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 0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촉진을 위한 학업성취도 분석 기반의 수행평가 시스템 구현 연구

Title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촉진을 위한 학업성취도 분석 기반의 수행평가 시스템 구현 연구
Other Titles
An implementation of performance assessment system based on academic achivement analysis for promotion of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uthor
김현정
Alternative Author(s)
Kim, Hyun jeong
Advisor(s)
최진식
Issue Date
2008-0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현재 제 7차 교육과정에서는 자기주도적 학습을 지향하고 있으며 기존의 지식을 단순 암기하거나 재생산하는 능력보다는 학습자의 고등사고능력이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을 최대한으로 신장시키는 교육을 강조하고 있다. 수행평가는 학습자의 자기주도적 구성 활동에 초점을 두고 행해지는 평가방법이다. 그러나 실제 수행평가는 실기평가나 지필 평가방식으로 단순한 점수 산출을 위한 평가 자료로만 활용되고 있다. 단순 점수 산출로 인해 교수자가 학습자의 현재 점수만을 제공받았을 때, 그 학습자의 성적이 1)꾸준히 향상하고 있는지, 2)하락하고 있는지 혹은 3)비슷한 학업성취도를 계속 유지하고 있는지는 구별하기가 힘들다. 그러나 교수자는 동일한 점수를 취득한 학습자라도 학업성취도를 극대화하기 위해 학습자 별로 각기 다른 피드백을 줄 수 있어야 한다. 이때 교수자는 많은 시간과 노력을 소모하게 되며 주관적인 지식이 삽입될 수 있어 평가의 객관성이 떨어진다. 또한 수행평가는 결과물에 대한 과정의 평가가 이루어져야 한다. 물론 과정의 평가라는 것은 전 과정이 아닌 과정 중 일부나 평가 결과물의 자료의 수집으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단순한 문제풀이식 평가와 점수산출로는 과정의 평가가 이루어진다고 보기 어렵다. 수행평가의 결과로 학업성취도가 하락하는 학습자에게 교수자는 학업성취도의 향상을 위해 보조학습을 투입하여야 하지만 보조학습의 자원은 제한되어 있어 모든 학생에게 최상의 보조학습을 제공해 주기 어렵다. 본 연구에서는 자기주도적 학습의 촉진을 위하여 수행평가의 과정에 대한 객관성 부여를 위해 평가 기준을 마련하고 학업성취도를 분석하여 각 능력별 성취도 그래프 및 향후 예측 결과를 제공한다. 학업성취도의 분석은 수행평가의 과정을 학업성취도의 향상 정도로 평가하기 위한 정보를 제공한다. 또한 향후 결과의 예측은 교수자가 한정된 자원(보조학습, 문제풀이, 개인교수 등)을 활용하여 학습자별 지도 방법에 차등을 둘 수 있게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제공된 그래프를 통해 학습자와 교수자는 현재 학습상태를 인지할 수 있고 향후 학습방향, 학습시간, 보조자료의 투입과 같은 의사결정을 도울 수 있다. 또한 과정평가에 대한 객관성을 부여하기 위한 루브릭 채점기준을 제시한다. 교수자는 루브릭 채점기준을 적용하여 피드백을 기존의 피드백보다 빠르고 객관적으로 제공할 수 있고 평가의 객관성도 높인다. 이로 인해 학습자의 향후 목표 설정을 돕고 동기부여를 함으로써 자기주도적 학습을 촉진시킬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한 수행평가 시스템은 평가에 소요되는 교수자의 시간과 노력을 절감하고 평가 결과에 대한 학습자의 신뢰도를 높이며 평가결과를 분석한 정보를 바탕으로 학습자 별 학업성취도 변화를 측정한다. 또한 향후 학업성취도를 예측하여 학습동기 및 참여도를 향상시키고 적절한 보조학습을 투입하여 자기주도적 학습을 촉진시키는데 그 의의가 있다.; Currently, the 7th education curriculum is aiming at self-directed learning. The goal of the curriculum is maximize of learner’s high-order thinking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it’s not about memorize or reproduce existing information. Student performance assessment is one of the evaluation methods that are focused on learner’s self-directed structural activity. However, student performance assessment is simply used for a score evaluation; paper test, and practical skill test. Teachers can’t judge the student's learning status is improved, fall, or hold when they only have current scores. However, to maximize the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teacher should give separated feedbacks to each student. Those feedbacks took a lot of time and effort, and it also concerned insertion of teacher’s knowledge can influence on decision, and loosing objectivity of test. Also, the student performance assessment must be evaluated by process of final result. Of course, ‘process evaluation’ means a part of entire process or a collection of evaluated result. But, it’s hard to think that a simple question-and -answer test and it’s score calculation is ‘process-evaluation’. When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is falling in the result of performance assessment, teacher should provide supplement learning to improve his/her learning status. Because of resource for supplement learning is limited, every student can not get the best materials. This study offers reference of valuation of student’s performance assessment to promote self-directed learning. It also contains method to analyzing academic achievement, graph of each abilities, and future prediction. An academic achievement can be determined by improvements of academic achievements. And future prediction, let the teacher can provide different level of educational resources (supplement learning, problem explains and private instructor etc.) that is limited, so maximize efficiency of education. Therefore, by using the graph provided on this study, teachers can easily understand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and it helps to make decision of future plans for study, time of study, and using education resources. The performance assessment system on this study can reduce the teacher's time and effort for evaluation, and increase reliability of the learner by objective result. The system can measure changes of academic achievement of each student, and predict future academic achievement level to improve a motive of study and increase participation. The system also provide appropriate supplement data to promote self-directed learning.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6755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10056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S](교육대학원) > VOCATIONAL EDUCATION(실업학계열)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