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72 0

고등학교 역사교육에서 역사드라마의 활용 가능성 연구

Title
고등학교 역사교육에서 역사드라마의 활용 가능성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Applicability of Historical Drama in High School History Education: the case of 'The Founder Wanggeon' produced by KBS
Author
한승연
Alternative Author(s)
Han, Seung Yeon
Advisor(s)
이석규
Issue Date
2008-0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The perception of today's students about history is under the influence of not only school history education but a variety of media they use in daily routine life. Specifically, it can be said that TV historical dramas to which they are easily exposed produce enormous effects, and one of good alternatives to improve history education is capitalizing on popular TV dramas that could ignite learner interest. As the word historical drama suggests, however, that is a combination of two different elements: history and drama. There is a clear distinction between that and history books. The former is a creative work that mixes facts and fiction in a delicate manner, and history books are thoroughly based on facts. Nonetheless, students have a strong tendency to view what's described by a TV historical drama as a historical fact. As a matter of fact, they take a dual attitude toward TV historical dramas. They don't watch a historical drama that is devoid of dramatic interest, but they receive the content of a historical drama as a historical fact at the same time. Accordingly, it should be noted that although the utilization of TV drama as teaching materials could serve to improve their understanding of history, there might be a side effect that they are likely to be impressed only by the message that the drama intended to deliv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lve into the connection between history education and TV drama, especially 'the Founder Wanggeon' of KBS, the educational applicability of the drama, and limits to the application of the drama to history education. Chapter II presented an overview of the utility of historical drama for history education in association with five different approaches to under- standing of history: understanding of historical facts and information, understanding of historical temperality, contextual understanding, empathy/imaginative understanding, and critical understanding. And what problems it might be face with was explained as well. Chapter III explored the connection between the content of the selected drama and history class and the applicability of conceptual learning, figure learning and comparative learning in conjunction with the content system of history class. In figure learning, behavior explanation theory was used to analyze the cause of the behavior of historical figures. Chapter Ⅳ reviewed the perverted and unfair description of history in the TV drama, which was a typical limit to TV historical dramas, by referring to the reports by academic communities and the press. And in which way TV dramas could be better utilized for educational purpose was discussed. As a result, it's found that like school instruction, the TV drama made it possible to do conceptual learning, figure learning and comparative learning to greater or lesser extents. But historical dramas might be dysfunctional in some regards, and teachers should take a discreet approach to the application of historical dramas in class in order for students to receive the content of the dramas on a selective and critical basis instead of merely having blind faith in it.; 오늘날 학생들은 학교현장에서의 역사수업 외에도 일상생활에서 다양한 매체를 통해 역사인식을 형성하고 있다. 그중에서도 TV 역사드라마는 학생들이 일상생활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만큼 그 파급효과가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학습자의 흥미와 관심 촉발을 위해 대중적인 TV 드라마를 교육현장에 활용하려는 노력은 좋은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역사드라마는 말 그대로 역사와 드라마라는 두 요소가 혼합된 작품이다. 즉 사실과 허구가 교묘히 혼재된 창작물이라는 점이 사실에 입각한 사서와 다른 것이다. 그럼에도 학생들은 TV 역사드라마의 역사 전개를 역사적 사실로 받아들이는 경향이 강하다. 학생들은 역사 드라마를 볼 때 극적 재미가 없으면 보지 않으려 하면서도 역사 드라마의 내용은 역사적 사실로 수용하는 이중적 자세를 취한다. 그러므로 TV 드라마를 역사교재로 활용할 경우 학생들의 역사 이해를 장려하고 고무시킬 수도 있으나, 그것이 담고 있는 메시지만을 강력하게 주입하는 역작용도 갖고 있음을 인지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KBS〈태조왕건〉을 중심으로 드라마와 역사 교과의 연계성 및 교육적 가능성, 그리고 한계를 알아보고자 한다. 제Ⅱ장에서는 일선 교육현장에서 역사드라마를 역사교육에 활용하는 방식의 효용성을 역사적 사실과 정보의 이해, 역사적 시간성의 이해, 맥락과 상황의 이해, 감정이입과 상상적 이해, 비판적 이해의 다섯 가지 역사 이해 유형에 따라 개략적으로 살펴보고, 아울러 문제점도 지적하였다. 제Ⅲ장에서는〈태조왕건>의 내용과 역사 교과와의 실제 연계성을 찾기 위해 역사 교과의 내용구성 유형에 따라 개념학습, 인물학습, 비교학습 적용 가능성을 살펴보았다. 특히 인물학습에서는 행위설명학습이론을 적용하여 당대 인물들의 행동원인 등에 대해 분석하였으며, 마지막 제Ⅳ장에서는 TV 역사드라마의 한계인 사실의 왜곡 및 편파적 서술에 대해 학계 및 언론계 등에서 지적된 내용을 참고하여 검토하고 이를 교육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알아보았다. 이러한 전반적 연구 과정을 통하여 각각의 학습유형에 역사드라마가 부합하는 정도에는 차이가 있지만, 드라마를 통해서도 실제 수업에서와 마찬가지로 개념학습, 인물학습, 비교학습이 가능하다는 사실을 파악할 수 있었다. 그러나 역사드라마를 통한 역사서술에 순기능만 존재하는 것이 아니므로 역사드라마를 수업에 활용하기 위해서는 학생들이 드라마 내용을 맹목적으로 받아들이기 보다는 비판적으로 수용할 수 있도록 교사의 세심한 지도가 필요하다.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6739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09611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S](교육대학원) > SOCIAL SCIENCE(사회과학계열)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