 통제집단과 차이가 없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두 실험집단 모두 부분적인 효과가 있었지만 실험집단 B 보다 실험집단 A의 효과가 높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연극치료가 영업사원에게 어떠한 효과 있는지 연구한 결과 직장 생활에서 받게 되는 스트레스를 연극치료 프로그램 속에서 자연스럽게 해소 하여 계획되지 않고 상상과 직관을 토대로 유희적인 표현을 가능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솔직한 자신의 감정과 집단원의 욕구를 분출시켜 새로운 자극을 불러일으켰으며 자연스럽게 정신적인 압박감에서 벗어날 수 있도록 하는 돌파구가 되어 집단원 모두 즐길 수 있고 자신과 타인을 존중하며 긍정적으로 변한 자신의 모습을 확인하였다. 또한 공연을 올려 연극이 스트레스와 정신적 불안감을 호소하는 직장인들에게 집단 안에서 생기는 역동성으로 서로에 대한 격려와 지지를 함께 나눌 수 있는 역할 확장을 하였고 부정적인 대처방식에서 긍정적인 대처방식으로 변화하였다. 본 연구는 직무스트레스가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시점에 연극치료가 직무스트레스를 감소시키고 스트레스 대처방식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를 얻음으로써 연극치료가 직장인 스트레스를 위한 프로그램으로 활용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하였고 1회기 ‘관객’으로 참여한 것에 대한 효과를 입증하였다는 것에 그 의미가 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후속 연구 및 실천을 위해 다음과 같이 제언하였다. 첫째, 영업사원의 특성상 규칙적인 시간에 프로그램을 진행할 수 없고 업무상 결석한 인원이 있어 분석의 객관성을 확보하지 못하여 프로그램을 일반화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입증한 1회기 ‘관객’의 참여를 토대로 직장인의 특성을 활용하여 연극치료 프로그램을 계발하는 것이 필요하다. 둘째, 한 업종 및 남성으로 연극치료 프로그램이 진행되어 종별, 직급, 성별로 같은 효과가 있는지 검증이 필요하다. 셋째,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경우 추후 검사를 못하였기 때문에 연극치료 프로그램이 얼마나 지속적으로 효과가 있는지 밝히지 못하였으므로 후속 연구에서는 개별적인 연구 및 실천적 노력과 함께 객관적이고 과학적으로 검증할 수 있는 측정도구를 사용하여 연극치료의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상의 제언들이 수행될 경우, 다른 나라와 비교해 대상자의 한계점을 가지고 있어 아직까지 미진한 편이지만 현대 사회에 꼭 필요한 분야인 만큼 연극치료의 이론과 연극의 다양한 치료적 요인을 바탕으로 프로그램을 계발하여 초기 단계에 있는 연극치료의 활성화를 기대할 수 있다.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6793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09973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S](교육대학원) > ARTS AND PHYSICAL EDUCATION(예체능학계열)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