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4 0

중학생 영어캠프 활동의 만족도에 관한 연구

Title
중학생 영어캠프 활동의 만족도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Satisfact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the English Camp
Author
정지은
Alternative Author(s)
Chung, Ji Eun
Advisor(s)
김임득
Issue Date
2008-0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서울 시내 원어민 단기 영어캠프의 교육과정을 분석하고 중학생 참가자들을 대상으로 영어캠프의 교육과정 만족도를 조사하여 앞으로 원어민 영어캠프가 보다 발전적인 방향으로 나아가기 위해 고려해야 하는 사항들을 파악해보고자 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연구 방법으로는 서울시에 소재하고 있는 모 구청에서 운영하는 단기 영어캠프에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는데 중학생 참가자들이 영어캠프 프로그램의 교육과정에 대해 느끼는 만족도를 보다 정확히 측정하기 위해 참가자들뿐만 아니라 강사들과 학부모들을 대상으로 사전 인터뷰를 통해 설문지를 작성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참가자들의 영어공부 실태에 대한 전반적인 조사를 한 결과, 대부분이 학교 이외의 영어 사교육 경험이 있었으며 가장 많이 참여하고 있는 영어 사교육이 ‘학원’으로 나타났다. 영어에 대한 인식 또한 좋은 대학을 가기 위한 것이라고 응답한 학생이 가장 많았다. 초등학생과 달리 입시대열에 들어선 중학생들은 영어라는 언어가 의사소통을 위해 중요하다는 것을 인지함과 동시에 열심히 공부해서 좋은 대학을 가기 위한 하나의 수단으로 여기고 있었다. 따라서 우선 학원과 영어캠프를 비교하여 만족도를 조사할 필요가 있었다. 학원 수업과 달리 강사의 구성이 원어민으로만 이루어져 있고, 수업내용은 의사소통중심인 영어캠프에서 참가자들은 원어민과 자주 접할 수 있다는 점에서 큰 만족감을 나타냈지만 학교 내신에 도움이 되지 않는 점을 불만인 점으로 꼽았다. 또한 학기 중에 보다 지속적으로 공부할 수 있는 학원과 달리 영어캠프는 단기간에 끝나버려서 학습효과가 떨어진다는 점이 불만인 점으로 나타났다. 참가자들은 이미 입시대열에 들어선 단계이기 때문에 영어공부에 대한 인식이 대학을 가기 위한 수단으로 보는 경향이 강하므로 원어민 강사와의 수업이 재미있고 회화에 도움이 된다고 하더라도 입시에 도움이 되는 수업이 없다면 학습 효과를 위해서 영어캠프의 입지는 굳혀지기 힘들다. 즉, 중학생 참가자들을 위한 내신을 위한 프로그램이 추가가 되고 학기 중에도 꾸준히 참여할 수 있는 환경이 만들어진다면 영어의 의사소통 향상과 내신 두 마리 토끼를 잡을 수 있는 좋은 프로그램으로 자리잡을 수 있을 것이라고 보여진다. 다음으로 참가자들에게 영어캠프에 대한 기대여부에 대해 조사해보았다. 교육 내용에 있어서 학생들은 흥미위주의 프로그램이 좀 더 추가되었으면 좋겠다고 응답하였고, 회화향상을 위해서는 교육내용보다는 교육 시설에 있어서 합숙 시설에 대한 기대를 나타냈다. 하지만 합숙 프로그램을 한다면 학원을 다니면서 동시에 영어캠프에 참가하지 못하게 될 것이며, 합숙시설과 강사들에 관해서도 상당히 많은 부분이 고려되어야만 하는 사항이므로 단순히 학생들의 기대여부에 따라 바꿀 수 있는 사항이 아니다. 강사에 관해서는 원어민 강사를 선호하기는 하지만 한국인 보조교사가 함께 교실에 있었으면 좋겠다는 응답이 가장 많은 것으로 보아, 학생들은 외국인과의 의사소통에 대한 두려움을 한국인 보조교사로부터 보상 받고 있는 것으로 보여진다. 이번 영어캠프를 통해 정의적인 영역에 있어서의 변화에 대한 조사를 하였는데, 영어로 의사소통을 하는 데에 있어서 자신감이 향상되었는지, 두려움은 줄어들었는지 그리고 앞으로 영어공부가 더 하고 싶다는 동기부여가 되었는지에 대해 조사를 하였다. 그 결과, 대부분 긍정적인 응답을 하였으나, 동기 부여에 있어서 만큼은 학년별로 다소 차이가 나타났는데, 중학교 1학년생과 2학년생은 큰 변화가 있다는 긍정적인 답변을 보였지만 중학교 3학년생의 경우는 영어공부에 대한 동기부여가 크게 변화되지는 않았다는 결과가 나왔다. 중3 학생들은 다른 학년에 비해 영어를 공부한 시기가 더 길기 때문이거나 혹은 대학 입시에 더 가까이 있으므로 영어 공부하는 데에 대한 동기부여가 크게 변화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다. 마지막으로 영어캠프에 참여한 학습자들은 다음에 다시 영어캠프에 참여하고 싶다고 응답한 비율이 과반수를 훨씬 넘어가는 것으로 보아 대체적으로 영어캠프 프로그램에 만족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중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영어캠프는 학생들의 상황을 고려하여 학교 내신과 관련 있는 프로그램들을 조금 추가하는 방향과 학기 중에도 지속적으로 참여하여 지속적인 학습 효과가 나타날 수 있게 된다면 앞으로 중학생들의 영어교육에 한층 더 이바지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자리잡을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urriculum of an English Camp, language instruction program, that is being operated in Dobong-gu, Seoul and aimed to investigate the satisfaction of the students who took part in the program in order to identify a more appropriate curriculum, and additionally a more suitable pedagogic approach, for the program at a macro-level. With the aim to make this study more credible,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parents, program coordinators, and students as a pilot study to the satisfaction of the curriculum of English camp. Following these interviews, a survey was conducted with the subjects of 151 middle school students participating in the English camp program in Dobong-gu, Seoul. The questionnaire had 23 items relating to the participants’ perception of four factors of their English learning experience, satisfaction, desirability, and affective factors. All data were analyzed extensively through the SPSS 15.0 software program.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1) The results addressed that the majority of subjects in the questionnaire survey showed a high degree of satisfaction towards the curriculum of English camp. Particularly, they demonstrated a high level of preference for communicating with foreigners in English everyday and taking part in a variety of activities which they rarely find opportunities to do so in school or private institutes. However, the majority of the participants considered English as a tool for obtaining entrance into a reputable university in Korea, and not as a leisure activity or for better communicating with foreigners in the workplace or socially. The respondents indicated that English camp program is not applicable to performance on their school exams and the program is quickly over in 3 weeks. This indicates that the curriculum of English camps may better serve students if the program of study is incorporated with standardized, government accredited public or private pre-tertiary curriculum instruction. In this way, related English language programs will be appropriately building students language skills and will come to be considered as a reputable out-of-school English language instruction program, as an alternative to enrolling in private institutes with isolated instruction curriculums, which majority of them studies, that may not as effectively build language proficiency as the students are not exposed to a program instruction with a broad and long term developmental objective. (2) During the course of the English camp, the participants showed a significant preference for classes such as a general discussion, the flea market, pop contests and so on. However they always required Korean instructors to assist them to communicate their idea to Caucasian L1 English speakers of English because they are not accustomed to meeting readily interacting with L1 English speaker. (3) Their affective factors changed in a positive way after participating in an English camp. Their motivation and self-esteem were elevated and the level of anxiety was lowered after participating in English camp. The above three findings imply that the middle school students are satisfied with the English camp attended to some degree, because expressed a variety of opportunities to speak English with foreigners and participate in various activities, however there is a conflict. The English camp provides specific services and enhancing particular skills, but the students need to improve their English proficiency for the school exam and the national exam to be admitted to a reputable university. If English camps were to have some standardized school-related programs, it would be more beneficial for middle students. For this, more post research is needed to connect the program in English camps to that in schools.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6772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10144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S](교육대학원) > LINGUISTICS AND LITERATURE SCIENCE(어문학계열)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