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9 0

초등학교 다목적강당의 복합화유형 및 특성에 관한 연구

Title
초등학교 다목적강당의 복합화유형 및 특성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Multi-Purpose Auditorium Complex of the Elementary School
Author
장미경
Alternative Author(s)
Jang, Mi Kyoung
Advisor(s)
전한종
Issue Date
2008-0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초등학교는 근린주구를 구성하는 기본요소로서 교육용도뿐 아니라 지역사회의 커뮤니티 시설로서의 활용 가능성이 높은 시설이다. 따라서 초등학교시설의 복합화를 전제로 지역사회에 개방하고자 하는 방안은 현재 대부분의 지역사회에서 복지 및 문화 욕구를 수용할 수 있는 공공시설의 부족현상을 극복하고 해당시설의 신축수요로 인한 과도한 건설비용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대안으로 평가받고 있다. 이러한 배경에 의해 본 연구의 목적은 다목적강당의 복합화 사례분석을 통하여, 다목적강당을 복합화시설로서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건축 계획적으로 고려해야 될 사항을 제안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크게 네 단계로 구분되어 진행되었으며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관련 연구 및 문헌고찰을 통하여 학교시설에 있어 다목적강당의 복합화 개념, 필요성, 관련정책 및 연구동향을 파악한다. 둘째, 경기도내 화성지역의 초등학교시설에 있어 복합화 시설 중 다목적강당 복합화 사례를 선정하여, 건축적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을 통하여 다목적강당의 유형과 연계성 등을 파악하고 분석한다. 셋째, 분석의 결과로 다목적강당을 복합화시설로서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건축 계획적으로 고려해야 될 사항을 제안한다. 초등학교 다목적강당 사례분석에 따른 유형별 특징을 바탕으로 다목적강당을 복합화시설로서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건축 계획적으로 고려해야 될 사항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 배치형식에 의한 연계성 다목적강당과 일반교사동과는 분리해 복합화시설로서의 독립성을 확보하여 지역주민의 활용도를 높이고, 일반교사동과의 연계성을 위해 데크나 브리지로 연결해 학생들의 활용도를 높여준다. 2) 단면형식에 의한 대지 효율성 대지의 효율성을 위해 다른 복합시설 상부에 설치하며, 추후 증축을 고려하고 시각적인 개방감을 고려하여 1층에 피로티를 설치한다. 대지의 효율성만을 생각해 일반교실동과 혼합해 설치할 경우, 동선이 혼잡해지므로 지양해야 한다. 3) 진입방식에 의한 동선처리 지역주민과 학생들이 다목적강당으로 접근할 때, 서로 다른 출입구를 이용하고 다른 방향으로 움직이는 동선분리형으로 지역주민과 학생들의 동선이 전혀 간섭을 하지 않는 형식을 기본으로 하며, 그러하지 못할 경우 진입구는 별도로 두어야 하며 학생과 지역주민의 동선이 교차하는 공간은 홀, 휴게공간 및 데크를 두어 버퍼죤을 만들고 각 이용자 간의 동선 혼잡을 최소화해야 한다. 4) 부대시설에 의한 독립성 다목적강당이 그 시설에 필요한 부대시설을 갖추고 있어야 복합화시설로서의 독립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좀 더 적극적이고 체계적인 지역 커뮤니티로서의 역할을 위해 관리 운영할 경우 독립된 운영을 해 나갈 수 있다.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다목적강당이 독립된 복합화시설로서의 기능보다는 학교시설의 일부로서 학생을 중심으로 한 역할 담당을 하는 것이 경기도 지역 초등학교 복합화의 현실이다. 따라서, 다목적강당이 학교시설의 일부로서 사용되고 있는 소극적인 의미의 복합화시설을 학교자체에서가 아닌 별도의 운영체계에 의해 운영 관리될 경우, 독립적으로 운영 가능한 복합화시설로서 지역사회에서 복지 및 문화 욕구를 수용할 수 있는 공공시설의 역할을 하게 하기위해, 건축적으로 세부적인 계획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The elementary school is a basic element forming a community, and so, it is a facility not only for educational uses but also for community needs. Accordingly, opening of an elementary school to the community on the assumption that it would be a facility complex is assessed as an alternative to resolve shortage of the facilities accommodating welfare and cultural needs of the community as well as the problem of excessive construction cost for new facilities in the commun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ases of multi-purpose auditorium complex of elementary school and thereby, suggest the architectural planning points for utility of the multi-purpose auditorium complex. For this purpose, this study was designed in the following ways; First, relevant preceding studies and literature would be reviewed to examine concept, need, relevant policies and research trends of the multi-purpose auditorium complex of elementary school. Second, the cases of the multi-purpose auditorium complex of elementary school in Hwaseong, Gyeonggi-do would be sampled and thereby, their architectural data would be collected and analyzed to determine their types and characteristics. Third, some architectural planning points would be suggested to enhance utility of the multi-purpose auditorium complex of elementary school. The architectural planning points to enhance utility of the multi-purpose auditorium complex of elementary school were suggested as follow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case analysis; 1) Linkage in terms of layout form It is necessary to separate the multi-purpose auditorium complex from the ordinary school blocks to ensure its independence as a facility complex and thereby, encourage community people to use it more, while linking it with the ordinary school blocks with deck or bridge for students' convenience. 2) Efficiency of the site in terms of the sectional form In order to enhance efficiency of the site, it is deemed necessary to construct the multi-purpose auditorium complex over other facility complex, while installing the pilotis on the ground floor for a visual openness. A overlap of the multi-purpose auditorium complex with the ordinary school buildings for site efficiency only would make the circulations confused, which should be avoided. 3) Treatment of the circulations in terms of access mode The circulations need to be separated between multi-purpose auditorium complex and ordinary school buildings, so that community people and students can use different entrances/exits for the auditorium and thereby, that both circulations may not interfere with each other. Otherwise, the access route to the auditorium should be installed separately, while the space with both circulations crossing each other should be buffered by hall, recess or deck to minimize the circulation confusion. 4) Independence in terms of annexes Only if a multi-purpose auditorium complex should be equipped with the annexes required, it would be independent as a facility complex. And when it is managed and operated as part of the community in a more positive and systematic way, it will be more independent.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reality of the elementary schools in Gyeonggi-do is that their multi-purpose auditorium complexes as part of the school facilities serve the students primarily rather than play a role as independent facility complexes. Lastly,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ill be followed up by future studies which will research into more detailed architectural planning points for the multi-purpose auditorium complexes of elementary school, so that they may not be used only as parts of the school facilities but be open to the community, being operated and managed as independent public facility complexes according to a separate operation system accommodating welfare and cultural needs of the community.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6634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10200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ENGINEERING[S](공학대학원) > ARCHITECTURAL ENGINEERING(건축공학과) > Theses(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